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조선학교? 왜 저러고 사는 거죠?"... 달라진 아이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21/11/08 09:51
  • 수정일
    2021/11/08 09:51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이 와중에 통일교육] 다큐 <우리학교>를 바라보는 10년 전과 10년 후

21.11.08 07:00l최종 업데이트 21.11.08 07:00l
 포스터
▲  다큐멘터리 <우리학교> 포스터
ⓒ 영화사 진진

관련사진보기

 
무려 14년 전에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한 편이 아이들의 눈길을 붙잡았다. 재미로 치면 지금까지 본 여러 작품 중에 단연 으뜸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부터 통일 동아리 아이들과 함께 방과 후에 매달 한 편씩 북한 관련 영화를 감상한 뒤 간략하게나마 소감을 나누고 있다. 

활자보다 이미지에 익숙한 아이들에게 잘 만든 영화 한 편은 책 수십 권 몫을 한다. 매일 아침 독서 시간을 활용해 통일과 평화, 생명 등을 주제로 한 책들도 권하고 있지만, 자발적 관심은 영화에 훨씬 못 미친다. 두 시간이 넘는 상영 시간에도 눈빛이 초롱초롱했던 이유다.

김명준 감독의 2007년 다큐멘터리 작품 <우리학교> 이야기다. 개인적으로 10년 전쯤 보고 다시 보는 건데도 처음 봤을 때의 뭉클함은 여전했다. 다음에 어떤 장면이 이어지고 어떤 대사가 나오는지 알면 지루해지기 마련인데 되레 오랜만에 다시 만난 친구처럼 반갑고 설렜다.

10여년 전엔 그때 함께 본 아이들의 먹먹해하던 소감이 기억에 또렷하다. 영화 속 '혹가이도 조선학교'의 또래 아이들의 학교생활에 낯설어하면서도 한편으론 애틋한 시선을 보냈다. 한민족으로서 연민의 정을 느꼈다면서, 당장 그들을 위해 뭐라도 해야겠다고 다짐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았다.


당시 아이들은 영화를 보기 전까지 조선학교의 존재를 몰랐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 목소리로 해마다 조선학교를 경제적으로 지원해온 북한과 달리, 그들을 나 몰라라 한 우리나라 정부를 질타했다. 더욱이 일본 정부에 책임을 떠넘기는 건 모질기 짝이 없는 행태라며 발끈했다. 

무엇보다 일본 내 차별 교육의 현실과 북한을 혐오하는 극우 세력에 대한 분노가 하늘을 찔렀다. 자칫 아이들에게 맹목적인 반일 정서를 부추기게 될까 걱정스러울 정도였다. 교사와 학생이 가족처럼 함께 생활하는 영화 속 조선학교를 북한학교로 간주하는 아이는 많지 않았다.

학교라기보다 혈연공동체 같다고 소감을 적은 아이가 떠오른다. 입학식은 새 가족 집들이 느낌이고, 봄 운동회는 마을 잔치며, 방학을 이용한 가정 방문은 명절 때 고향을 찾아가는 듯했다고 썼다. 그들이 부르는 언니, 오빠, 형님은 우리의 그것과는 느낌이 사뭇 다르다고 했다.

영화 속 조선학교의 분위기를 부러워하는 아이도 많았다. 마치 형제처럼 교사와 학생 간의 거리낌 없는 행동을 보면서 연신 놀라워했다. 선배와 후배 사이의 자상한 보살핌도, 교사와 학부모의 친밀한 관계도 우리나라에선 찾아보기 힘든 모습 아니냐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연민은 사라지고 싸늘해진 시선
 
큰사진보기 스틸컷" 
▲  다큐멘터리 <우리학교> 스틸컷
ⓒ 영화사 진진

관련사진보기


분명 같은 영화인데도 10년 터울인 지금 아이들의 반응은 그때와 너무도 달랐다. 아이들 입에서 가장 먼저 튀어나온 말은 "굳이 저렇게 살려는 이유가 뭐냐"는 것이었다. 조선학교 아이들을 향한 애틋한 연민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낯선 시선만 차갑게 남은 셈이다. 

이질감이 워낙 커서인지 온갖 질문을 쏟아냈다. 아이들의 호기심은 그들이 사용하는 북한말 같은 어휘와 억양의 문제를 넘어섰다. 그들의 가슴과 머릿속이 궁금하다는 것이다. 분명 비슷한 또래인데도 학교와 교사, 국가와 민족 등을 바라보는 관점이 '이상하다'고 표현했다. 

"왜 저 아이들은 엄동설한에 얇고 불편한 한복 입기를 고집하고, 일본에 살면서 별 필요도 없을 우리말과 글을 배우려고 안달하는 걸까요? 저들이 조부모 세대를 그리워할 아무런 이유가 없잖아요. 저 같으면 조부모와 부모 세대를 원망하며 거들떠보지도 않았을 것 같은데."

우리말과 글 배울 시간에 세계 공용어인 영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게 훨씬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는 뜻이다. 치마와 저고리를 입었다는 이유로 극우 세력들로부터 위협까지 당하는 상황에서 도무지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심지어 배타적 민족주의의 폐해라는 말까지 나왔다. 

사실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교사와 학생의 입과 감독의 내레이션을 통해 여러 차례 나온다. 힘들고 어려울 때 서로 돕는 동포 아니냐는 것. 아이들은 한복을 입고 한글을 배우는 건 민족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고, '조선인'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조선학교에 다닌다고 선선히 말한다. 

일본 학생들과의 축구 경기에서 아깝게 패한 뒤 눈물을 훔치는 장면도 아이들은 적잖이 낯설어했다. 여름 내내 이어진 훈련으로 얼굴이 검게 그을린 한 학생의 인터뷰가 잊히지 않는다고 했다. 우리나라의 선수라면 그렇게 대답하는 경우는 아예 없을 거라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다른 사람들은 개인의 부와 명예를 위해 공을 찰진 몰라도, 저희는 부모님과 선생님, 선후배들에게 기쁨을 주기 위해 최선을 다해 뜁니다."

이를 두고 전체주의의 냄새가 난다고 하는가 하면, 프로 스포츠에 대한 개념도 모르는 순박한 시골뜨기라며 짐짓 조롱하기도 했다. 환한 얼굴로 돈이 행복을 안겨주는 게 아니라고 말하는 그들을 아이들은 쉽사리 이해하지 못했다. 다른 행성 사람 대하듯 데면데면한 표정을 지었다. 

철저히 자본주의적 삶에 길들여진 아이들에게 그들의 말과 행동이 부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자신의 정체성을 지킨다는 이유로 경제적 궁핍과 민족적 차별을 기꺼이 감내하는 그들이 놀랍긴 해도 공감이 안 된다는 거다. '조선학교'라는 이름부터 촌스럽다고 놀려대기도 했다.

사실 학교 이름 '조선'이 지금 북한을 의미하진 않는다. 분단과 전쟁 이전의 우리나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스스로 '조선인'이라 말하는 그들은 실상 무국적자다. 그런데도 아이들은 북한의 공식 명칭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떠올리며, 학교 이름 조선을 북한과 동일시해 버렸다. 

통일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
 
큰사진보기 스틸컷" 
▲  다큐멘터리 <우리학교> 스틸컷
ⓒ 영화사 진진

관련사진보기


아이들의 소감을 종합해보면, 북한에 대한 거부감이 은연중에 조선학교에 그대로 투영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북한의 경제는 우리와 비교조차 안 될 만큼 열악한데, 뭐가 좋다고 그들을 치켜세우는지 모르겠다는 아이가 의외로 많았다. 그들의 기준은 오로지 경제 수준이다.

"고향은 남쪽이지만, 조국은 북쪽이다."

통일의 당위를 강조하는 이 상징적 표현조차 아이들은 곡해했다. 화자는 십중팔구 6.25 전쟁 당시 월북한 이들의 후손일 거라고 지레짐작했다. 북한으로 떠난 졸업 여행도 '조국 방문'이라고 이름 붙인 걸로 보면 알 수 있다고 했다. 결국 조선학교는 '북한 것'이라는 거다.

한낱 십여 명의 동포 고등학생들이 찾아왔다고 열렬히 환영한다며 일정 내내 가이드가 동반하는 북한 정부의 배려도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체제 선전의 방편일 거라고 단정하는가 하면, 가이드와의 헤어짐을 아쉬워하며 눈물을 쏟아내는 그들의 모습조차 작위적이라고 폄훼하는 아이도 있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아이들의 심성도 그만큼 삭막해진 걸까. 그들에게 무관심했던 자신을 반성한다는 아이들이 많긴 했지만, 과거에 견줘 아이들의 북한에 대한 거부감이 커진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하릴없이 흐르는 세월이야말로 통일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경제적 궁핍과 차별을 견뎌내는 조선학교의 아이들과, "굳이 저렇게 살려는 이유가 뭐냐"고 묻는 대한민국의 아이들. 둘의 정서적 간극이 날로 커져만 가는 것 같다. 이 와중에 통일교육이 계란으로 바위 치기 아닐까 싶은 자괴감을 떨치기 힘들었다. 

마침 교육부와 통일부가 공동 주관하는 학교 통일교육 실태 조사가 온라인으로 진행 중이다. 북한과 통일에 대한 아이들의 인식을 묻는 20문항의 설문 방식이다. 부러 설문지를 출력해 두 학급을 대상으로 미리 조사해봤다. 예상대로 설문지를 받아 든 아이들의 표정은 심드렁했다. 

설문 결과 또한 예상대로였다. 설문마다 '보통이다'나 '그저 그렇다'에 표시한 경우가 태반이었다. 이는 애초 설문이 귀찮다거나 북한과 통일에 별 관심이 없다는 뜻이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첫 번째 설문인 '북한은 우리에게 어떠한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에 대한 답변이었다.

'협력해야 하는 대상'에 표시한 아이는 44명 중 단 3명, '도와주어야 하는 대상'에는 7명, 나머지는 모두 '경계해야 하는 대상'이거나 '적대적인 대상'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기타 의견'에 '필요 없는 대상', '사라져야 할 대상'이라고 부러 적은 아이도 4명이나 됐다. 영화 <우리학교>를 함께 본 뒤 나눈 몇몇 아이들의 매몰찬 질문에 딱히 놀랄 일도 아니었던 셈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