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6/12/01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6/12/01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레닌인가?
    은수
  2. 2006/12/01
    피해자 중심주의에 대하여
    은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레닌인가?

NeoScrum님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레닌인가?]  中 에서,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레닌이 아닙니다. 지금 한국은 혁명적 고양기도 아니고, 20세기초 러시아도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에게 던져졌던 레닌은 우리의 착각만 크게 불러 일으켰다고 생각됩니다. 80년대 간절히 혁명을 원하던 우리는 그 시기를 레닌의 눈을 통해 20세기 초 러시아의 혁명적 시기라고 착각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는 민중운동의 성과를 수확하는 시기가 아니라, 아직 젊디 젊은 우리의 운동이 이제 막 던져진 씨앗을 파릇파릇 새싹으로 가꾸어야 할 시기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민중운동의 결과물을 수확하는 레닌이 아니라, 거름을 주고 잡초를 솎아내고 오랜 기간 그 속에서 함께 할 활동가들입니다. 우리는 '맑스주의 러시아 사회민주 노동자당'이 등장하기 이전의 러시아 민중운동을 살펴봐야 합니다. 민중들이 계급정당의 탄생을 요구하게 된 과정을 보아야 합니다. 현재 우리에게 의미가 있는 것은 레닌의 막판 뒤집기가 아니라, 19세기의 러시아 민중운동일 것이며, 차베스 이전의 베네수엘라 민중운동 일 것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동안 가졌던 '혁명적' 착각에서 벗어나 왜곡된 운동 진영의 구조를 개편하고, 새롭게 인식한 상황에 따른 전망과 이에 걸맞는 활동가 재생산 일 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만약 레닌에게 배워올 것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그가 항상 주장했던 "학습하라, 선전하라, 조직하라!" 입니다. 끊임없이 공부하고 연구해서 새로운 이론으로 무장하고, 대중들에게 알리고, 그 선전을 바탕으로 조직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운동입니다.

지금 현재 우리 상황을 한번 돌아보지요. 좌파에게 있어서 가장 큰 비극은 사회과학 서점과 출판사가 문을 닫고, 민중문화 단체가 하나둘 사라져 간다는 것입니다. 이건 새로운 현상도 아닙니다. 이미 10여 년 전부터 진행되어 온 일입니다. 과연 한국에 '좌파'가 존재하기는 하는 건가요? 현재 한국에 좌파가 존재하다면, 그 '소위' 좌파는 생각하지 않고, 공부하지 않고, 토론하지 않고, 고민하지 않고, 재생산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삶과 문화를 포기했습니다. 이는 '싸움'은 있더라도 세상을 바꾸기 위한 '운동'은 사라져버렸다는 이야기입니다. 현재의 투쟁들은 과거의 축적된 운동을 소비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런 상황은 현재의 운동뿐만 아니라, 미래의 투쟁까지도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노정연이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소식은 그래서 더 착잡합니다.

아직도 '커리큘럼'이라는 게 있는 곳들을 뒤져보면, 80년대 만들어진 학습 과정이 버젓이 버티고 있습니다. 80년대에 만들어진 19세기의 이론으로 21세기를 바꾸겠다고 주장하는 건 한마디로 코메디입니다. 이건 '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입니다. 세상이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면서 자기 꿈 속에나 있는 세상을 바꾸겠다고 하면, 그건 활동가가 아니라 몽상가이겠지요.

최소한 30년을 준비하는 좌파의 운동이 필요합니다. 학습하고, 선전하고, 조직하자. 이게 기본입니다. 현재에 매몰되지 말고, 미래를 만들어 나갑시다. 각 조직에서는 헤게모니 싸움에 역량을 소비하기 보다는 2-3년 앞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의견으로 '조직내 조직활동'을 전개해 나갑시다.


우리는 이제 우리의 혁명을 다시 만들어 가야 합니다. 그 혁명은 '우리' 활동가의 혁명이 아니고, 민중과 노동계급의 혁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시 시작합시다. 다시 민중 속으로 들어갑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피해자 중심주의에 대하여

  성폭력 사건의 해결과정에서 '피해자 중심주의'는 하나의 원칙이 되어가고 있는 듯하다. 내가 알고 있기로 운동사회에서도 몇몇 단체가 내부 규약을 통해 피해자 중심주의를 원칙으로 공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서 얼마전에 양성평등연대라는 데서 노동해방학생연대의 반성폭력 규약을 갖고 논쟁이 붙기도 했다. 물론 양성평등연대인가 하는데가, 도대체 무슨 목적으로 저런 단체를 만들어서 활개를 치는가 의문이 들지만, 어쨌든. 핵심은 '피해자 중심주의'가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며 공정한가 하는데 있다.

 

 

  새로 알게 된 사실은 미국의 경우에는 'reasonable woman', 한국말로 옮기자면 합리적 여성 혹은 합리적 피해자라는 개념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성폭력 피해자의 대다수가 여성이기 때문에 'woman'이 붙은 것이고. 이 개념은 동일한 사실을 다르게 인식하는 상황에서 무엇을 진실로 인정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할 때 사용된다. 사실조차 인정하지 않는 상황은 제외하고. 예를 들어 '성기 삽입'이라는 기술에 대해서 잠정적으로 가해자/피해자 측이 모두 인정하는 상황이 있다. 그런데 가해자는 이에 대해 '관계'라고 말하고, 피해자는 '강간'이라고 말한다. 이 때 과연 누구의 말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까? 누구의 말이 더 합리적일까?  이 때 사용되는 '합리적 피해자' 개념은 흔히 '아이의 돌에 맞아 죽는 개구리'에 비유된다. 즉 가해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피해를 입는 사람은 피해자 당사자이다. 따라서 피해자의 입장에서 사건을 보는 것이 더욱 많은 것을 볼 수 있게 한다. 대부분 가해자들은 피해자의 이런 감정, 입장을 이해할 수가 없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은 같은 상황도 전혀 다르게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때 가해자와 피해자가 왜 그렇게 느끼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그 상황을 둘러싼 총체적 맥락을 드러내야 한다. 예를 들어 '여자의 no는 yes'라고 오랫동안 교육받아왔던 이 남자는 여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관계'를 한 것은 별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기에는 '극렬한 저항이 수반되지 않은' 관계는 강간이 아니라는 가부장적 전제가 분명하게 깔려 있는 것이기에 문제가 된다. 이런 가정과 전제들은 무수히도 많다. "여자가 남자와 단둘이 있었으니" "여자 옷차림이 그러하니" "여자 혼자 밤늦게 돌아다녔으니" "여자가 나를 좋아하는 줄 알고" 등등등. 그러나 법적 절차나 해결과정은 이런 '맥락'을 문제 삼지는 않는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어떤 맥락에서 그러한 판단을 내리게 되었는지, 내릴 수밖에 없는지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성폭력 사건의 해결은 '객관성'을 주장하면서도 실은 가해자의 손을 들어주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모든 지식은 항상 부분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성폭력 사건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통용될 수 있는 기준이란 없다. 충분히 다른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는 다른 판단을 내릴 수도 있다. 그래서 맥락이 중요하다. 성폭력이 위계관계 속에서 일어날 때, 그러한 맥락에서 누구의 판단이 덜 왜곡된 것이며 덜 부분적인 것일지를 그 속에 개입된 가치와 이해관계들을 충분히 고려해야만 진정한 의미의 '객관성'이 나올 수 있다. 페미니스트 과학철학자인 산드라 하딩(Sandra Harding)은 이것을 '강한 객관성'(strong objectivity)라고 불렀다. 하딩은 전통적인 과학과 객관성은 가치중립적이라는 신화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이들은 지배자들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지식과 연구만을 생산해내고 있다고 이를 '약한 객관성'이라 비판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 그녀는 자신이 주장하는 사회적 상황적/맥락적 지식(socially situated knowledge)이 판단과 인식론에 있어서의 상대주의-어떤 주장도 합리적, 과학적 근거가 없다던가 그렇기 때문에 결국엔 모든 주장이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는 식-와 혼동되어서는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부장적 위계 속에서 발생하는 성폭력 사건들에서 '합리적 피해자'나 '피해자 중심주의' 개념이 하딩 식으로 말하자면 '강한 객관성'을 드러낼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피해자 중심주의'라는 개념이 너무나 주관적이고 편파적인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은 분명 문제다. 심지어 사실관계 확인조차 안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인간들도 있으니. 피해자 + 중심 + 게다가 주의! 라니, 찬찬히 뜯어놓고 보니 그렇게 보일만도 하다. 역시 익숙하던 개념도 조금 떨어져 낯설게 볼 필요가 있다. 실은 어떻게 한국에서 이런 개념이 만들어진 것인지, 사용되게 된 것인지도 불분명하다. (누가 알면 좀 가르쳐주세요-) 과거의 반성폭력 운동, 그 중에서도 여학생운동 쪽에서 만들어지지 않았나 추측만 있었다. 그래서 '피해자 중심주의'가 '합리적 피해자'와 동일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명명이 사람들의 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다른 식의 용어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너무 보편화되어 있는 것 같지만, 막상 들여다보면 실은 그렇지도 않다.

 

 그리고 더불어 피해자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에는 피해 혹은 고통을 '입증'해야만 한다는 것과 사건의 해결과정을 통해 '생존자'로 자리매김하지 못하고 오히려' 피해자화'가 된다는 점도 제기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고민도 반드시 가져가야 할 것이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