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왕휘 선생님 근황?

 왕휘 선생이 최근 뭘 하고 계신가 궁금해서 좀 찾아보았다. 전리군 선생의 비판이 제기된 후 어떤 반응일지 궁금했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나름 자신의 입장을 보충하는 글들을 쓰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해보았다. 예전 함께 있을 때는 그다지 직접 물어볼 이야기가 많이 없었는데, 지금 오히려 주고 받을 이야기가 많아졌다는 생각이 든다. 이해가는 부분도 많아졌고, 경계하는 부분도 명확해지고 있는 셈이다.

 

《文化纵横》2011年10月刊에 발표된 글이고 인터넷에 전문이 올라오진 않았는데, 올라온 부분의 마지막 단락을 번역해둔다. 제목은 "再问“什么的平等”?"인데, " '무엇의 평등'인가를 다시 묻다" 정도가 되겠다. 인용부분의 앞에서는 평등에 대한 정치사상적 논의를 약간 소개하고, 주로 농촌문제 특히 도농이원구조와 농촌의 도시화/현대화 등의 문제 그리고 관련된 실험 등을 제기한다. 경제 민주라는 범주를 넘어서 민주적 사회형식의 차원에서 토론해야 한다는 논리로 나아가고 궁극적으로 농민들의 주체성을 논의의 핵심으로 사고하고 있다. 그리고 정치민주, 특히 최근 중국 농촌에서 진행되는 기층 선거나 의회민주가 궁극적으로 민주적 사회형식을 담보하지 못하고 과두제로 전락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한다.

http://www.21bcr.com/a/shiye/renwusixiang/2011/1027/3200.html

 

결국 민주적 사회형식이라는 범주로 이러한 영역에의 탐색과 실천을 서술하는 것이 경제민주라는 범주 보다 더욱 타당하다. 이유는 기업 민주와 토지 관계는 "경제" 범주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노동자의 사회적 지위 문제에 관련되고, 도농간의 상호적이고 비종속적인 관계 문제에 관련된다.자본주의의 역사 속에서 정치민주와 민주적 사회형식 사이의 관계는 필연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민주적 사회형식의 쇠퇴는 종국에 필연적으로 정치민주의 위기를 초래하였다. 선거권, 다당제 등등의 정치체제 문제가 만약 민주적 사회형식과 상호 결합될 수 없다면 필연적으로 분열된 사회를 낳을 것이다. 근본적으로 말해서, 중국 혁명과 사회주의 실천을 겪은 중국에서 그 민주적 실천은 반드시 계급적 분화를 극복해야하고, 착취 관계를 합법화하는 사회-정치 형식과 달리 노동의 철저한 추상화를 거부하는 생산모델을 창조해야 한다. 이른바 이인위본(以人为本,사람을 근본으로 한다는 것)은 노역과 부용附庸 관계를 극복한 후, 경제, 문화, 정치 관계를 종합하는 조직형태를 창조한 후 비로소 실현할 수 있지 않겠는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