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7/02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7/02/11
    신인감독의 지나친 몸짓 -> 김관장(3)
    낑깡
  2. 2007/02/04
    장예모, 길을 잃다!!!(5)
    낑깡

신인감독의 지나친 몸짓 -> 김관장

간만에 아이들과 신나게 웃어보리라고 맘 먹고 나선 길에 영화표를 샀다!!!

날씨도 오락가락하고, 애들 등쌀에 딱히 할 만한 일도 떠오르지 않고... 대낮이라 그다지 붐비지 않아 좋았다. 내심 기분전환을 신나게 시켜주길 바라며...!!!

 

한마디로 언제 제대로 웃길까를 기대하다가 끝났다고나 할까?

과연 나만 그런가 하고 영화관 안에 다른 관객들의 반응을 되새겨 보았다... 그나마 우리집은 애들과 함께였기 때문에 다른 집들보다 더 웃음이 많았다는 걸 생각해 본다면... 코믹과 액션, 두 가지를 동시에 잡겠다는 감독의 목표는 여지없이 빗나간 듯하다!!!

 

액션...?!! 이건 그래도 나름대로 봐줄 만하다.

우리나라 액션은 70%가 조폭과 관련이 있는 소재들이다. 이 영화 역시 이런 틀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 액션영화는 조폭이 소재로 들어오지 않으면, 아마도 사라져야 하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이 영화의 액션이 다른 액션영화에 비해 색다른 무언가가 있지는 않다. 그저 젓가락으로 조폭놈들을 응징하는 대목만이 좀 다를 뿐이다.

 

결론적으로 신인감독 영화라고는 하지만...

전혀 '새로움'을 느낄 수 없는 영화라고 해야 할 듯하다... 신인감독이 새로움을 주지 못한다면 신인감독이랄 수 없을 게다.

 

모든 예술은 현대사회에서처럼 그걸 보든 즐기든...

그 작품을 즐길 사람들의 맘을 움직여야만 한다... 무엇을 통해서 그 작품을 즐기는 사람들을 감동시켰건 간에 그래야만 한다. 그런데 사실 그렇게 하려면 나름의 '깊이'가 필요하다. 그 깊이는 <매너리즘>에서는 나올 수가 없다. 제대로 웃고 즐길 수 있는 오락영화를 만들려고 했다면, 박성균 감독의 재능은 좀더 갈고 닦을 필요가 있음이 틀림없다. 암튼 어정쩡하다...!!!

 

아이들은 재밌다며 다시 보고 싶다는데...!!!

그렇다면 이 영화는 딱 초딩의 눈높이?!! 근데 15세 이상 관람가여서 온 나라 초딩의 관람을 기대하기는 힘들 듯... 중딩 정도까지의 열광적 관람을 기대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쉽지는 않을 듯하다. 근데 영화광고는 아주 강렬하게 해둔 탓에 초반 반짝이는 기대할 수 있을지도... 하지만, 초반 반짝이 뒤에 '급락'은 필연일 듯!!!

 

나오면서 소위 <코미디>라는 예술장르에 대해 잠깐 생각해 보았다!!!

이건 그저 작가가 표현하는 형태 분류의 문제가 아닐까 라고 생각해 보았는데... 어떤 사회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행위는 예술이든 무엇이든, 자의든 타의든 사회로부터 격리되는 순간 의미가 없어지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코미디>라는 장르도 세상과 사람, 삶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그걸 보고 듣고 즐기는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현대물리학은...

무생물 가운데 가장 작은 입자들에 대해서조차 <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해 주었다. 하물며 발달된 의식인 <이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사회에서 사람들이 보여주는 '주된 흐름으로 나타나는 집단적인 겉모습', 이것에 "올인"하려 한다면 예술가라 하더라도 차라리 <처세술>을 깊이있게 배우고 나서 무엇이든 하는 게 낫지 않을까?!!

 

감춰진 속을 드러내 자연스레 표현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면...

그렇게 해서 진정한 예술의 궁극의 경지라고 하는 <정화작용>이 어떤 형태로든 일어나게 만들어 준다면, 그것이야말로 <새로운 감동과 창조>를 이루어 낸 <진짜예술>이 될 게다.

 

자본주의 사회에선 모든 걸 <공급자>와 <소비자>로 나누어 버린다.

그래서 <공급자>는 좀더 많은 <소비자>를 얻기 위해 <공급하는 것>의 <알맹이>가 될 것들에 대해 생각하기보다는 다른 것들에 대해 더 집중하게 된다. 그래서 모든 것들은 그 <알맹이>가 왜곡되어진다... 이런 전형적인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아무리 높은 기술적인 방법들은 배운다 하더라도 결과는 같을 듯하다.

 

<예술>이라고 부를 만한 활동에 의해서 이뤄진 결과물들은...

그 의사소통 방식이나 형태가 아주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우리시대에 얼마나 많은 '깊이있는 창조적 예술가'들이 있는가는 아주 중요한 사회발전전망의 척도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텐데...

 

'어떻게 세상의 그 <속>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을까?'

'어떻게 세상의 그 <속>이 공감하여 "울림"이 되게 할 수 있을까... 아마도 <세상의 주류>가 만들어 쓰는 방법과 형태로는 가능하지 않을텐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장예모, 길을 잃다!!!

장이머우... 그를 첨 만난 건, <진용>이라는 영화에서였다!!!

<은행나무침대>의 원형이라고 할 만한 영화였는데... 어렸을 적, 이 영화를 보면서 나름대로 큰 감동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요즘 그의 영화를 보면 답답하다... 아니 처절하다... '색에 대한 집착'으로 영화가 처절해진다. 이 '처절함'은 다름이 아닌, <길을 잃음>이다. 길을 잃었기 때문에 처절한 것이다.

 

무언가에 대한 집착이 깊어지는 것은 생각이 정상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영웅>에서도, <연인>에서도... 그리고선 이번 <황후황>에서도 그는 이제 스스로 길을 잃은 사람임을 틀림없이 확인해 주었다. 그래서 그는 오로지 <색>에 집착했다. 이번엔 색의 정체성을 뛰어넘기 위해 여러 색을 섞은 '색의 물체'... '색의 향연'을 펼쳐보이려 했다. 그러나 그의 그런 <눈 가리고 아웅>을... 그를 아꼈왔던 사람들은 다 안다.

 

그는 이제 <장이머우>가 아니다!!!

그는 '색남'이 된 것이다... 한마디로 <색에 빠진 심미주의자>일 뿐이다. 치열하게 고민할 때의 색에 대한 집착이 이런 흐름에 뿌리로 작용하겠지만, <생각의 뿌리>인 삶에 대한 고민과 깊이가 사라질 때, 그것이 얼마나 천박해지는지를 우리는 알 것 같다.

 

그는 그 천박함을 고귀한 소재들로 감추려 한다.

하지만 그건 그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어리석은 짓일 뿐이다. 그런데 왜 그럴까? 그것은 아마도 쫓았던 것들에 대한 애착으로부터 나오는 <관념적 지나침>과 진정한 자기 삶에 대한 <체화의 모자림>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마치 지금 정권을 잡은 <노무현과 그 양아치들>처럼 말이다!!!

그들은 양아치들이다... 왜냐고? 그들은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 한 것이 아무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많은 민초들의 아우성과 삶을 담보로 그 곳에 올라섰다. 그런데 그런 그들은 <민주주의>의 <민>이라는 낱말이 가진 말뜻조차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더 이상 말을 섞기가 불편하다... 그들을 쫓는 무리들과도 마찬가지다.

 

<황후화>에서 길을 잃은 <장이머우>에게 묻고 싶다!!!

그 다음... 어디로 가려는가? 문득 <김동인>의 <광화사>와 <광염소나타>가 머릿속을 가득채운다... <심미주의>는 '길을 잃은 예술가'의 '아주 고독한 외침'일 뿐이다. 그 예술가의 심정은 이해하지만, 그런 그의 '표현'이 우리에게 <힘>이 될 수는 없다.

 

누군가 <예술>을 그렇게 말하지 말라고 할 것이다!!!

그러면 이렇게 묻고 싶다... 우리 민초들은 <예술>에 대해서조차 이렇다 저렇다 말하고 싶은 맘도, 시간도 없다는 것을... 꼭 알아주기 바란다고... 우리의 삶에 대해서 그저... 있는 그대로 말해주기를 바랄 뿐이라고... 왜냐고? 우린 그럴 재주를 가지고 있지 못하니깐!!!

 

내가 그 재주를 가지고 있다면...!!!

난 <장이머우>를 욕하며... 영화를 만들었을 거다!!!

 

영화를 보고 나오는데...

누군가... 이런 얘기를 했다... 그래도 돈을 이렇게 많이 들여서 영화를 만들면 어떤가를 알기 위해, 우리가 가끔은 그의 영화를 봐야 한다나?!!

 

"그래도 눈은 즐거웠어!!!"

이게 우리들의 일상적인 모습이다!!!

슬프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모습말이다... 옛날의 <장이머우>였다면 아마도 <황후화>에서 같은, 우리 민초들의 삶의 얘기를 하고 싶었을 거란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는 그렇지 않다... 마치 <노무현>처럼...!!!

 

그래서 슬프다!!!

영화의 내용이 슬퍼서가 아니라, 그의 <삶과 그 슬픔과 괴로움에 대한 고민의 깊이가 너무 짧고 얕아서> 슬프다... 그래서 그는 <심미주의>자가 되었다.

 

<색>에 취한 <심미주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