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간다빈활 다녀왔다.

- 우선, 잠을 충족하게 못자니 힘들었다.

 

- 반성폭력을 고민하는 건 좋은데, 아니 당연히 있어야 하는데, 고민의 내용이 공문구로 느껴져 답답했다. 모든 상황에 성별권력구조를 대입하는게 반성폭력 운동일까? 그런 접근이 가해자/피해자로 이분한뒤 여성을 피해자로서의 섹슈얼리티로 구속한다는 점을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그 쟁점에 대해서는 부차화시키고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서 성폭력을 고민하자는 말을 반복하는 건, 그것을 강조하는 게 더욱 목표에 부합한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일지, 아니면 당위에 불과할지 의심스러웠다. 물론 후자로 보였기에 적는 것이다. 심하게 말하면, 반성폭력은 얼마나 성폭력적 상황을 잘 발굴하는지, 그 능력을 경연하는 도구가 되어있었다. 여성에게 억압적이고, 여성이 피해입는 것으로 이미 정의내려진 틀에 맞는 현실을 찾는 것은 여성을 더욱 비참하게 만든다.

 

- 빈곤에 대한 접근 역시 마찬가지다. 개인/구조를 이분(대립)하고 빈곤은 신자유주의라는 구조에 의한 것이라는 말을 되뇌이는 건 '자본주의 나빠요'라고 외치는 것과 몇걸음 쯤 떨어져 있는걸까? 빈곤이 재생산되는 구체적인 기전 없이 신자유주의가 모두를 가난하게 만든다는 서술은 너무 공허하다. 이런 접근은 빈곤을 물질적 부의 양으로만 파악하며, 착취를 산술적 계산으로 치환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절대빈곤/상대빈곤의 구분은 빈곤을 화폐 혹은 내적 기준으로만 규정하는 양 편향이다. 노동빈곤에 대한 개념을 아는 사람들이야 알고 있었겠지만, 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조차도 공유되지 못한채 최저임금과 빈곤을 연결시키면 역시 빈곤은 물질적 재화의 소유정도로만 규정될 뿐이다. 그리하여 빈곤은 내 삶과 분리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오히려 빈곤한 이들과 어떤 관계에서 연대맺을 것인지가 불투명해졌다. 한 택시기사가, 빈활하면서 택시를 타냐며 탑승을 거부했는데, 빈활에 참가한 사람들 스스로는 빈곤에 대해 택시기사가 가졌던 인식과 달랐을까? 자신이 빈곤하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것이 빈활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택시를 타도 빈곤한거지. 집에 에어컨이 있어도 빈곤한거라고. 정말 안타까운 건, 집행부 스스로도 빈곤을 대상화시킨 지점에서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사실이다. 한 프로그램은 역 앞에서 홈리스를 찾아 인터뷰를 하는 것이었는데, 참가자들이 빈곤을 내가 아닌 다른 이의 문제로 바라보는 상황에서, 더군다나 노숙인에 대해서는 공고한 선험적인 인식들이 엄연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마치 그것이 없는 것인마냥 '객관적'으로 홈리스를 찾는 게 가능하리라고 생각한 것일까?

 

- 최고 연장자인(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그렇지는 않았다.)게 꽤 부담스러웠다. 굳이 학번/나이를 밝히진 않았지만, 번번이 자기검열에 시달렸다. 새로이 만난 사람들은 반갑고 좋았으나, 앞으로 다시 만날 기약이 없다는 생각이 들고나니 심드렁해졌다. 누구를 만나든, 그럴 필요는 없는데 말이다. 관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그 순간의 관계에 충실하면 될일이라는 걸 알면서도, 괜히 삐딱을 부린다.

 

- 못씻는 건, 나에게 그리 힘든 일은 아니다. 은박매트 위에서 자는 것도 마찬가지. 수면시간만 충분히 주어진다면, 1년 내내라도 그렇게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지.

2010/07/05 02:17 2010/07/05 02:17

지나간다블로그 음악플레이어

지난번에 달았던 플레이어는 MIXPOD(http://mixpod.com)에서 mp3 주소로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었었는데, 왜 파이어폭스에서만 재생이 됐고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먹통이었는지 도무지 알수가 없다. 어쨋든 해결방법을 못찾고, 결국 바꾸는 걸 선택했다.

 

이번에도 MIXPOD의 플레이어고 유투브 동영상을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어놓으면 반복해서 재생해준다.

직접 mp3를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지 못하니 원하는 노래를 들으려면 유투브에 노래가 올려져 있어야 한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그래서 윤선애씨의 노래라든지 유정고밴드의 노래는, 리스트에 못 넣고 있다.ㅠ

 

간편하게 mp3를 동영상으로 만들어 유튜브에 올려주는 사이트(http://mp32tube.com/)가 있긴 한데,

올린 다음 바로 검색이 되는 건 아닌지 MIXPOD에서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할 수가 없다.

시간이 좀 지난 다음에 다시 확인해봐야겠다.

 

 

진보넷 블로그에 달려면 기타 사이트를 선택해서 object가 아닌 embed 코드를 얻어야 한다.

 

비슷한 원리로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가 있는 사이트 : http://www.rukie.com/ver3/

2010/06/25 14:08 2010/06/25 14:08

어제 꿈

몸 상태가 오락가락인데, 그래서인지 꿈도 뒤숭숭

 

어쩐 일인지, 꿈속에서 내가 처리해야할 시체가 4구가 있었다. -_-;

(그 이유는 나오지 않았던 것 같다. 다만 내가 만든 일이라는 자각은 있었다..)

내 집은 8층이었는데, 시체는 9층에도 11층에도 나눠져 있다. 다른 친구 한명도 사실을 알고 있다.

아무리 궁리해도, 한 구면 모를까 네 구나 되는 시체를 처리할 방법이 묘연해 답답해 하면서,

(토막을 내서 갖다 묻어도 네 구는 부피가 너무 커서 다른 주민들 눈에 안띄게 옮기는게 힘들고, 썩는데 시간도 오래걸리겠지라며 꽤 구체적인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나중엔 절망하고서, 말도 안된다며 이건 꿈이겠지라고 생각해봐도 꿈이 아닌걸 깨닫고, 아닌데 이게 현실일리가 없는데...를 반복하며 나락으로 떨어진다.

 

으으으음....

요즘, 잠이 든 것과 깨어있는 것의 중간 쯤에서 헤메는 일이 잦다.

꿈이라고 외쳐도 깨어나지 못하고 나니, 다신 돌아올 수 없는 낯선 곳으로 옮겨지는 것에 대해 가졌던 공포가 떠오른다. 이를테면, 어쩌다 발을 잘못딛어 다른 시공간으로 넘어갔는데, 그 세계에서 죽음도 없이 시간이 무한정 지속되면 어쩌나 하는 그런 공포. 장자의 비유 같이 이 세계가 일시적인 세계이고 오히려 넘어간 그곳이 '본래' 세계일지도 모를텐데, 이곳에서는 그런 공포 없이 살아가고 있는 건, 확실히 언젠가는 끝이 오겠다는 안도 때문인 것도 같다. 어느곳이 본래 세계인지는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닐까? 하지만 본래 세계에 대한 근거없는 믿음 때문에 공포감이 생기지는 않는다고 잘라말하기는 또 어렵지 않을까. 아예 꿈 혹 현실에서는 영속하는 시간에 대한 공포가 생기지 않고, 양편을 함께 인식하는 경계에 있을 때 깊은 무력감이 드는 걸 보면, 내가 발딛고 있는 곳이 허상일 수 있다는 빈틈이 보이는 순간 내 존재가 반투명해지고 주위 모든 것에 대한 의심과 붙잡을 것 없다는 막막함에 빠지는 것 같다. 이건 꿈/현실, 삶/죽음의 경계에만 있는 게 아니라 이 사회와 저 사회의 경계에도, 시대와 시대의 경계에도 있는 일이겠지. 어쩌면 철학이라는 건 자신을 끊임없이 이 경계에 내던지는 일일지 모르겠다.

2010/06/25 13:50 2010/06/25 1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