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陳映真 [1937-2016] 선생을 추모하며

 

 

북경/대만 시간 11월 22일 대만의 사상가 진영진 선생이 세상을 떠났다. 향년 79세의 일기로 삶을 마감했다. 1937년 생으로 박현채 선생님 보다 세 살 아래인 그다. 박 선생님과 마찬가지로 20세기 식민, 분단, 냉전의 당사자이자 그와 같은 대만의 역사에 대한 단절적 인식을 극복하고자 헌신적이고 실천적인 삶을 살았던 사상가다. 한편 내게는 박현채 선생에게 다가설 수 있는 근거지였던 진영진 선생이었다. 나는 내 박사논문에서 이 둘을 당대의 ‘역사적 중간물’로 마주 세웠다.

 

진영진 선생의 문학 작품을 읽기 시작했던 것이 아마 2013년 가을이었던 것 같다. 이듬해 자격고사를 준비하며 그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작품 전체를 한번 통독을 했었다. 이 시기는 이미 대만에서 공부를 하고 생활을 한 지 7년 차에 접어들 때였다. 대만에 대한 공부도 적다고 보긴 어려웠고 관심도 꾸준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대만은 더더욱 실마리를 찾기 어려운 복잡한 대상으로 여겨졌었다.

 

그 즈음에 진영진 선생이 1980년대 중후반에 혼신의 힘과 열정으로 만들었던 《人間》이라는 잡지를 계승한 《人間思想》이라는 잡지가 2012년 창간 되었고,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 다른 친구들보다는 훨씬 늦게 진영진 선생의 작품을 읽기 시작했다. 사실 당시 우리 써클에서 진영진은 점차 하나의 공통 언어가 되어 가고 있었지만, 나는 여러 핑계를 들어 거리를 두고 있던 참이었다.

 

그리고 아마 그즈음 나는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박현채 사상을 주제로 정하기로 마음을 굳히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이 실행가능하려면 반드시 대만이라는 근거지가 필요했다. 그 기대를 품고 진영진 선생의 문학 작품을 읽어나갔다. 그리고 나는 여러 번 가슴 뛰는 경험을 하면서 비로소 ‘대만’을 일방적 타자가 아닌 대화적 관계에서 다가갈 수 있는 출발점으로서 초보적인 상호참조의 범주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것은 식민, 분단, 내전이라는 범주로 개괄되었다. 그래서 나는 박현채 선생을 읽을 수 있게 되었고, 다시 박현채 선생도 내개 ‘남한’ 그 자체로 간주되었다. 진영진 선생이 곧 대만이었던 것처럼. 그만큼 둘 다 역사적 중간물로서 곤혹과 긴장과 치열함을 넘치도록 간직하고 있었다.

 

사실 기회가 주어진다면 진영진 문학작품을 번역하며 평생을 살아도 안타깝지 않겠다는 생각까지도 했었다. 그의 문학 작품은 대만의 단절된 역사를 다시 이어주기도 하지만, 초기부터 후기까지 그의 작품 모두 사실상 남한 지식사상계를 향한 선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는 주로 소설가로 알려져 있지만, 미술에도 조예가 깊었고, 80년대를 대표하는 잡지를 만들어 발행하기도 했으며, 대만 좌익/통일계열의 정치가이기도 했고, 대만 사회성격논쟁을 제기한 사회과학 연구자이기도 했다. 그의 삶의 궤적은 이와 같이 사상가적 면모를 물씬 풍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의 사상이 그의 문학에 가장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현재 국내에는 진영진 선생의 마지막 소설집 《충효공원》(문학과지성사, 2011)에 실린 세 편의 중편과 중국현대문학전집에 실린 단편 <야행화차>만 번역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초중기 역사구도를 정립하는 작품들, 그리고 신식민적 지식문화를 풍자한 작품들, 특히 출옥 이후 나온 워싱턴 빌딩 시리즈와 백색테러 시리즈 모두 어서 빨리 한국어 번역으로 우리 지식사상계와 만날 수 있게 되길 희망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