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하거나, 안/못 하거나

요즘 새삼 느끼는 것은

뭔가를 한다면 제대로 하거나, 아예 안/못하거나, 해야지

어중간하게 하는 건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제대로' 한다는 것은, 꼭 '잘' 한다는 것,

교육 쪽에서 많이 쓰는 표현으로 '수월성'(秀越性, excellency)을 발휘한다는 것은 아니다.

언제나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고,

무협지의 교훈대로 천외천(天外天)이 있는 법이니,

수월성을 추구하다 보면 악무한에 빠지게 마련이다.

 

다만, 모종의 문턱,

그것을 넘지 못하는 한 1도이든 99도이든, 모두 수증기가 아닌 물에 머무는

그런 임계점은 있는 것 같다.

광활한 허허벌판을 헤매다가

드디어 찾던 집 문고리를 잡는 입문(入門)의 순간,

앞으로도 많은 길이 남아 있지만

그 지점을 넘으면 어쨌든 그럭저럭 해 갈 수 있는 불귀점(不歸點).

 

그 문턱을 넘지 못하는 한

나는 다른 세계로 입장하지 못한다.

아무리 그 세계와 가까이 있는 것처럼 느끼더라도,

단지 1도의 열이 부족할 뿐인데 라고 투덜거리더라도,

내가 여전히 이 세계에 머문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문턱 근처에 있는 이는 더욱 슬프다.

이 세계에도, 저 세계에도 완전히 속하지 못하는 자.

사람들은 그를 흔히 '유령'이라고 부른다.

또는 '박쥐'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금 내가 슬픈 것은

내가 정말로 유령이거나 박쥐이기 때문이 아니라

유령/박쥐가 되지 못한 채, 유령/박쥐가 되기 위해 넘어야 하는 문턱이

눈 앞에서 끊임없이 달아나기 때문,

또는 내가 딛은 문턱이 끊임없이 늘어나 흡사 연옥이 되고

그 곳에서 제논의 거북이를 쫓는 아킬레우스 같은 신세가 되었기 때문이다.

 

분업을 받아들일 수도, 그렇다고 분업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도 없는

이 결정불가능한 곳 앞에, 또는 그 한 가운데 나는 있다.

그리고 우유부단하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연옥은 넓어지고

문득 길을 잃고, 다시 길을 찾고, 또 길을 잃는

허깨비의 삶은 계속된다.

 

이것이 돌파하지 못한 자에게 내려진 형벌일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08/11/10 15:40 2008/11/10 15:40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15

Trackback URL : http://blog.jinbo.net/aporia/trackback/15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 82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75371
Today:
88
Yesterday: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