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A politics of civility therefore aims at changing the social conditions of perception, which are not only cultural, but also institutional. Such change is possible provided we do not adopt a narrow, purely legal and administrative view of institutions, but see them as a dialectical interplay of traditions and critiques, collective and individual inventions, where the exception and the provocation shape new normativities. Which is typically what writers, artists, and experimental thinkers aim to do."

- Etienne Balibar, "Interview with Étienne Balibar", in Beth Hinderliter et al. eds., Communities of Senses: Rethinking Aesthetics and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9, p.319.

 

오늘 수업은 참 쓸데없었는데

특히 제도와 사회운동을 외재적으로 대립시킨 점이 더 그랬다.

듣다 보니 며칠 전 읽은 위 문구가 떠올랐다.

뭐 그랬다는 얘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22 21:45 2011/03/22 21:4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8

너는 나의 봄이다

성시경 개인에 관해서는 이런저런 얘기가 있지만,

그의 목소리만큼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입대 전 마지막 노래로 [그들이 사는 세상] OST를 불렀고

제대 후 첫 노래로 [시크릿 가든] OST를 불렀는데

공교롭게 둘 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들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19 18:17 2011/03/19 18:17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7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 유혹을 못 이기고 인터뷰를 읽었다...

월요일이 되어야 복사기를 쓸 수 있으니,

새까맣게 줄치며 읽을 수 있을 그 때까지 어떻게 기다릴지...

어쨌든 발리바르의 이 언급(그리고 이 언급 전후의 다른 언급들)은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발리바르(나아가 푸코와 브레히트와 맑스),

그리하여 정치와 예술(또는 감성학으로서의 미학)의 관계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퍽 흥미로운 내용이 아닐 수 없으리라.

 

"(…) It would be fascinating, if we had time, to discuss these concepts'[랑시에르의 'partage' 개념 - 인용자] relationship to a traditional notion of ideology in the Althusserian sense. From Althusser, Rancière inherited a Brechtian insistence on the reciprocity of perspectives between theater and politics, which allows one to understand how political agents can distance themselves from their own representations in history or actively produce new ones. But Rancière completely rejected the Marxian idea that discourses ― with the ideal exception of the discourse of a scientific practice of politics ― remain blind to their own determinations. This also leads him to suggest another possible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metaphor of the theatrical stage, the one that I borrowed from Freud's idea of "the other scene," that is, the theater of the unconscious. This has been for years the latent, at times even explicit, divergence between Rancière and me (perhaps two very different ways of departing from Althusser): he would insist on the manifest side of the scene, the semantic and sensible process that makes the conflict visible, and I would insist on the hidden side of the scene (except for some violent intrusions), which calls for a "civilization" of revolution itself. He would also insist on the emancipatory breakthrough that sets a new stage for the political by giving a new visibility to the discourses and the bodies that were barred from public expression; and I would insist on the risks, the ambivalence of the violence that is necessary to break the consensus, to remove or open up the power structures that prevent the subaltern from sharing in the public sphere or the dominant culture. (…)"

- Etienne Balibar, "Interview with Étienne Balibar", in Beth Hinderliter et al. eds., Communities of Senses: Rethinking Aesthetics and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9, p.32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19 16:46 2011/03/19 16:46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6

구조 개념의 효과

"Car le même problème se pose également dans toutes les disciplines qui ont pour objet les faits culturels: qu'est-ce qui permet de reconnaître, par exemple, dans l'ensemble des phénomênes divers et confus à travers lequels il se réalise, ce qu'on appelle un mariage? Croit-on qu'on puisse se contenter d'observer les gestes des acteurs? Inversement, croit-on qu'il suffise de constater qu'on enferme depuis des siècles des individus désignés comme des coupables pour affirmer qu'il s'agit d'une seule et même pratique? Lévi-Strauss notait que deux récits mythiques qui ne se ressemblent pas peuvent être deux formes d'un même mythe, alors que deux motifs narratifs semblables appartiennent en réalité à des univers tout à fait différents, et convoquait à la barre les textes de Saussure. Le structuralisme en histoire n'a-t-il pas aussi été avant tout une manière de relever le problème que posait la délimitation d'un événement? Et si Foucault a pu sembler un temps appartenir au structuralisme, n'est-ce pas parce qu'il proposait un concept d'énoncé qui ne confondait pas avec telle ou telle phrase prononcée? Mieux, dans toute son œuvre, ne s'efforce-t-il pas de défaire les continuités apparentes pour montrer que des pratiques apparemment similaires, comme l'enfermement, l'aveu, l'abstinence, peuvent avoir une définition profondément différente en fonction des contextes historiques dans lesquels elles sont prises? De même, Althusser a eu recours au concept de structure lorsqu'il s'est agi de montrer que le corpus des textes de Marx ne fournissait pas l'unité pertinente permettant de comprendre sa pensée parce qu'il était traversé par un «changement de problématique». La structure ne désignait pas la forme d'une totalité donnée, mais au contraire le moyen de diagnostiquer les discontinuités réelles sous les continuités apparentes. Il n'y a pas une méthode commune, mais un problème commun, qui a été construit de manières différentes."

- Patrice Maniglier, La Vie énigmatique des signes - Saussure et la naissance du structuralisme, Éditions Léo Scheer, 2006, pp.16~17.

 

구조주의 운동이 공유한 문제, 유사성 비판.

인상적인 대목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13 13:48 2011/03/13 13:48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3

"Let us first remember Machiavelli, particularly one aspect of his thought which has been particularly influential on contemporary neo-republican and democratic theories which in the post-68 era combined a post-totalitarian reflection on the immanent perversions of revolutionary conquests of power and, more positively, a phenomenology of “new social movements”, which aimed not so much at “conquering power” than democratizing existing institutions or pushing and coercing the State towards its own democratization (thus in a sense retrieving  a fundamental tradition of civic mobilizations and movements for civil rights). I am particularly thinking of Hannah Arendt, Claude Lefort, and Jacques Rancière. Machiavelli’s proposition, as we remember, expressed in the first chapters of the Discourses on Livy, states that in class societies (he speaks of the “humors” among which the wealth, prestige and power are unequally distributed in the Republics, ancient or modern, Rome and Florence being taken as examples), the objective of the dominant classes is to keep their power and increase it continuously, therefore oppress the dominated mass, but the objective of the mass is simply not to be dominated: it is not to conquer power or reverse the relationship in a symmetric manner, to become dominant in turn, but to neutralize the dominant will to power. The consequences of such negative representation of the political quest for justice, whose relative success in the history of Republics Machiavelli would credit for their prosperity and stability, are far reaching as we know, perhaps more than ever in today’s politics."

- Etienne Balibar, "Justice and Equality: A Political Dilemma?: Pascal, Plato, Marx"

(내가 가지고 있는 영역본의 출처는 Umbra였던 것 같은데, 확실치 않다. 어쨌든 인터넷에 전문이 있어 링크한다. www.mcrg.ac.in/Lecture_Etienne.pdf)

 

작년 언젠가 이 글 불어본을 인용했는데

오늘 우연히 영역본을 인터넷에서 찾았다.

작년에도 이 문구를 인용하고 단상을 적어 두었는데

다시 봐도 눈에 확 들어오는 주장이다.

계속 생각할 문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10 16:39 2011/03/10 16:39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2

발리바르의 2009년 인터뷰

생각난 김에, 웹서핑 중 우연히 구한 발리바르의 2009년 인터뷰를 등록한다.

(http://www.puf.com/puf_wiki/images/7/7a/Interview_Balibar.pdf)

 

제목이 "Il faut développer une éthique de soi"인데

의미심장하게 느껴진다.

후기 푸코를 비판적으로 상속하는 발리바르 나름의 방식이 아닐까 해서인데

물론 '상속'과 '비판'이 함께 있다는 게 중요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06 20:25 2011/03/06 20:2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1

구조주의에 관한 발리바르의 글

제목은 "Structure. Method or subversion of ths social sciences?"로

원래 발리바르가 1990년대 중반에 쓴 것인데

(불어본 주소는 http://www.ciepfc.fr/spip.php?article210)

이번에 Radical Philosophy에서 영역했다.

다른 글들은 유료인데, 이 글은 무료다. ㅋ

(ww.radicalphilosophy.com/pdf/highlight_balibar165.pdf)

 

 

French Philosophy Since 1945: Problems, Concepts, Inventions, Postwar French Thought, Volume IV

 

 

발리바르가 공동편집자인 위 책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데

출간일이 계속 미뤄지다가, 지금은 3월 10일 발간 예정이다.

(March가 아니라 May였군...)

저 책이 나오면 구조주의에 관한 발리바르의 견해를 더 자세히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엔 꼭 나오기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06 14:15 2011/03/06 14:1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30

개강 첫 주, 첫 주말

원래 어제는 세미나가 있는 날이었고 게다가 발제까지 해야 했는데

며칠 전에 연기됐다. 덕분에 다른 일을 처리할 수 있었고

결국 일 하나를 (일단) 끝마쳤다.

(그리고 그제도 오랫동안 미뤘던 일을 하나 끝냈다.)

하지만 늦어도 방학까지는 끝내야 했던 일 하나를 마치지 못했기 때문에

오늘도 학교에 나왔다. ㅠㅠ

 

이런 날은 아예 혼자 있는 게 좋다.

방금까지 연구실에 있던 두 명이 떠나자

이어폰을 뽑고 라디오 불륨을 크게 높인다.

내일까지는 대략 마무리지어야 할 터인데.

바깥 날씨가 더 따뜻했다면 아마 더 우울했으리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05 16:24 2011/03/05 16:24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29

What a gift!

얼마 전 <마키아벨리와 우리> 재판에 발리바르가 붙인 서문을 읽다가

Onaka Kazuya(大中 一彌, 오나카 카즈야)란 이가

파리 10대학에서 후기 알튀세르에 관해 박사논문을 썼다는 각주를 (다시) 발견했다.

 

전에 이 각주를 처음 보고 어떻게 논문을 구할 수 없을까 수소문했었는데,

방법이 묘연해서 지나쳤었다. 이번에는 시도를 해 보자고 생각하고

저자와 연락할 요량으로 인터넷을 뒤졌는데,

예전에 프랑스에서 유학할 때 쓴 것으로 추정된 이메일을 발견했다.

말도 안 되는 영어로 메일을 보냈는데, 며칠 동안 답장이 없었다.

다시 인터넷을 뒤진 결과, 이 사람이 트위터를 쓴다는 걸 알아냈다.

그래서 트위터에 가입을 해서 팔로워가 됐는데,

그걸로는 이메일 주소를 알 수 없었고,

그의 트위터에는 연락을 원하면 DM을 하라고 했다.

역시 인터넷을 뒤져 DM이 뭔지 알아낸 다음(Direct Message, 즉 '쪽지'였다...)

며칠 전 메일을 보냈다는 내용으로 DM을 보냈다.

 

그리고 집에 왔는데, 집에서 남의 집 무선인터넷 해적질로 인터넷에 들어가 보니,

그 메일은 안 쓴다면서, 메일 내용이 무엇이었냐는 답장이 왔다.

트위터가 140자밖에 안 되고,

또 당시 집에서 남의 집 무선인터넷 해적질을 한 관계로,

140자 보내는 데 1분이 걸리는 역경을 이겨내고(ㅠㅠ)

DM 7장(중간중간 끊긴 것까지 해서 한 30분 걸린 것 같다)을 보냈다.

그러자 그가 좋다며, 'postal address'를 보내라고 했다.

당연히 이메일 주소를 말하는 줄 알고 답장을 보냈는데,

다음 날 일어나서 확인해 보니, 지금 논문 인쇄본밖에 없어서,

우편물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하다는 거였다.

 

사실 메일로 받을 수 있을 줄 알고 연락을 취했던 건데,

아차 싶었다. 하지만 이미 이렇게 된 거,

염치 불구하고 우편물 받을 주소를 보내면서, 착불로 보내줄 것을 부탁했다.

그리고 오늘, 우편물이 도착했는데, 글쎄, 본인 부담으로 보내준 것이다.

게다가 우표가 무려 5000엔(현재 환율로 대략 69000원 정도 된다)이었다!

(자간이 넓긴 하지만, 논문도 600페이지가 넘는, 두 권짜리였다.)

뭐라고 고맙다는 인사를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아마 이런 걸 텐데

더욱이 영어를 잘 못하니 제대로 고맙다는 인사도 못했다...

정말 꼼꼼하고 즐겁게 읽겠다고 약속했는데,

아 언제나 이 약속을 지킬 수 있을지...

 

오나카 카즈야 씨가 이 말을 알아들을 수는 없겠지만,

다시 한 번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정말 감사합니다! 열심히 읽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1/03/02 21:05 2011/03/02 21:05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227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11/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73783
Today:
27
Yesterday: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