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신문 솎아보기] 김치부터 한복까지 동북공정 맥락이 분노 키워
악플에 의한 사망 잇따라, ‘사이버 렉카’ 방치한 유튜브에 비판 집중
또 토론 거부한 국민의힘에 중앙일보도 비판
지난 4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시작됐는데 개막식부터 논란이다.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 가운데 한명으로 등장해 ‘중국의 한국 문화 침탈’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7일 신문들은 개막식 한복 논란과 함께 중국의 한국 문화 침탈 현상을 주요하게 다뤘다.
또한 한국선수단 대표팀 기수를 맡은 쇼트트랙 곽윤기에게 중국 네티즌들이 악플을 남기고 있다. 곽윤기가 중국의 홈 텃세가 심하다는 인터뷰 발언을 문제 삼은 것이다. 한복 공정 논란과 함께 올림픽 기간 동안 반중 정서가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지난 주말 숨진 배구선수 김인혁씨와 1인 방송 진행자 BJ잼미의 사망 소식이 잇따라 전해지면서 악성 댓글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달 남은 대선, 오는 8일 개최 예정이던 한국기자협회 초청 대선 후보 4자 합동 토론회가 무산되면서 국민의힘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이 기자협회와 주관 방송사인 JTBC의 공정성을 문제삼아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조선족 한복 입는 것 당연 BUT ‘문화공정’ 사례들 분노 만들어”
먼저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시작된 한복 문화공정 문제에 대한 언론보도를 살펴보면 경향신문 사설, 국민일보 2면, 동아일보 8면, 서울신문 1면, 세계일보 2면, 조선일보 2면, 중앙일보 8면, 한겨레 6면 한국일보 2면에서 ‘한북 공정’ 논란이 다뤄졌다.
동아일보, 국민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는 중국의 이러한 행태가 문화 공정이며 외교부가 이에대해 비판해야 한다는 논조였다.
동아일보는 8면에서 외교부가 항의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에 대해 “저자세 외교”란 지적이 나온다고 썼다.
국민일보는 2면에 해당 소식을 싣고 유감 표명을 하지않겠다는 외교부에 ‘저자세’ 비판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국민일보는 사설 “중국의 한북 공정 유감, 정부는 왜 할 말 못하나”에서 “한복 공정에 대한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촉구한다”고 썼다.
서울신문도 “한복 공정보고도 無항의 황희, 어느나라 장관인가”에서 “중국의 반문화적 행태에 즉각 공식 항의하고 한복이 우리 고유의 문화임을 세계에 알리는 문화적 외교적 노력을 부단히 기울여야 한다”고 썼다. 서울신문은 해당 연출에 대해 “한복이나 상모 돌리기를 중국 소수민족의 상징으로 포장함으로써 한국 고유의 문화가 마치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처럼 교묘히 비튼 것”이라며 “문화침탈”이라고 썼다.
세계일보 역시 “올림픽 한복공정 논란 中문화침탈 역사왜곡 중단해야”에서 “중국이 김치와 삼계탕에 이어 한복까지 자신의 것이라고 우기는 문화공정에 나선 게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외교부에 대해 “이러니 중국이 우리를 만만히 보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김치를 ‘파오차이’로, 한복을 ‘한푸’로 바꿨던 맥락이 분노 키워
사건 자체보다 맥락을 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조선족이 한복을 입은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한복의 기원과는 관련이 없지만, 지금까지의 김치를 ‘파오차이’로 주장했던 일이나 한복을 ‘한푸’에서 유래했다고 하는 등 과거의 맥락이 분노를 만든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2면 종합 기사에서 “이 사안을 보는 시각은 단순하지 않다”며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인 조선족이 한복을 입은 것에 대해 과민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게 학계의 이성적 판단이지만 문제는 ‘올림픽 한복’ 하나만 놓고 벌어진 국민적 분노가 아니라는 것”이라고 썼다. 지금까지의 한국 고대사 왜곡, 한복과 김치의 기원 논쟁 등 누적된 거부감이 한꺼번에 폭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중국 55개 소수민족 중 인구 규모에서 14위를 차지하는 조선족이 한복이 아닌 다른 의상을 입고 나오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상상하기 어렵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했다. 다만 계속되는 중국의 문화도발이 분노의 맥락이라고 짚기도 했다.
한겨레는 사설 “올림픽 개막식 한복 왜 논란되는지 중국은 알아야 한다”에서 “조선족 참가자의 한복 차림은 자연스러운 일일수 있지만, 이번 논란을 별일 아니라고 넘길 수 없다는 점 또한 엄연한 현실”이라며 “중국의 일방주의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반중정서를 자극하고 있다는 걸 중국은 알아야 한다”고 썼다. 그러면서 외교부에 “중국과의 선린관계를 발전시켜나가면서 동시에 역사 왜곡 시도에도 당당히 맞서야 한다”고 썼다.
반면 한국인들의 차분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경향신문은 “한중 관계 민감성 보여준 베이징 올림픽 한복 입장 논란”이라는 사설에서 누리꾼들이 ‘문화공정’의 연속이라며 비판하고 있지만 “개회식에 조선족이 한복 차림으로 등장한 것 자체로 비난하긴 어렵다. 각 민족을 표현하는 차원에서 조선족을 대표하는 복식으로 한복이 등장했기 때문”이라며 “조선족이 우리 민족의 문화를 지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썼다. 다만 “세계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복이 중국의 고유문화인것처럼 비칠 수 있고 한국인의 정서를 자극할 여지가 있다”고 썼다.
경향신문은 “양국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한 반감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며 “한국 시민들도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악플에 의한 사망 잇따라, ‘사이버 렉카’ 방치 유튜브 비판 집중
경향신문은 1면에 “벼랑 떠미는 악플 ‘#유튜브도_공범’”이라는 기사를 배치했다. 악성 댓글에 시달린 배구 선수와 BJ가 사망했고, 특히 “괴롭힘을 확대 재생산해 온 이른바 ‘사이버 렉카’(남의 사건 사고로 주목을 끄는 자)들을 방치해 사태를 키운 주범으로 유튜브에 대해 비판이 집중되고 있다”고 썼다.
국민일보는 12면에 “‘설리’ 이후에도 최소 7명 희생, 악플 방지법 손놓은 국회”라는 기사로 설리가 사망한 후 악플방지법을 발의했던 국회가 손을 놓고 있다며 비판했다. 20대 국회인 2019년에 극단적 선택이 이어지자 복수의 악플방지법이 발의됐지만 제대로된 후속논의 없이 임기만료로 법안이 모두 폐기됐다는 것이다. 21대 국회에서도 정보통신망법 일부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법안들이 모두 아직 소관 상임위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잠자는 상태라고 전했다.
한겨레는 9면에 “연이틀 세상 등진 27살 두 청년 극단으로 치닫는 사이버 불링”이라는 기사를 배치했다. 한겨레는 “두 사람은 주로 남초 커뮤니티 누리꾼들에게 좌표를 찍혀 공격을 받아왔다”며 “온라인 괴롭힘은 여성이나 나이가 어린 약자에게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고 짚었다.
조선일보는 10면에 “사람잡는 악플, 끝없는 사슬”이라는 기사를 배치했는데 조선일보의 관점은 다른 기사와는 달리 악플을 종용한 사람에게 또 비판이 달리고 있다고 이를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악플이 사람을 죽였다”면서 또 다른 대상에게 “너도 죽어야 한다”는 댓글을 남기고 있다며 “악플로 인해 피해를 호소하다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지만 악플이 또 다른 악플을 부르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고 썼다.
또 토론 거부한 국민의힘에 중앙일보 사설로 비판
국민의힘이 당초 8일 추진중이었던 대선 후보 4인의 토론에 대해 실무협상에서 거부하면서 11일 토론을 열자고 했다. 국민의힘은 6일 ‘11일’ 토론을 하자며 역제안했다. 8일 예정이었던 기자협회와 JTBC주최의 토론을 두고 편향성을 문제삼으며 불참 의견을 밝힌 후 역풍이 불기 때문이다. 경향신문은 3면에 이 소식을 다뤘다.
국민의힘이 중앙그룹 계열의 종합편성채널인 JTBC 주최의 토론을 거부하자 중앙일보는 사설로 강하게 비판했다.
중앙일보는 “TV토론 할 때마다 어깃장 놓는 국민의힘”이라는 사설에서 윤 후보 측에서 주최 측의 편향성을 문제삼으면서 8일 토론회가 무산됐다며 국민의힘을 비판했다. 중앙일보는 “주최 측의 편향성 운운은 근거가 없다”며 “토론을 피하기 위해 편가르기를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고 썼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