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투구수는 중요한 것일까

  • 등록일
    2008/03/07 16:55
  • 수정일
    2011/08/09 15:48

** 아래 내용은 THT에 2008.3.6. 포스팅된 데이빗 가스코의 글을 초벌번역한 것입니다. 말 그대로 '초벌'이고, 전후맥락을 고려하지 않은채 문장 그대로를 한글로 옮긴 상태라 많은 오역이 발견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ㅡ,.ㅡ). 혹 읽게될 경우, 이를 고려하셔야 할듯..

 

 

 

 



Do pitch counts count?

 

by David Gassko

March 06, 2008

 

For the past two weeks, we’ve been looking at whether certain types of pitchers age better than others. We started with Bill James’ contention that pitchers with high strikeout totals age better and pitch longer than do comparable pitchers with low strikeout totals; we found the evidence to be inconclusive. Then we looked at a couple of other theories, and found that pitchers with low walk totals seem to age a lot better than equally good pitchers with high walk totals. This week, we’ll tie up a few loose ends.

 

지난 두 주 동안, 우리는 특정한 타입의 투수가 다른 투수들에 비해 일찍 노쇠하는지 여부를 주시해 왔다. 삼진아웃을 많이 잡는 투수가 삼진아웃을 적게 잡는 투수보다 더 많이 던져서 쉽게 노쇠한다는 빌 제임스의 주장에 따라 시작된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그다지 결정적이진 않지만) 하나의 증거를 찾아냈다. 이어 검토한 몇 가지 다른 이론들을 통해, 낮은 사구(포볼)율을 보이는 투수가 높은 사구율을 보이는 (같은 수준의 좋은) 투수들에 비해 훨씬 더 빨리 노쇠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번 주 들어, 몇 가지 느슨한 결론에 도달했다.

 

A bunch of readers have been clamoring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 pitchers we’re looking at compare in all the relevant statistical categories, so I’ll start by printing the fielding-independent lines for each group of pitchers:

 

많은 독자들은 적절한 통계수치를 활용해 어떻게 투수들을 비교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얻기 위해 논쟁해왔다. 그렇다면 일단 야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수치들을 기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본다.

 

                         Before age 26                     After age 26

                  SO/9      BB/9       HR/9     SO/9      BB/9       HR/9

High-K      8.43       3.99       1.03       7.69       3.29       1.04

Low-K       5.61       2.89       0.89       5.53       2.76       0.98

High-BB   7.95       4.22       0.92       7.32       3.60       0.99

Low-BB    6.16       2.57       1.00       6.11       2.53       1.02

 


We can make a few general observations from looking at this table. First,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before age 26 between the high-strikeout and high-walk pitchers and between the low-strikeout and low-walk pitchers. The high-strikeout and high-walk pitchers have both high strikeout rates and high walk rates, and the low-strikeout and low-walk pitchers have both low strikeout rates and low walk rates. All the groups have fairly average home run numbers, though the high-walk and low-strikeout groups are a bit better at a young age.

 

이 표에서 몇가지 일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26세 이전의 투수들의 경우 ‘삼진아웃을 많이 잡는 투수와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 및 ‘삼진을 적게 잡는 투수와 사구를 적게 혀용하는 투수’ 사이에서 많은 유사점이 발견됐다. 삼진을 많이 잡은 투수와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 모두는 높은 삼진율과 사구율을 기록했다. 그리고 삼진이 적은 투수와 사구가 적은 투수 모두는 낮은 삼진율과 사구율을 기록했다. 모든 그룹이 비슷한 홈런허용 수치를 보였으나, 사구가 많고 삼진이 적은 투수가 약간은 적은 홈런을 허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투수혹사에 따른 피해자'로 널리 알려진 마크 프라이어. 시카고 컵스

루키시절 '최고의 유망주'로 촉망받던 그는 베이커 감독의 혹사 이후 잦은

어깨고장에 시달리며 결국 올 시즌 샌디에이고 파드레스로 팀을 옮겼다.

 

Second, we can see that the high-strikeout and high-walk groups become a bit less extreme as they age—the high-strikeout pitchers strike out many fewer hitters after turning 26 (while also walking fewer batters), and the high-walk pitchers issue many fewer free passes (while also getting fewer strikeouts). By contrast, the low-strikeout and low-walk groups keep pretty much the same statistical lines, though the home run rate for low-strikeout pitchers does go up a bit.

 

두 번째로, 삼진을 많이 잡는 투수와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의 그룹의 경우, 나이가 들며 보인 격차가 다소 컸다. - 삼진을 많이 잡는 투수는 26세를 넘기며 삼진 개수가 다소 많이 줄었다(같은 시기에 사구허용도 감소했다).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 역시 사구허용이 다소 크게 줄었다(같은 시기에 삼진도 적어졌다). 대조적으로, 삼진을 적게 잡는 투수와 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 그룹은 (26세 이후에도)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반면 삼진을 적게 잡는 투수의 홈런허용율은 조금 증가했다.

 

Take from these numbers what you may. What I find most interesting is that pitchers with high walk totals seem to improve their control as they get older, but this improvement is offset by a decrease in strikeouts. Overall, improved control does not appear to increase their innings pitched later in their career compared to pitchers who started off with low walk totals.

 

이 수치는 무엇을 드러내는가. 가장 흥미로운 것은,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는 나이가 들면서 제구력이 향상됐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같은 제구력 향상은 삼진의 감소로 상쇄된다. 종합적으로 보면, 사구를 적게 허용했던 투수와 비교해 볼 때, 향상된 제구력이 커리어 후반기의 투구이닝 증가로 나타나지 않았다.

 

But let’s move on. One theory I found particularly interesting was posited by Guy in the Ballhype comments to my last article. Guy wondered whether the low-walk pitchers actually fared better than did the high-walk pitchers, and proposed that we might not have found such an effect because the low-walk pitchers had longer careers, and therefore longer decline phases. In other words, the question is whether having a low walk rate means not only more innings pitched in the future but also better performance.

 

잠시 논점을 옮겨보자. 최근 들어 발견된 흥미로운 이론 중 하나는 Guy씨가 필자의 지난 기사에 대한 코멘트였다. Guy씨는 사구가 적은 투수가 사구를 많이 허용한 투수보다 실제로 성적이 나빴는지 의아해했고, 이들(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의 경우 더 오랜 커리어를 갖고 있어 보다 긴 감소기에 이르렀기 때문에 아마도 성적이 더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제기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앞의 질문은 ‘낮은 사구율이 더 많은 투구이닝뿐만 아니라 더 나은 투구능력을 의미하는가’ 여부다.

 

To avoid the decline phase, Guy suggested that we look at each group’s later performance only from ages 26 to 31, and figure out whether that might be the case. Now let’s recall that, before turning 26, the high-walk pitchers had a Fielding Independent ERA (FIP) of 4.41, whereas the low-walk pitchers had a FIP of 4.34. And between 26 and 31? The high-walk pitchers stayed at 4.41, while the low-walk pitchers posted a 4.32.

 

(통계에 교란을 주는) 감퇴기의 기록을 피하기 위해, Guy씨는 위 각 그룹에 속한 투수들의 커리어 후반기 성적(26세~31세)을 바탕으로 위의 가설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자, 이제 앞선 문제를 다시 제기해보자. 26세에 이르기 전을 기준으로 볼 때,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의 FIP(Fielding Independent ERA, 수비요소를 제외한 방어율)는 4.41이었다. 반면 사구가 적은 투수는 4.34의 FIP를 보였다. 그렇다면 26세~31세를 표본으로 본다면 어떨까.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의 FIP는 여전히 4.41에 머물렀으며, 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의 FIP는 4.32를 기록했다.

 

In other words, both groups performed at exactly the same level between the ages of 26 and 31 as before. Unfortunately, then, we must reject Guy’s theory—when it comes to their effectiveness, high-walk and low-walk pitchers seem to age in the same way.

 

다시 말하면, 두 표본 모두 26세 이전과 비교해 볼 때 26세~31세의 기간에도 같은 수준의 투구를 보였다. 안타깝지만, Guy씨의 이론은 부결된 것으로 봐야한다. 효과면에서 볼 때,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와 적게 허용하는 투수는 모두 같은 방식으로 노쇠했다.

 

There is one more theory that I want to check out before we (hopefully) wrap up this topic. That is a theory that I kind of hastily tossed out at the end of my last article in trying to explain why low-walk pitchers seem to last so much longer than their high-walk counterparts. Although I did not have any certain explanation, it was my suspicion that this durability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pitch counts.

 

이 주제를 마감하기 전에 검토해야 이론이 한 가지 더 있다. 이 이론은 왜 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가 많이 허용하는 투수보다 오래 투수생활을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내 지난 기사의 마지막에서 성급하게 도출된 것이다. 어떤 확실한 근거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투구수가 투수의 내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측해 왔다.

 

High-walk pitchers, of course, are forced to expend a lot more effort to get through an inning. Since I had built my groups so that the high-walk pitchers had the same number of innings pitched before the age of 26 as did their low-walk counterparts, I guessed that the high-walk pitchers would have much higher pitch counts at that point. And indeed they did, throwing an estimated 12,045 pitches before turning 26 versus an estimated 11,358 pitches for the low-walk pitchers.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는 이닝을 마무리하기 위해 더 많은 투구를 해야 하는 게 당연하다. 그래서 필자는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가 26세 이전에 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들과 같은 투구이닝수를 보이도록 표본을 추출했다. 이렇게 하면 사구를 많이 허용하는 투수가 훨씬 더 많은 투구수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실제로 그렇게 나타났다. 사구를 많이 허용한 투수는 26세 이전에 12,045개의 투구수를 기록한 반면, 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는 11,358개의 투구수를 기록했다.

 

[사진] 칼같은 제구력을 무기로 불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메이저리그를 호령하고 있는 그렉 매덕스

 

But what does that difference mean? Do the low-walk pitchers last longer because they've less wear on their arms, or is it something else? We can use regression here to try to tease out the answer, though frankly, it is somewhat of a rough tool. Specifically, we can try to predict the number of innings that a pitcher will throw after turning 26 based on the number of innings that he threw before age 26 along with his pre-26 strikeout rate, walk rate, FIP, and pitch count. And this time, we can use our entire database of pitchers with at least 500 innings pitched by age 26.

 

이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구를 적게 허용하는 투수는 어깨를 덜 사용하기 때문에 더 오래 선수생활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일까. 아니면 어떤 다른 요소가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해보자. 솔직히 말하면, 이 방법(회귀분석)은 상당해 난해한 방법이다. 특히, 투수가 26세 이전에 던진 이닝수와 삼진율, 사구허용율, FIP, 투구수 등을 통해 26세를 넘은 뒤 던질 수 있는 투구이닝수를 예견하기 위해서는 한 투수가 26세 이전에 500이닝에 걸쳐 투구한 모든 내용을 담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야 한다.

 

What kind of results do we get? Here you go:

 

이를 통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아래와 같다.

 

                         Coefficient           P-value

Intercept            994.195              0.246

SO/9                   50.251                0.324

BB/9                   129.112              0.213

FIP_ERA           -272.288             0.065

<26_IP              9.195                   0.002

<26_Pitch        -0.547                  0.004

 

Only the last three coefficients are actually significant. Some of the results are obvious. Pitchers with higher FIP ERAs to age 26 pitch fewer innings in the future, because they aren’t very good pitchers. Also, those with high innings pitched totals early throw many more innings later, probably because they are very good and durable.

 

마지막 세 개의 계수(Conficient)가 중요하다. 몇몇 결론은 매우 확실하다. 26세 이전에 높은 FIP를 보인 투수는 시간이 갈수록 더 적은 이닝을 소화했다. 왜냐하면 이 경우 투수는 ‘능력이 뛰어난 투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26세 이전에 많은 이닝을 던진 투수는 이후에도 많은 이닝을 책임졌다. 아마도 이는 이 투수들이 ‘능력이 뛰어나고’ 내구도가 높기 때문일 것이다.

 

But what stands out most is that, after controlling for all these other variables, every pitch thrown before age 26 knocks off half an inning in the latter half of a pitcher’s career. That is a pretty huge effect. Consider, 100 extra pitches a year—just three pitches a start—means 55 fewer innings pitched down the road.

 

그러나 눈에 띄는 것은, 모든 변수를 조정한 결과, 모두 26세 이전의 투구수가 커리어 후반기에는 회당 절반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이는 상당히 큰 발견이다. 생각해보라. 1년에 100개 이상의 투구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55 투구이닝 감소로 나타난다.

 

The other thing that jumps out is that, once we control for all these variables, neither walk rate nor strikeout rate seem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pitcher’s future durability. As I said, regression is an imperfect tool, and this evidence is not incontrovertible; nonetheless, based on the evidence we have seen, it does not appear that either skill has much effect on how long a pitcher lasts.

 

한 가지 더 놀랄만한 사실은, 모든 변수를 조정하면, 사구허용율과 삼진율 모두 투수의 향후 내구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귀분석은 매우 불확실한 방법이며, 이 증거 역시 논박의 여지가 없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검토했던 내용들에 근거해서 볼 때, 투수의 어느 한쪽 능력(삼진 및 사구와 관련된)도 투수의 내구도에 그다지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What does seem to have an effect is pitch counts. How and why—well, that’s a whole other story.

 

그렇다면 투구수는 투수의 내구도에 효과를 미칠 것인가. 어떻게 그리고 왜, 이는 완전히 다른 범주의 문제다.

 

 



투수의 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전통적인 수치는 바로 방어율(ERA)이다.

방어율은 '(투수의 자책점X9) / 투구이닝수'로 계산하는데, 이 경우 투수의 능력을 평가하기엔 몇가지 난점이 있다. 예컨데 같은 땅볼타구를 유도해 냈더라도, 수비수의 글러브에 걸리느냐 아니냐는 '운'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바로 FIP다.

FIP는 수비의 영향력을 벗어난 투수의 능력 - 삼진, 볼넷, 피홈런 - 과 관련된 수치로만 계산한다. FIP는 '(13X피홈런 + 3X사사구 + 2X탈삼진)/투구이닝' 수치에 보정값을 더해 구한다. 메이저리그에서는 보정값으로 3.2 안팎의 숫자가 사용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찾아보기

최근 글 목록

  1. '야구의 여신'과 루트케 소송
    약간느리게
    2011
  2. 야구 데이터의 진화(1)
    약간느리게
    2010
  3. 우리시대의 마구, 이퓨스(1)
    약간느리게
    2010
  4. 보직사임(2)
    약간느리게
    2010
  5. 백악관과 도둑맞은 퍼펙트게임(6)
    약간느리게
    2010

최근 트랙백 목록

  1. @nottora2님의 트윗
    @nottora2
    2010
  2. QS/W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