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알튀세르의 작업 전체는 '돌발로서의 시작'(commencement qua surgissement)이라는 문제로 집약될 수 있을지 모른다. 초기에는 새로운 과학의 설립이, 후기에는 새로운 세력이나 정치체의 설립(물론 이런 구분은 편의적이고 도식적인 것이다)이 각각 전면에 나선다. 그가 철학에 점점 더 중심적 지위를 주는 것도 이 때문일 텐데, 초기(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기비판 이후)의 알튀세르에게 철학이란 아직 과학이 아닌 것(이데올로기 특히 이론적 이데올로기)에서 과학이 돌발하는 그 순간, 또는 차라리 그 갈등적 과정과 투쟁 자체를 이르는 것이고, 후기(더 정확히 말하면 자기비판 이후)의 알튀세르에게 철학은 (모든 정치적 실천을 과잉결정하는) 이데올로기(특히 실천적 이데올로기)에서의 계급투쟁, 맞수가 점유하고 있는 상징적 진지를 탈취하고, 확보한 진지를 탈환하기 위해 끝없이 이어지는 맞수의 공격에 응수함으로써, 유리한 이데올로기적 세력관계를 설립.지속하는 갈등과 투쟁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물론 철학은 과학이 아니고 정치가 아니다. 그러나 알튀세르가 보기에, 자신이 정의한 의미에서의 철학이 없다면 새로운 과학은, 더욱이 혁명적 정치는 시작될 수 없다. 세계는 허공이 아니라, 무언가로 이미 가득 차 있는 곳으로, 기성의(accompli, accomplished) 질서와 세력관계는 새롭고 혁명적인 것이 시작될 수 있는 공간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성의 질서를 동사적 의미에서 '미완'(inachever, incomplete)시키고, 새로운 것의 도래를 예견/선취(anticiper, prefigure)하는 차이화(différenciation, differentiation)와 거리두기(Verfremdung, distanciation), 자리바꿈(déplacement, displacement), 심지어 (시베르탱-블랑이 말하는 것처럼) '은유화'(métaphorisation, metaphorization)와 (랑시에르 식으로 말하자면) '탈동일화'(désidentification, disidentification)의 실천이 필요하다. 이는 실험적이고, 불확실하며, 잠재적인, 따라서 일종의 내기(pari, wager)의 성격을 띤다. 철학이 과학이나 정치가 아니라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하지만 철학, 또는 차라리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지시된 우발성(aléatoire, contingency)의 자리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과학과 정치는 시작할 수 없거나, 시작했다 하더라도 느닷없이 중단되고 소멸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정세는 항상 변화하며, 맞수 역시 변화한 정세를 이용하여 새롭고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끝없이 반격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알튀세르가 '철학'이라는 이름을 완강하게 고수함으로써 제기하려 했던 것은, '돌발로서의 (재)시작'을 위해 필요한 지적 조건은 무엇이고, 그것을 확보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였다. 알튀세르의 작업에 관해 이런저런 이견들이 있겠지만, 그가 제기한 이 문제는 가히 영원한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7/17 13:03 2011/07/17 13:03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6

발리바르가 Violence et Civilité (2010) 45쪽 각주 2에서 언급한

4편의 글 중 3편은 구했는데,

Philippe Raynaud, "Les philosophes et la civilité", dans Phlippe Roger (dir.), L'Homme des Lumières de Paris à Pétersbourg, Naples, Biblioteca Europea, Vivarium, 1995. 은 도서관에 없다.

도서관에 신청할 수 있는 책 한도도 넘어서 아마 당분간 구하기 어려울 듯...

 

이 중 단행본은 제외하고,

사전(辭典) 성격의 논문 2편을 올린다.

 

[Civilisation-Civilité.pdf (2.14 MB) 다운받기]

[La civilité et la politesse.pdf (2.66 MB) 다운받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6/01 14:01 2011/06/01 14:01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5

유재하, 그대 내품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나가수>에서 박정현이 이 노래를 불렀다.

박정현은 내가 지금까지 알았던 것보다 더 훌륭한 가수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5/29 19:54 2011/05/29 19:54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4

석존의 출가

"즐겁게 놀고 난 하루의 피로를 풀려고 태자는 침상에 몸을 기대셨다. 수많은 아리따운 궁녀들은 태자를 위로하려고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며 장단을 맞춰 춤을 추었다. 그러나 지금은 가무의 미묘함도 고요한 태자의 마음을 움직일 길이 없었다. 태자는 어느새 잠에 빠져들었다. 궁녀들도 이를 보고서는 춤추고 노래할 흥이 나지 않아 주악을 그치고 잠에 빠졌다. 향유의 등불만이 고요함 중에 깜박이고 있었다. 태자는 문득 잠에서 깨어나 침상에 앉아 이 광경을 바라보셨다.

정적에 넘치는 밤, 아름다운 궁전, 향기로운 향등 속에 지친 무희들의 잠든 한심한 모습! 참으로 낮에는 화려한 궁전도 밤에는 무덤 같았다. 태자는 몸서리치면서 일어나 "일체가 이 모양이다. 더 참을 수는 없다"고 마음 속으로 부르짖고는 곧 궁전을 탈출하려고 결심(한다)."

- 불교성전편찬연구회 편역, <신역 불교성전>, 홍신문화사, 1992, 22~23쪽(제5절 출가).

 

불경을 제대로 읽어본 적은 없지만

석존의 출가에 관한 설화,

곧 천하에 부러울 게 없던 한 태자가

궁의 네 문을 나서 노, 병, 사를 목격한 후 출가자를 만나는 장면('사문출유'),

그리고 출가를 결심한 태자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왕이 베푼 성대한 연회가 끝난 후

그 아름답고 화려하던 사람과 물건이 어지럽고 추하며 무덤처럼 변한 걸 보고

궁을 탈출하는 장면은 기억에서 쉬 잊히지 않는다.

 

개인적으로는 늦게까지 술 먹고 그 자리에서 잠들었다가

다음날 폐허로 변한 모습을 보면서 알 수 없는 허무함을 느낀 적이 꽤 있거니와,

주위가 어지럽지 않고, 또 제대로 집에 들어갔다 하더라도,

전날 술자리에서의 흥겨움 심지어 '광란'과의 괴리 때문에

다음날의 평범한 일상을 왠지 우울하게 느끼는 경험을 할 때마다

저 장면이 떠오르곤 했다.

 

근래 왁자지껄한 술자리를 자주 안 하다 보니

어쩌다 그런 자리를 들르고 나면 때때로 비슷한 느낌이 드는데

어제 오랜만에 동기들이랑 술을 먹고 오늘 아침 눈을 떴을 때도 좀 그랬다.

휴일이어서, 숙취를 이기고 정신없이 출근할 필요도 없고

술이 완전히 깨지 않아 글자가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으며

영화도 왠지 확 끌리지 않는 날.

오늘은 그런 날이었다.

불경의 저 장면이 새삼 떠오른 까닭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5/10 22:16 2011/05/10 22:16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3

<아일랜드> - 개인으로서의 인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아: 나 좀 가만 놔 둬, 국아. 응?

강국: 그 분이, 그렇게 밉냐? 그렇게 이해가 안 되냐?

중아: 안 미워. 이해해.

강국: 그럼 친자 확인이라도 해. 일주일이면 결과 나와.

중아: 지금은 좀! 내가 사람이 돼야, 부모를 만나지. 난 아직 사람이 아니야. 계속 입양 다닐까? 한국에서 힘들다고, 아일랜드 가족한테 엎어지고, 거기서 힘들었다고 다시, 한국 가족한테 엎어지고. 그렇게 살까 나? 사람 아니고, 입양아로만 살까?

강국: 뭐…, 입양아는 사람 아닌가….

중아: 진짜 사람. 내가 만드는, 진짜 사람. 아무도 안 끼어들고, 내가 만드는 사람으로, 아무한테도 안 맡겨지고, 내가 만드는 사람으로. 나 그렇게 만들고 싶어. 너한테 엎어져 있느라고, 그걸 안 했다 내가.

강국: 난, 네가 나한테 엎어져 있는 게 좋은데. 난 내가 네 힘이 되는 줄 알았는데. 내가 너한텐 별로였네.

 

- 김진만 연출, 인정옥 극본, <아일랜드> 6회

 

--------------------------

 

황금연휴를 만나서 밀린 영상과 글을 (다시) 보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젤 좋아했던 드라마인 <아일랜드>다.

당시 위 장면을 가장 인상깊게 봤는데

다시 봐도 역시 그렇다.

작품의 주제가 집약되어 있기도 하고,

중아와 국이 이별하는 이유를 가장 분명하게 상연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런 대사는, 적어도 내가 본 드라마에 한에서는,

<아일랜드>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었다.

그게 입양아든, 고아든,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된 이든,

드라마에서 '정상 가족'의 유대에서 이탈한 인물들은

대개 새로운 가족을 찾아 헤매거나 기존 가족을 회복하려는 식으로

얼마간 필사적으로 움직이거나,

그도 아니라면 이 '연옥'에서 심한 고통을 느꼈던 것 같다.

물론 <아일랜드>가 가족이나 공동체 일반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일랜드>는 이 이탈의 시간을 어떻게든 단축시키려 들기보다

이 시간을 유예하면서 '개인-되기'를 뒷받침하는 환경으로 변조하려 한다.

'계속 입양 다닐까'라는 표현에서 잘 나타나듯

이 장면에서 말하는 '가족' 및 가족에 대한 소속으로서 '입양'(adoption)은

'일차 공동체' 및 유희 없는 소속 방식으로서 '접착'(adhesion)의 환유일 것이다.

개인이 되려면 그런 소속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중아는 주장한다.

거리두기를 통해 확보된 여백에서, 직업이나 우정,

그리고 (중아가 자신에게 '엎어져 있'길 바라는 국과는 만들 수 없는) 사랑의 관계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이 되라는 것, 가족에 '가입'하되 가족에 '접착'되지 말라는 것이

내가 이 장면에서 수신한 전갈이었다.

 

<네 멋대로 해라>의 중심에 고복수라는 남성이 있고,

송미래와 전경이라는 여성은 어쨌든 그의 (필수적) 지지자 역할에 머무른다면,

<아일랜드>의 중심에는 이제 이중아라는 여성이 서고,

강국과 이재복이라는 남성이 그녀의 (마찬가지로 필수적인) 지지자가 된다.

여성의 개인화/개성화를 중심에 놓을 뿐더러

다른 관계(그게 직업이든, 가족이든, 연애든간에)를 이 목적의 수단이나 조건으로

이 정도까지 배치한 드라마가 과연 있었던가?

난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중아의 개인화 방식은, 물론 이 드라마의 중심에 있긴 하지만,

중아가 상징하는 인물의 기질에 맞는 한 가지 방식일 뿐이다.

이 드라마에는 네 명의 주요 인물, 더 정확히 말하면 소수자 유형이 나온다.

(탈)입양아 이중아, 고아 강국,

에로연기로 가족을 부양하는 한시연, 실업과 반실업을 오가는 이재복.

각자에게는 소수자로서의 아픔이 있고,

이를 치유하거나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관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중아가 원하는 관계를 국은 (어느 시점 후에는) 주지 못하고

시연에게 필요한 관계를 재복은 (역시 어느 시점 후에는) 주지 못한다.

(그리고 그 역도 마찬가지다.)

중아의 입장에서 국이 상징하는 (가족과 경호로 대표되는) 안정성은 독이고,

시연의 처지에서 재복이 상징하는, 자유롭지만 불안정하고 일시적인 관계 역시 그렇다.

국과 재복 자체가 나쁜 이들은 아니나, 어느 시점 후의 중아와 시연과의 관계에서는

슬픔이 따라나올 따름이다.

 

즉 이 드라마는, 소수자들끼리, 또는 상처 입은 이들끼리 서로 이해하고 보듬는다는

통상적인, 하지만 대개는 안일한 관념을 비판한다.

말하자면 소수자들의 자생적 유대란 없다.

그들 각자의 상처와 아픔, 거기에 알맞는 치유와 관계를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고

두루뭉실하게 접근한다면 오히려 사태가 악화될 뿐이다.

어느 시점 후의 중아와 시연에게 국과 재복은 고통을 크게 할 뿐이다.

하지만 어느 시점 후에 중아가 재복을, 시연이 국을 만난다면

그들은 선순환을 그리면서 함께 성장할 수 있다.

자유를 원하는 중아에게는 '기둥서방'이,

보호를 원하는 시연에게는 '경호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역도 마찬가지다.)

 

어떻게 성공적으로 이별할 것인가,

또는 어떻게 한 관계를 깡그리 파괴하지 않으면서 다른 관계로 성공적으로 이행할 것인가

라는 <아일랜드>의 이 놀라운 질문.

(이 드라마 2회 마지막 부분에서 '1년 후'라는 자막과 함께

중아와 국, 시연과 재복은 다소 느닷없이 함께 살고 있으며,

국이 중아를 보내주겠다고 마침내 결정하는 것은 15회이다.

드라마 대부분이 이별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이런 드라마가 2004년 공중파 방송국에서 제작되고, 방영되고,

따라서 기록으로 남았다는 게 놀랍고, 또 고마울 따름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5/06 15:33 2011/05/06 15:33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2

 

 

과문하지만 내가 지금껏 들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중에서는

리히터가 바르샤바 교향악단과 협연한 이 연주가 최고였다.

피아노 한 대가 교향악단 전체를 이렇게까지 밀어붙일 수 있다는 게 놀라울 뿐더러

이 곡을 소개시켜 준 한 선배의 말에 따르면

7분 조금 못 되는 시점에서는

교향악단이 자신의 연주를 따라올 수 있게끔 잠시 연주를 늦추는

믿을 수 없는 장면이 펼쳐진다.

숙제는 제대로 못 하고 있지만(ㅠㅠ)

오랜만에 그의 음악을 크게 틀어놓고 있자니 그저 좋을 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5/03 02:45 2011/05/03 02:45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1

이번 학기에 읽을 글 중 하나

학교수업 중에 <논문연구>라는 과목이 있는데

강의계획이 있는 정식수업이 아니고,

(석사/박사)논문 주제와 관련있는 교수를 선정하여 1대 1 지도를 받는 수업이다.

말은 그런데, 실제로는 대개 형식적으로 진행되어서

한 학기에 한두 번 정도 만나서 밥먹고 얘기나누는 데 그치곤 한다고 들었다.

 

나는 이번 학기에 김홍중 선생과 논문연구를 하기로 했는데

학기 초에 만나서 상의하기를,

너무 부담스럽게 하지는 않되, 그래도 너무 형식적이지는 않게 진행키로 하고

한 달에 한 번 정도 만나 적당한 불어 글을 하나 번역하고 이야기하는

자리를 갖는 것으로 했다.

 

무슨 글을 읽을까 좀 고민하다가

지난 학기 보고서 쓴 것도 있고, 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해서

마르셀 모스의 <사회학과 인류학>에 레비스트로스가 붙인 서문(1950)

을 읽기로 했다. [Introduction (1950).pdf (3.90 MB) 다운받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담없이 가자고는 했지만

정식으로 레비스트로스를 읽는 건 처음이라 어떨지 모르겠다.

뭐 이런 장치라도 있어야 고민을 놓지 않을 것 같아서 벌인 일이긴 하지만

쉬운 일이 아닌 건 분명하다.

오늘이 벌써 4월 5일이니까 이제 2주 남았다.

하는 일은 별로 없는데, 시간은 참 빨리 가는구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4/05 20:17 2011/04/05 20:17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40

충격적으로 귀엽다!

며칠 전, 지브리 스튜디오 25주년 기념 차

일본 부도칸에서 열린 히사이시 조 콘서트 DVD

를 구했다. (구할 수 있는 주소는 http://www.etorrent.co.kr/bbs/board.php?bo_table=torrent_mov1&wr_id=2091258&page=&c_page=1)

지브리 팬이라면 열광하지 않을 수 없는 공연인데,

중간에 한 아이가 포뇨 노래를 부르는데, 정말 충격적으로 귀엽다!

사실 이 캡쳐 사진으로는 그 느낌이 잘 전달되지 않고

이 아이의 율동과 노래를 함께 들어야 한다.

웃지 않고 무표정하게 부르니까 더 귀엽다.

인형이 노래부른다면 아마 이럴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4/01 13:47 2011/04/01 13:47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9

제도

"A politics of civility therefore aims at changing the social conditions of perception, which are not only cultural, but also institutional. Such change is possible provided we do not adopt a narrow, purely legal and administrative view of institutions, but see them as a dialectical interplay of traditions and critiques, collective and individual inventions, where the exception and the provocation shape new normativities. Which is typically what writers, artists, and experimental thinkers aim to do."

- Etienne Balibar, "Interview with Étienne Balibar", in Beth Hinderliter et al. eds., Communities of Senses: Rethinking Aesthetics and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9, p.319.

 

오늘 수업은 참 쓸데없었는데

특히 제도와 사회운동을 외재적으로 대립시킨 점이 더 그랬다.

듣다 보니 며칠 전 읽은 위 문구가 떠올랐다.

뭐 그랬다는 얘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22 21:45 2011/03/22 21:4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8

너는 나의 봄이다

성시경 개인에 관해서는 이런저런 얘기가 있지만,

그의 목소리만큼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입대 전 마지막 노래로 [그들이 사는 세상] OST를 불렀고

제대 후 첫 노래로 [시크릿 가든] OST를 불렀는데

공교롭게 둘 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들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19 18:17 2011/03/19 18:17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7

« Previous : 1 : 2 : 3 : 4 : 5 : ... 18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88804
Today:
47
Yesterday: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