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사진제공-대통령실]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사진제공-대통령실]

“강제징용 문제의 해결책에 관해서 구체적인 얘기가 오고가지는 않았지만 양 정상 모두 강제징용 문제 해결책에 관해서 상당히 밀도 있는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그 협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 잘 보고받고 있다라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 결과와 관련, 16일 오후 고위관계자가 이같이 밝혔다. “‘잘 보고 받고 있다’의 의미는 양 실무진 간에 해법이 이제는 한두 개의 해법으로 좁혀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했다.

나아가 “‘속도감 있게 진행시키자’는 (정상 간) 얘기는 간극이 많이 좁혀졌으니까 그것을 빨리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서 그 문제를 속히 매듭 짓자는 분위기, 긍정적이고도 적극적인 의기투합 의미로 해석을 하시면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한두 개 해법’의 세부내용이나, 피해자 설득 방안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일본이 한국에 취한 수출규제 문제는 방치된 것이냐’는 지적이 나오자, 고위관계자는 “수출 규제, 지소미아, 강제징용 문제들은 다 연결되어 있는 문제이고, 그렇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포괄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말하지 않았느냐”면서 “양측 모두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징용 문제에서 풀어 나가자는 공감대가 있다”고 했다.

지난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사진제공-대통령실]
지난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사진제공-대통령실]

‘지난 11~16일 동남아 순방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대(對) 중국 외교의 공간을 스스로 좁힌 것 아닌가’는 지적에 대해, 고위관계자는 “중국과의 외교적 공간은 여전히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양자 현안을 넘어서 기후변화라든지 또 공급망 문제라든지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는 장들이 많이 마련되어 있지 않느냐”면서,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중국이 주도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를 예로 들었다.

‘윤석열정부 외교가 지나치게 미국 일변도’라는 지적에 대해, 이 관계자는 “동의하기 힘들다”면서 “기본적으로 한미동맹 관계를 중심축으로 해서 한중관계, 여타 국가들과의 관계를 도모해 가는 외교를 지향한다”고 원론적으로 답했다.

‘시진핑 주석 방한’에 대해서는 “‘코로나 사태가 진정이 되면’이라는 조건이 붙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가변적인 요소들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면서 “그 추이를 봐서 방한 문제가 다루어지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번 순방에서 브리핑이 너무 적었다’는 불만도 제기됐다. 고위관계자는 “사전, 사후 브리핑을 다른 쪽과 비교하시는 것은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적절한 것 같지는 않다”고 강변했다.

지난 9일 대통령실은 ‘문화방송(MBC) 취재진 전용기 탑승 배제’ 조치로 MBC뿐만 아니라 출입기자단의 강한 반발을 초래했다. 지난 13일 한미-한일 정상회담, 지난 15일 한중 정상회담에 풀기자단을 들여보내지 않았고, 결과 브리핑도 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