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이라는 제도

"군중의 열정적 운동.분노.연민은 한 사람의 특정한 개인의식으로부터 유래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우리 각자의 외부로부터 오며, 우리 자신과 상관없이 우리를 몰고 갈 수 있다. (...) 우리가 공통의 감정을 생산하는 데 자발적으로 기여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받은 인상은 만일 우리가 혼자였더라면 경험했었을 것과 매우 다르다. 또한 일단 군중이 흩어지면, 즉 이러한 사회적 영향력이 우리에게 작동하는 것이 그치고 다시 혼자 있게 되면, 우리의 마음을 통해 지나갔던 감정들이 낯설게 나타나고 또한 더 이상 그것을 우리의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에밀 뒤르켐,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윤병철.박창호 옮김, 새물결, 2001, 56~57쪽.

 

조직 없이 보낸 노동자대회는, 철이 든 후엔 거의 처음이지 싶다.

뒤르켐이 말한 것처럼, 감정도 제도다.

다른 제도에 들어가면, 감정도 달라진다.

생각해 보면, 한때 나를 괴롭혔던, 그때 그 선배들은 왜 저렇게 바뀌었을까 하는 질문만큼,

답하기 쉬운 것도 없었다.

선배들은 나와 다른 제도에 들어갔고, 서로를 이어줄

또 다른 제도를 그들과 내가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제도에 들어가서, 전처럼 생각하고 느낀다는 건

거짓말이거나 관념론, 어느 쪽도 아니라면 정말 대단한 거다.

안타깝게도 그리 대단치 않은 나는, 이렇게 또 하루를 보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0/11/08 19:20 2010/11/08 19:20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164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Previous : 1 :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 176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75332
Today:
49
Yesterday: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