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100만의 의미...

 

김진 논설위원이 문제를 제기했었던 모양이다. 내 고민과 맥락은 다르지만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

 

100만... 2016년의 100만은 1987년의 100만과 어떻게 다를까. 통계적 근거는 없지만 1950년의 100만 또는 1945년의 100만과는 어떻게 다를까.

 

지금 100만은 성인인구를 낮게 잡아 4000만으로 놓고 봐고 2.5%에 불과하다. 중고생들이 포함되어 있으니 실제로는 2% 남짓으로 봐야할 것이다. 그런데 단순히 통계적 비율이 낮다고 의미가 반감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갖는 대표성일 것이다.

 

나는 80년대의 '민주화'를 포함해서 그동안 고귀한 희생은 반복적으로 있었으나, 우리가 진정 진보의 길로 걸어왔는가에 대해서는 강한 의구심을 가진다. 게다가 나는 이 과정에 대해 자화자찬하는 '민주화 담론'을 역사적 단절을 기반으로 한 신식민체제의 담론적 완성으로 이해한다. 앞서 다른 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자율성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실의 모순이 열어제끼는 대중적 공간은 변혁적 운동과 지식이 대중적으로 조우하고 소통되는 장소여야 하는데, 해방 이후의 전반적 추세는 지식 작용의 소멸과 쇠퇴의 과정이었다. 2000년대 이후의 여러 '촛불'들은 이러한 모습을 매우 노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노골적 '탈지성화/반지성화'가 사실은 신식민주의적 '보통교육'의 안정화에 의해 완성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제약조건을 문제삼지 않을 수 없다. 분단 하 변혁적 '당'의 불가능성이라는 문제가 그렇다. '당'이 없는 우리들의 조건은 지식과 대중 사이에 접점을 갖지 못하게 한다. 우리 나름의 실천/조직 양식을 창조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권역적 국제주의'는 아마 이 문제를 감당하기 위한 하나의 담론적 실험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