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시간의 향기-2 요약 발제문

 

오늘 시간의 향기 마지막 장을 덮었다. 그러나 언재는 안 그랬냐만은 찝찝하다. 사색적 삶에 대한 의문점이 완전이 해소되지 않은듯 하다. 이 책에서 자주 인용되는, 책의 전체적 기반이 된 것이 하이데거의 철학이다. 하지만 나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잘 모른다. 물론 이 책이 쉽게 써져있어서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깊숙이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느껴진다. 이해 할 수 없는 용어들이 연달아 나와 몇 번이나 다시 읽고 이해가 안가 그 페이지를 넘겨던 적이 있다. 기본적으로 이 책은 하이데거의 철학을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렇기에 이 책을 읽을때 느낀 나의 한계는 그의 철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에 있다. 책 본문에서 하이데거의 철학은 그 자체로 사색적인 향기가 가득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그러한 향기를 맡아 본적이 없고 그 향기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는 한계가 있다. 이 책을 읽고 생긴 새로운 욕구와 필요한 것이 있다면 하이데거의 사유에 대해서 좀더 알고 싶다는 것(이 책이 설명한 것이 나에게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한다.)이다. 어떠한 책을 읽을이 아직 생각해둔 것이 없지만 입문서를 염두해두고 있다.

본문 요약

 나는 같은 저자의 피로사회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나는 시간의 향기라는 책을 말하기 이전에 전 저작 피로사회를 다시 생각하는 것은 그 책을 무성의하게 읽은 것이 미안해서 이기도 하지만 주된 이유는 피로사회가 이러한 사회를 분해해서 설명, 진단하였다면 시간의 향기는 그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기 때문이다. 피로사회는 현대의 노동하는 기계로 전락해 버린, 노동을 위해서만 사는 현대인들을 진단한다. 피로사회는 자기 착취의 사회이다. 그곳에서는 모두가 피해자이자 가해자이다. 언젠가 아무것도 안하고 있고, 문뜩 내가 뒤처지는 것 같고, 그래서 뭔가 취업박람회 같은데를 뒤적거린적이 있다면 훌룡한 피로사회의 구성원이다. 게오르그 루카치는 소설 이론 서문에서 이러한 말을 했다.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 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이제 그러한 시대는 지나갔다. 그 별은 이념이 되었든, 역사가 되든, 진리가 되었든, 신이 되든 간에 그 별은 사라졌고 그러한 시대를 상징하는 냉전 또한 사라졌다. 이제 남은 것은 오직 노동, 소비 기계가 되어 신경질환, 비만, 암(피로사회에서는 긍정성의 과잉이 만든 질환이라 설명한다)등을 달고 어디로 갈지 모르는 채로 외롭게 질주하는 이들이 남았고, 폐허속에서 별을 찾기 위해 앓아눕는 이들이 작가들이 있다. 별은 시간의 흐름을 잡아주는 중력의 역할을 한다. 신화의 시대는 영원함을 기본으로 한다. 신은 시간을 주관하여 모든 것들은 신의 섭리에 맞추어 만들어진다. 책은 이를 한 폭의 그림 같다고 말한다. 이제 신이 아니라 자유로운 인간이 시간의 주인이 되었다. 인간으로의 권력교체가 일어나면서 시간의 안정성이 무너졌다. 신이라는 받침대가 사라졌다. 역사의 시대는 하나의 선 같은 시간이다. 모든 것은 과정이다. 이는 진보의 과정이고, 때로는 퇴락의 과정이다. 역사적 시간은 과거를 반복하기 보다는 미래를 따라잡는다. 모든 것은 변화한다. 동일자의 반복이 사라지고 사건이 이를 대신한다. 시간의 의미는 미래에서 나온다. 미래가 지향점이 되는 순간 가속화를 낳는다. 아직까지 시간이 의미를 지니는 동안에는 가속화는 가속화로 인식되지 않는다. 이러한 내달리는 선에서 서사적인 긴장, 목적론적 긴장이 사라져버리면, 선은 방향 없이 어지러이 날라다닌다. 시간은 원자화되어 방향없이 이리저리 헤메인다. 점들 사이에는 공허가 있다. 이 간극은 권태의 원인이 된다. 이 간극이 오래 지속되지 않도록 가속화 된다. 이 가속화의 힘은 삶의 모든 영역을 지배한다. 서사는 시간에 향기를 불어 넣는다. 반면 원자화된 시간은 향기가 없다. 받침대에서 분리된 시간은 마구 내달린다. 가속화는 원인이 아니라, 증상일 뿐이다. 그렇기에 요즘 유행하는 느리게 살기는 치료가 될 수 없다. 이 대안으로서 책은 사색하는 삶, 머무르는 삶을 말한다. 음 비유하자면 구본주 작가의 <배대리의 여백>이 담은 찰나의 순간이 비슷하다고 생각한다.(구본주 작가 전시회를 보러 갔던 경험은 매우 강렬해서 잊을 수 없이 자주 비유하게 된다.) 사색하는 삶은 노동하는 삶, 활동하는 삶과 대비된다. 노동의 강조와 행동의 강조는 모두 활동적 삶의 우위를 바탕으로 한다. 활동하는 삶은 활동이 아닌 모든 것을 삶에서 지워버린다. 조급하다. 시간의 압박은 우회적인 것, 간접적인 것도 파괴한다. 우회적인 것을 빼면 언어는 명령과 고함밖에 남지 않을 것이며 걷는게 지루해진 인간이 춘 춤은 행진으로 경직된다. 폭력은 집적성을 지향한다. 활동적인 삶은 조급하다. 그 속에 머뭇거림이나 멈춤이 없다. 하이데거의 <들길>은 사색의 공간이다. 그 길은 어디를 향해서 가는 것이 아니라 머무름의 공간이다. 사색은 일이 도중에 멈추는 순간 시작된다. 책은 괴테를 인용한다. ‘바이올린은 멎고, 춤꾼은 멈춘다.’ 춤꾼은 멈추는 순간에 공간 전체를 지각하고, 이 순간은 다른 춤이 시작도기 위한 전제이다. 책은 사색적인 시간, 사색적인 삶을 예찬한다. 그리고 책 마지막에 들어서서 말한다. ‘노동의 민주화에 이어 한가로움의 민주화가 도래해야한다. 그래야 노동의 민주화가 만인의 노예화로 전복되는 것을 막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니체를 인용한다. '우리의 문명은 평온의 결핍으로 인해 새로운 야반상태로 치닫고 있다. 활동하는 자, 그러니까 부산한 자가 이렇게 높이 평가 받는 시대는 일찍이 없었다. 따라서 관조적인 면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것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인간 교정 작업 가운데 하나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