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번역 문제

 

한글전용론은 기본적으로 한자라는 전통에 대한 타자화를 골자로 하는데, 그 역사적 배경은 일본에 의한 식민화와 중국으로부터의 문화적 '독립'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본을 매개로한 현대화를 따르기 위해 내부의 '사대'적 전통을 제거하는 운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주의자들의 친일성이 언어의 측면에도 드러나 있는 것이다. 친일적 유산을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한국 현대사 속에 외국어 표기법이 한글전용론에 근거하여 제정된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물론 이러한 한글전용론은 그때나 지금이나 비현실적인 주장일 수 밖에 없다.

 

문제는 이러한 관점이 주변 한자문화권의 고유명사의 번역 표기법에 은근 슬쩍 적용되면서 대중과 지식인(번역자) 사이의 위계를 심화시키고 중국과 일본에 대한 이해에 혼란을 낳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일본어와 중국어를 아는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문제가 없겠으나 번역, 나아가 지식 자체가 대중과 위계적 관계를 만들기 보다는 대중의 지식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면 이러한 번역행태는 개선되어야 하겠다. 일본어 번역의 경우 우리가 기존에 일본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적었기 때문에 대중적 층위에서 그다지 저항이 없었고, 따라서 지식인들 중심의 일본어 고유명사 번역 방식이 어느정도 자리를 잡게 되었지만, 중국어의 경우 상황이 많이 다르다. 2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그래서 논쟁이 되고 있는 것이다. 논쟁은 논리적으로 따지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이지만, 한글전용을 배후로 하는 원음주의라는 일종의 이데올로기의 위력으로 인해 쉽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시도가 조선/한국과 같은 과거의 제국과 새로운 제국 사이에 낀 국가에서 강하게 출현했다는 것이다. 나는 여기에서 우리 학문의 근원적 식민성의 징후를 본다.

어제 쏘아 올려졌다는 중국의 우주선이 '선저우'로 표기되고 있다. '神舟'를 '선저우'로 번역하여 표기하는 것은 분명 잘못 번역한 것이며 의미의 전달 측면에서 보면 사실상 번역을 하지 않은 것과 같다. 선저우라고 번역하고 '神舟'를 병기하는 것은 언중에게 외국어를 배우라는 요구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신주(神舟)'라고 표기되어야  옳다. 아울러 한글 속의 한자어는 반드시 한자로 표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한자와의 연관성이 제거될 수는 없다. 지속적인 조어 과정 중에 기존의 한글과 한자의 연관성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는게 우리의 언어 현실이기 때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