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노무현은 이 죄갑음을 어찌...
- molot
- 2006
-
- 최근 정치판세에 대한 메모
- molot
- 2006
-
- 한나라당사에서 '새벽'공연...(3)
- molot
- 2006
-
- 오늘 법사위 비정규법 처리
- molot
- 2006
-
- 한명숙&KTX 승무원
- molot
- 2006
1936년 10월 1일 스페인 왕당파 파시스트 반란군 지도자 프란시스 프랑코가 내전 와중에 왕당파 정부 수반 자리에 올랐다. 1936년 7월 17일 모로코 주둔 스페인군은 인민전선 정부에 반대하며 봉기를 선언했고 그 다음날 스페인 본토 각지에서도 군부의 반란이 연이었다. 프란시스 프랑코는 역시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카나리아 제도에서 쿠테타를 선언하는 방송을 했다.
프랑코는 북아프리카 침공에 혁혁한 공훈을 세워 34세의 나이로 1926년 장군에 진급할 정도로 명성을 떨친 ‘나름대로’ 스페인에서 알아주는 장군이었다. 1931년 스페인 왕정이 무너지고 부르주아지와 사민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공화국이 선포되었을 때부터 군부의 젊은 야심가 프랑코를 중심으로한 쿠테타 가능성은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1936년 2월 사회주의자, 공화주의자, 공산주의자, 무정부주의자의 연합인 인민전선이 집권하자 쿠테타에 대한 경고는 극에 달했다. 그러나 자유주의자 출신의 인민전선 수반인 마누엘 아자냐는 그 경고를 무시했고 군부내 파시스트들에 대한 숙청 제안도 묵살했다. 심지어 쿠테타가 일어난 후 스페인 카톨릭 교회와 대부분의 부르주아지들이 공개적으로 쿠테타 지지 선언을 했는데도 아자냐는 그들에게 유화 제스쳐를 보낸 반면 스스로 무장하여 파시스트들을 진압하려는 노동자들을 통제했다.(이거 참.. 4.19와 5.16 막간에 있었던 민주당 정부 생각나게 하지 않나?)
결국 인민들은 노동자들이 무장하면 정부의 권위에 금이 간다는 인민전선 정부의 말에 코웃음을 치며 스스로 무장하기 시작했다. 반군 병사들을 설득해 무장을 해제 시키기도 했고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발렌시아등 대도시의 파시스트 병기고를 습격 무기를 탈취했다. 공화국 군대가 파시스트 반란을 일으킨 반면 인민들이 그 공화국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무장한 것이다.
스페인 내전 경과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에 또 기회가 있을 듯 하다. 프랑코를 중심으로 좀 더 이야기 해보자. 스페인 내전에서 인민전선 측이 다양한 정치세력으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파시스트 측도 한지붕 여러 수십 가족으로 구성됐었다. 예컨대 독일이나 이탈리아의 파시즘을 추종하는 자들과 단순히 왕정복고를 꿈꾸는 복고주의자들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었다. 그러나 스페인 극우들은 정파간의 이견을 접어두고 ‘반사회주의’라는 기치아래 프랑코를 중심으로 대동단결--;; 했던 것이다. 나는 독일, 이탈리아의 지원이나 트로츠키 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에 대한 스페인 공산당의 어이없는 탄압(심지어 내전이 한참이던 1937년 5월에 인민전선 정부군-스페인 공산당-은 아나키스트 계열인 전국노동자연합(CNT)이 파시스트로부터 사수하고 있던 바르셀로나 전화국을 공격하기도 했다.)에도 책임이 돌아가겠지만 스페인 내전에서 파시스트가 승리한 원인의 많은 부분은 바로 우파의 ‘통 큰 단결ㅠㅠ’ 이 차지 하는게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하여간에 내전을 승리로 이끈 프랑코는 2차대전이 벌어지자 그를 전폭적으로 지지한(게르니카 폭격을 생각해 보라구!) 파시스트 동지들인 히틀러와 무솔리니의 뒷통수를 쳤다. 히틀러의 참전요구에 대해 파시스트 의용군을 동부전선(대소련 전선)에 참전시켰다가 바로 철수시키고 연합국 측에 철광석 같은 군수물자를 수출해 환심을 사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사회의 반파시스트 정서 때문에 고립되기도 했으나 그를 구한 것이 있었으니 바로 냉전이다. 1953년 프랑코는 미군의 스페인 주둔을 허용하여 관계 개선을 했고 1955년에 파시스트 스페인은 유엔에 가입하기에 이른다. 이런 걸 보면 우파들은 대단하다. 정말 잘 뭉친다.
거의 40년간을 독재자로 군림한 프랑코는 천수를 누린 끝에 1975년 8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세간에서는 프랑코를 가장 행복한 독재자로 부른다고 한다--;; 프랑코는 죽기 전부터 철저히 사후를 대비했다. 축출된 왕가의 왕자를 후계자로 지목해놓았다. 뿐만 아니다. 그는 현재판 피라미드인 ‘사자의 계곡’ 에 묻혔는데 암반지역에 255m의 길이와 150m 높이의 대형터널을 뚫어서 만든 그 구조물은 1940년 착공해서 20년만에 완공됐다고 한다. 프랑코는 스페인 내전에서 전사한 5만의 파시스트 군인들과 함께 묻혔다. 이건 뭐 거의 진시황의 무덤에 부장된 수천기의 병마토용 수준이잖아....
가장 행복한 독재자 프랑코를 닮길 꿈꿨던 작자들은 꽤 된다. 칠레의 피노체트가 거의 근접할 뻔 했는데 피노체트는 면책특권을 박탈당했고 피노체트의 사법처리 수순을 밟기 위한 의료검진이 진행중이다. 88살이나 먹었으니 콩밥 먹어봤자 얼마나 먹겠으며 실질적으로 콩밥 먹을 가능성 보단 상징적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많지만 행복하게 눈 감은 독재자는 프랑코 하나로 족하다. 자연사 하기 전에 제발 피노체트에 대한 사법적 단죄가 내려지길 바랄 뿐이다.
Spanish Loyalist at the instead of Death(1936) : Robert Kapa (1913-1954)
어느 인민전선 병사의 죽음: 보도사진 집단 매그넘의 창시자 이며 전설적 종군 사진기자 로버트 카파를 유명하게 만든 사진이다. 스페인 내전에 대한 글이 나올때면 거의 90퍼센트 자료사진으로 사용된다. 이 글도 그 90퍼센트에 속하나 보다--;;
댓글 목록
xylitol
관리 메뉴
본문
홍... 모로코와 북아프리카면 당시 프랑스의 세력권 아니었나요? 거기에 왜 스페인 군대가 주둔하고 있었나요? 스페인의 "북아프리카 침공"이라니... 알아봐야겠네요.:)부가 정보
molot
관리 메뉴
본문
북아프리카에 프랑스 세력이 강하지만 영국도 셌었죠. 수단 이집트가 대표적입니다. 그 밖에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같은 후발제국주의국가도 아프리카에 침을 흘렸죠. 이탈리아는 이디오피아..스페인에서 바다만 건너면 아프리카죠. 라스팔마스는 아직도 스페인 땅이고..모로코를 두고도 많이 껄떡거렸데요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