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오룡호’ 사후조치 답변서 입수.. 원론적 답변 ‘일색’

[단독] ‘오룡호’ 사후조치 답변서 입수.. 원론적 답변 ‘일색’사조산업, 야당 의원 요구에도 오룡호 유가족 대책 마련 ‘미온적’
강주희 기자  |  balnews21@gmail.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2.11  17:54:53
수정 2015.02.11  19:11:37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사조산업이 오룡호 유가족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 여전히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난 6일 서울 서대문구 사조산업 본사를 방문한 새정치민주연합 안전사회추진단 의원들의 요구에도 사조는 뚜렷한 대책 하나 내놓지 못하고 있다. 유가족들은 사조산업 본사 앞에서 38일째 노숙 농성 중이다.

11일 ‘go발뉴스’가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사조산업의 ‘오룡호 사건 관련 사후 조치사항’에 따르면 유가족들의 요구사항은 일절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대안책이 제시되어야 할 답변서에는 “최선을 다하겠다”, “조속한 시일 내로 해결하겠다” 는 원론적 답변만 담겨있었다.

사조산업은 답변서를 통해 “현재 유가족과 보상금 협상을 진행해 오고 있으나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외국인 선원 42가구(인도네시아 32명, 필리핀 10명)와 한국인 선원 유가족 5가구와는 합의를 완료했으나 나머지 한국인 선원 6가구와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 사조산업이 지난 9일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실에 제출한 '오룡호 사고 관련 사후 조치사항 답변서' © go발뉴스
앞서 유가족들은 사조산업에 사고 발생에 대한 진심어린 사과 ▶ 실종자 수색 재개 일정 공개 ▶ 서울에 분향소 설치 ▶ 적극적인 협상 의지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조 측의 답변서에는 이러한 요구사항들은 거론되지 않았다.

 

사조산업은 분향소 설치에 대해 “선원들 연고지가 대부분 부산”임을 강조하며 “유가족과의 협의를 통해 부산에 분향소 설치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서울에 분향소 설치를 요구한 유가족과는 정반대의 제안을 한 셈이다.

사조 측은 “이미 장례를 치른 유가족들의 분향소 설치 건에 대해서는 개개인의 의견을 수렴해 검토 하겠다”고 밝혔다. 유가족과 개별 접촉을 하며 보상금 협상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장례 문제도 일대일 대응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고장운 오룡호가족대책위원회(이하 가족대책위) 위원장은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서울에 유가족들이 있는데 부산에서 장례를 치르라는지 도무지 납득이 안 된다”며 “진정성 있는 설득은커녕 일방적인 통보로 또 다시 일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 서울 서대문구 사조산업 본사에서 노숙 농성중인 오룡호 유가족들이 비닐 천막을 재정비하고 있다. 이날 유가족들은 나무로 천막 기둥을 세우려다 경찰의 제지를 받았다.©go발뉴스
   
▲ 비닐 천막에서 노숙 농성 중인 오룡호 유가족들. 유가족들은 38일째(2월 11일 기준) 본사 앞 거리에서 투쟁 중이다. ©go발뉴스
유가족 지원책 중 하나인 천막설치도 마찬가지다. 사조산업은 “관할 경찰서 및 관공서와 협의를 했으나 법적인 문제로 천막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어떻게 협의를 시도했는지, 어떤 법적 문제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시되지 않았다.

 

반면 오룡호를 세월호 참사에 빗대 사망한 선원을 비하한 사조산업 김모 상무이사에 대해서는 사내 인사위원회를 열어 징계조치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요구사항 중 가장 중요한 보상금 협상과 실종자 수색 재개에 대한 답변은 빠져있었다. 유가족들은 오는 4~5월 사이 실종자 선원 수색 재개와 합리적인 수준의 보상금 책정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사조산업 법무담당 김영수 변호사는 “실종자 수색은 지난해 12월 말 사고해역 결빙이나 러시아 정부의 입어기간 종료로 사실상 종료됐다”며 “사측이 혼자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드릴 입장이 없다”고 밝혔다.

김 변호사는 “보상금 협상에 관해서 현재 사측은 유가족들과 단체든 개별이든 조속히 협상을 타결하는 것을 원한다”며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유족들과 만나 입장 차이를 조율하고 해결해 나가는 길이 서로 좋은 길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 위원장은 “사조 측의 답변은 해양수산부을 통해 알게 된 것”이라며 “유가족들은 이런 내용의 답변이 야당 의원들에게 전달 된지도 몰랐다”고 말했다. 그는 “(사조산업의 답변서는) 답변 같지 않은 말뿐이다. 유가족들의 요규사항은 하나도 반영되지 않았다. 사조산업은 여전히 무대책”이라고 토로했다.

 
 
 

[관련기사]

오룡호 유가족 “갈 곳도 없는데 추위와 싸우라니”
 
강주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