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이 영화는 국정원을 상대로 한 저널리스트의 완승이다”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6/03/19 09:12
  • 수정일
    2016/03/19 09:12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인터뷰] 정재홍 전 PD수첩 작가 “해고 이후 최승호는 날카롭게 벼린 칼이 됐다, 나도 더욱 단단해졌다”

김도연 기자 riverskim@mediatoday.co.kr  2016년 03월 18일 금요일
 

“위대한 작가는 말하자면 그의 나라에서는 제2의 정부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정권도 별 볼 일 없는 작가라면 몰라도 위대한 작가를 좋아한 적이 없다.”

러시아의 극작가이자 소설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작가의 사명을 이처럼 설명했다. 권력의 치부를 드러내고 진실을 좇는 이 시대 작가의 숙명이기도 하다.

정재홍 전 PD수첩 메인작가는 이 말이 들어맞는 작가다. ‘용산참사’ ‘한 해군장교의 양심선언’ ‘검사와 스폰서’ ‘4대강, 수심 6m의 비밀’ 등 그가 PD수첩 작가로서 이뤄놓은 성과는 권력의 썩은 폐부를 드러내며 진실을 추구한 결과였다. 

그만큼 그는 권력을 불편하게 했다. 2012년 MBC에서 해고된 까닭도 그의 작가 기질에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 MBC PD수첩 작가 6명 전원 해고 파문>

정 작가의 펜은 다시 권력을 향한다. PD수첩 동료인 최승호 전 MBC PD(현 뉴스타파 앵커)와 함께 작업한 영화 ‘자백’은 국정원이 어떻게 무고한 사람들을 간첩으로 몰아세웠는지 고발한다. 그는 구성과 시나리오, 대본 등을 담당했다. 

지난 15일 오전 서울 홍대입구역 인근에서 만난 정 작가는 자백 제작의 공을 최 PD와 제작 총괄 김재환 감독에게 돌렸다. 자백은 다음달 개막하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아래는 일문일답.

 

▲ 정재홍 전 PD수첩 메인작가가 15일 서울 홍대입구역 인근에서 미디어오늘과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김도연 기자)
- 그동안 어떻게 지냈나?

 

“뉴스타파 목격자들이라는 코너를 통해 시사 프로그램을 해왔다. 지역 언론에서도 시사·교양 프로그램 작업을 했다.”

- 영화 ‘자백’은 어떻게 제작하게 됐나?

“3년 전부터 최승호 PD가 뉴스타파에서 탈북자 간첩 조작 사건을 취재하지 않았나. 서울시 공무원 유우성씨 사건도 있었고. 국정원의 간첩 조작은 개별적이고 파편화한 사건이 아니라 시스템으로 꿰어서 볼 필요가 있다. 영화라는 형식을 빌려 최 PD, 김 감독과 의기투합한 것이다.”

- 어떤 점이 가장 어려웠나?

“간첩으로 지목한 사람들이 무고하더라도 이를 뒤집는 것은 하늘에서 별을 따는 것만큼 어렵다. 누가 확인해줄 수 없으니까. 그 지점이 참 어려웠다. 최 PD의 뛰어난 취재력과 탐사보도가 없었다면 작품은 없었을 것이다.”

영화 ‘자백’은 2011년 12월 탈북자 조사기관인 경기도 시흥 중앙합동신문센터에서 발생한 한아무개씨의 사망으로부터 시작된다. 

국정원은 한씨가 간첩이라고 자백한 뒤 북한에 있는 가족이 피해를 입을까봐 자살했다고 주장했다. 영화는 이 사건 역시 국정원의 조작이었음을 밝히며 묘비 하나 없이 죽어야 했던 이의 비극과 국가 폭력을 냉철하게 추적한다.

 

 
- 영화와 기존 다큐멘터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사실을 바탕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비슷하다. 그동안 ‘설명조’로 (시사)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반면 영화는 멘트, 장면 모두가 하나의 상징으로 기능하더라. 재미도 있어야 하지만 그래도 이 영화의 중심이 되는 것은 팩트다.”

- 영화 일부 장면들이 흥미로웠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만나거나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취재하는 모습도 담겨있던데.

“김기춘을 빼놓고 1970년대 재일동포 유학생 간첩 조작 사건을 이야기할 수 없다. 원세훈은 탈북자 간첩 조작 사건의 핵심 당사자다. 간첩으로 지목된 이들은 누구의 지원도 받지 못하는 약자다. 간첩은 곧 멸문을 뜻했다. 그런데 대법원이나 재심을 통해 무죄가 확정돼도 누구도 책임지지 않았다. 그런 차원에서 필요했던 취재다. 영화에서 원세훈 취재 영상은 ‘압권’이다.(웃음)”

- 국정원은 테러방지법 국회 통과 이후 사이버테러방지법까지 압박하고 있는데.

“국정원의 간첩 조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막대한 예산을 쥔 자신들의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테러방지법 통과로 조작은 더욱 수월해질 것이다. 일반 국민의 사생활을 엿보게 되니까. 국정원 간첩 조작 사건이 ‘우리의 문제’라고 강조하는 이유다.”

최승호 PD를 떼어 놓고 정 작가를 설명할 수 없듯 정 작가를 떼어 놓고 최 PD를 설명할 수 없다. 최 PD는 정 작가에 대해 ‘나의 파트너’라며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검사와 스폰서’ 등 PD수첩의 걸작들은 최 PD와 정 작가의 협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정 작가는 “이번 영화로 최 PD가 더욱 스타가 돼야 한다”며 웃었다.

 

 
- 내달 28일 열리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된다고 들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이후 숱한 고초를 겪었다. 당장 실무자들이 피해를 입었다. 그래서 걱정이 된다. 자백은 국정원을 정면으로 비판하는데 현 정치 상황에서 오죽하겠나. 전주국제영화제에 초청해주신 관계자들의 용기와 신념에 감동할 수밖에 없었다.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우리 영화는 팩트를 기반으로 촘촘하게 엮었다는 것이다. 논란의 소지가 없다.”

 

- 최 PD와 오랫동안 함께 했다.

 

“김재철 사장에게 고마워해야 할 것 같다. 최 PD는 MBC에서 해고된 이후 저널리스트로서 완벽해진 것 같다. 지금 연차로 보면 최 PD는 MBC 임원을 해야 할 때다.(웃음) 해고가 안 됐다면 최 PD 역시 안에서 고통스러웠을 거다. 그는 날카롭게 벼린 칼이 됐다. 나 역시 (해고 이후) 보다 절박해졌고 단단해졌다고 생각한다. 예전 초심으로 작업을 하게 됐으니 말이다. 이번 영화 역시 최 PD의 내공을 확인할 수 있다. 정보기관을 상대로 한 저널리스트의 완승이었으니까.”

- 공영방송에서 시사 프로그램을 찾아볼 수 없는 시대인데.

“가슴이 너무 아프다. 탐사보도 프로그램은 민주주의의 척도다. 민주주의가 축소되고 움츠러들면 탐사보도 역시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탐사보도가 제대로 역할을 해야 민주주의가 숨쉴 수 있다.

 

 

▲ 정재홍 전 PD수첩 메인작가. (사진=김도연 기자)
- 시사·교양 작가의 저널리즘은 무엇인가?

 

“글쎄, 거창하게 말하긴 좀 그렇고.(웃음) 다만 어떤 가치를 중심에 놓고 글을 쓸 것인가 고민한다. 사실을 바탕으로 평등, 인권, 평화, 자유를 고수하고자 한다. 사실 위에서 그것을 해석하는 잣대가 보편적 가치다. 흔히들 ‘저널리즘은 기자의 몫’이라고 생각하는데 한 프로그램에 몸을 담고 있다면 그 누구도 저널리즘의 원칙과 가치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역할만 다를 뿐이다.”

- 영화를 보러 올 관객들에게 한 말씀한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은 비굴하지 않다는 것이다. 올바르게 살고자 했던 이들이 있었다. 국가폭력에 희생됐지만 그 모습은 비굴하지 않았다. 영화는 그 삶들을 보여줄 것이다. 국가 권력에 주눅 들지 마시고 담담하게 와주시면 고마울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