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책 두 권의 만남
- 김지씨
- 2007
-
- 키에슬롭스키 <십계 9>
- 김지씨
- 2006
-
- 문학의 새로운 이해
- 김지씨
- 2005
-
- 브레스트 오프를 보다(2)
- 김지씨
- 2005
-
- <즐거운 편지>를 읽다.
- 김지씨
- 2005
어제 당직을 섰다. 당직이 끝나면 당연히 보고를 하게 된다. 내 위로 있는 줄줄이 늘어선 상관들에게 그 전날 일어났던 상황들을 난 꼬치꼬치 보고해야 한다.
그들은 나에게 꼼꼼하게 되묻는다. "얘는 어디가 아프지? 그리고 어제 어떤 시설물을 어떻게 고친거야?" 내가 대답을 조금이라고 허술하게 한다치면 대번에 욕이 날아온다. 심지어 난 내가 근무하는 곳의 창문 개수까지도 세어가지고 들어간다.
난 오늘도 보고를 마치고 나오면서 생각한다. "왜 이런 일을 해야하지?" 도대체 궁금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아니 간 밤에 일어난 모든 일을 다 알아야 하나? 그냥 제발 내버려두면 안되나?
혼자서 좀 곰곰히 생각해본다. 아마도 이건 상하관계로 구성된 조직의 특성일거라고.가장 위에 서 있는 한 사람의 시선 안에 그의 모든 조직이 한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그 조직은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과 자기가 전혀 관여하지 않은 일임에도 조직을 책임지고 있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그 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깨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따위의 감정들로 엉켜진 끝없는 층층구조.
그러다 갑자기 무서워진다. 나도 이런 구조에 어느덧 익숙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 이곳에 왔을 때 모든 일을 내가 맡아서 직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리저리 뛰어다니고 고생만 직싸게 했었다. 이제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어느덧 시키는 것이 더욱 편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난 이제 내 아래에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에게 일을 떠맡기고
감시하는데 더 익숙해져 있다. 아니 어쩌면 더 정교화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남들이 하지 않는 수많은 장부들을 만들어 떠 넘기고, 엑셀을 이용하여 그 결과들을 통합해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 또한 "관리"라는 이름의 허울 좋은 떠넘김에 맛을 들이고 말았다.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모임을 만들 때, 사람들은 그 전까지 익숙한 방식으로 모임을 구성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나에게 익숙한 방식은 바로 이러한 방식이 되고 말았다. 과거에 학회나 자발적 모임에서 겪었던 경험들은 차츰 사라지게 되었다. 이것은 군대를 겪은 한국 남성들의 비슷한 경험이라는 극단적인 일반화까지도 머릿 속에 떠오른다.
언젠가 에릭 홉스봄의 <극단의 시대>를 읽었을 때의 기억이 난다. 자본주의에 대항해서 새로운 사회를 만들려 했던 사람들이 도대체 왜 그 자본주의보다 어쩌면 더 억압스러운 사회를 만들어 버렸냐는 딜레마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었다. 그때 누군지 이름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그 당시 소련 사회를 만들었던 주역 중의 한 사람이 임종할 때 했던 말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그는 그 당시 그것밖에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수 년에 걸친 전쟁끝에 새로운 사회를 만들 기회가 주어졌지만, 그들이 알고 있던 방식은 전시동원체제밖에 없었다고...
나 또한 그렇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이곳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만들 기회가 주어지더라도 결국엔 익숙한 비극적 방식대로 삶을 꾸릴 수밖에 없는 상황.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