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참으로 거시기한...

요즘 대학 4학년들은 죽을 맛이란다...

이런 게 어디 한두 해였냐마는...

올해는 작년보다 취직하기가 더 어렵단다...

이건 대학 4학년 남학생의 이야기이다.

잘 나간다는 경영학과 학생의...

 

그런데 그 남학생이 한마디 더 덧붙이기를,

 

-그래도 남학생은 어찌 어찌 비비면 되는데,

여학생들은 우리보다 더 심해요.

요즘 4학년 여학생들 사이에 이런 말이 나돈대요.

<최고의 스펙은 남자이다!>

 

이게 지금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남자가 최고의 스펙이라니...

 

이런 참으로 거시기 거시기 같은!!!

 

엠비, 니가 대한민국을 알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6.

여성은 식민지 시대에서부터 인쇄업의 식자공으로 고용되었다. 식자공은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직업이었지만 힘든 일을 요구하지는 않았다. Abbott는 그 직업에서 남성의 질투 원인을 그 직업이 여성에게 “딱맞는” 직업이었다는 사실로 보았다. 여하튼 남자 노동조합들은 애초부터 여성 고용에 대하여 적대적인 것처럼 보였다. 1854년 전국 인쇄 노동조합(the National Typographical Union)은 “결의를 통하여 여자 식자공들의 고용을 촉진”하려고 하지 않았다. Baker는 남자 노동조합들이 소녀들로 하여금 직업 교육을 받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그리하여 여성은 그들이 노조 가입이 안 된 상점에서 또는 파업 파괴자로서 배울 수 있었던 것을 배웠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1869년, 전국 인쇄 노동조합이 소속돼 있던 전국 노동조합(National Labor Union)의 연차 총회에서 Susan B. Anthony의 좌석 배치를 둘러싸고 싸움이 발생하였다. 왜냐하면 그녀는 여성 식자공들을 파업 파괴자로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녀는 그렇게 했고 그것을 인정하였는데, 왜냐하면 그 여성 식자공들은 다른 방법으로는 결코 그 직업의 일을 배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1870년 인쇄 노조는 (227) New York 시의 여성 노동조합 지부를 계획하였다. 전국 인쇄 노동조합의 서기장과 맘먹는 지위에 있었던 이 지부의 지부장 Augusta Lewis는 여성의 노동조합이 아주 오랫동안 버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여성 조합원들이 남성 조합원들을 지지하였지만, 남성 조합원들은 여성 조합원들을 지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자 식자공들이 남성 조합원들에 게 대우 받는 것보다 ‘쥐새끼 같은 변절자’(rat)로 불리는 현장 주임, 인쇄업자들, 고용주들에 의해 더 정당하게 대우 받고 있다는 것이 여자 식자공들의 일반적인 생각이다.” 이 여성 노동조합 지부는 1878년에 사실상 날개를 접었다.

 

분명하게, 이러한 지지의 전반적인 부족은 남성의 관점이 성공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는데, 왜냐하면 1910년에 Abbott가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다른 직종 노동조합의 간부들이 직종 노동조합의 통제가 여성의 고용을 검토하거나 방지하는 데 있어서 성공적인 것일 수 있는 방법의 사례로서 인쇄업자의 정책을 자주 언급한다.” 인쇄노조는 여성을 지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성의 임금 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강하게 지지하였다. 숙련된 기술이 떨어졌던 여성들은 동일 임금을 요구할 수도 없었고 받을 것이라는 기대도 할 수 없었다.

 

노동조합들은 사용인 보호법이 여성들에게 전혀 적용되지 않는 여러 방식으로 여성들을 배제시켰다. 이와 관련하여 노동조합들은 여성 노동, 특히 기혼 여성 노동에 관한 압도적인 사회적 정서(이러한 노동은 원칙적으로 완전히 제거되어야 할 사회적 악으로 여겨졌다)와 여성들이 조직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 노동자들이 극심하게 착취 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일부 “사회적 페미니스트들”(social Feminists)과 여타의 페미니스트들의 강한 관심에 많이 기대었다. 사회적 페미니스트들은 매력적인 직업으로부터 여성을 배제시키자고 주장하지 않았지만, 그들의 전략은 이러한 배제의 길을 포장하는 것이었는데, 왜냐하면 노동하는 여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들은 하나의 성으로서 여성이 남성보다 약하며 보다 많은 보호를 필요로 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전략은 1908년 뮬러 대 오리건 주 사건에서(in 1908 in Muller v. Oregon)(여성의 노동시간을 규제할 수 있는 주권을 확인한 이 판결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나온 대부분의 주 및 전국적 사회복지 입법의 사법적 근거가 되었다-옮긴이)성공적이었는데, 이때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여성의 최대노동시간 법률을 확정하였다 :

 

 

“두 성은 신체 구조의 측면에서, 특히 끊임없이 일했을 때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노동의 능력 면에서, 미래의 인간의 행복한 삶에 미치는 원기왕성한 건강의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완전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기 의존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생존을 위한 투쟁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측면에서 차이가 난다. 이러한 차이는 (228) 법률에서의 차이를 정당화하며 그녀에게 달려 있는 여러 짐들을 보상하도록 하는 것의 토대가 된다.”

 

 

1916년 번팅 대 오리건 사건에서(In 1916 in Bunting v. Oregon) Brandeis는 사실상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최대노동시간 법률에 대한 주장을 잘 펼치기 위하여 장시간 노동의 악영향에 관한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Muller 이후에 여성을 위한 법률들이 뒤이어 제정됐던 방식대로, Bunting 이후에 남성의 최대노동시간 법률은 뒤이어 제정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노동조합들은 여성을 위해서 사용인 보호법 제도를 지속적으로 지지하였지만, 남성을 위해서는 그 제도를 지지하지 않았다. 오로지 여성만을 위해 더 선호되었던 전략은 (여성 노동자의-옮긴이) 조직화보다는 오히려 사용인 보호법 제도였다.

 

이러한 법률들의 효과는 그 법률들의 적은 적용범위와 불충분한 집행 때문에 제한적이었지만, 그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인쇄업과 같이 야간 노동과 장시간 노동이 필수적인 직업들에서 여성은 사실상 배제되었다. 그 법률들이 “땀을 흘리는”(sweated) 직종에서 여성을 보호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남성의 직종들”에서 일을 하려고 시도하기 시작했던 여성들은 그 시도를 접어야 했다. 이러한 여성들 몇몇은 성공적으로 저항하였지만, 그 투쟁은 오늘날 아직도 대다수 똑같은 양상으로 행해지고 있다. Ann C. Hill이 주장했던 것처럼, 이 법률들의 효과는 신체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충격적인 것이었다. 이 법률들은 노동자로서 여성의 “소외된”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

 

영국과 미국의 임금 노동력의 발전에 관한 위의 논쟁을 통하여, 나는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영역을 제한하는 남자 노동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내가 남성의 역할을 강조하였지만, 그렇다고 고용주의 역할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노동시장 분리 이론과 관련한 최근 저작은 고용주의 역할을 조명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이 모델에 따라서, 분리를 만들어 내는 한 메커니즘은 자본가의 필연적인 음모적 행위는 아니지만, 의식적인 행위이다.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을 더욱 분열시키기 위하여 노동자들 사이의 현재 분열 상태를 더욱 더 악화시키는 쪽으로, 따라서 노동자 계급의 단결을 더욱 더 약화시키고 그 계급의 교섭력을 점점 더 감소시키는 쪽으로 행위한다. 내부적으로 복잡한 직무 구조들의 생성은 그 자체 이러한 시도 중의 일부분이다. 사실, 전 범위에 걸친 다양한 수준의 직무들은 (229)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적인 두 계급 본성에 대한 판단을 흐리게 만든다. 이러한 모델은 첫째, 성별 분리가 발전된 자본주의 사회에 내재하는 노동시장 분리의 한 측면이라는 사실, 그리고 둘째, 자본가들은 의식적으로 성별 분리를 심화시키려고 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앞의 분석이 (자본주의와 그 이전 시대의 전면에 등장하는) 성별 직무 분리의 끊임없는(초역사적-옮긴이) 본성을 강조하였을 때, 자본가들의 행위가 남자 노동자들의 그러한 대응을 불러일으키게 한다는 면에서 결정적인 것일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역사적으로, 남자 노동자들은 여성의 노동시장에 대한 참여를 제한시키는 수단이 되었다. 남자 노동조합들은 초기 길드의 태도와 정책을 수행하였고, 남자 노동자들의 이익을 지속적으로 거둬들였다. 자본가들은 성별 직무 분리를 이어받았지만, 꽤 자주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해 이 분리를 이용하였다. 자본가들이 경험 많고 숙련된 남성을 값싼 여성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면, 그러면 자본가들에게 더욱 더 좋은 것이다. 자본가들이 그렇게 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노동을 약화시킬 수 있다면, 그것 또한 자본가들에게 좋은 것이다. 또는 그것이 실패해서, 그러한 지위 차이를 남성들에게 보상해 주는 데 이용하고, 가부장적 이익으로 자본주의에 대한 남성들의 충성을 살 수 있다면, 그것 또한 좋은 것이다.

 

그러나 자본가들의 행위가 성별 분리 내에 있는 현재의 남성다움을 설명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지라도, 노동시장 분리 이론은 자본가의 역할을 과도하게 강조하고 있으며 분리를 지속시키는 노동자들 자신의 행위를 무시한다. 좀 더 매력적인 직무에 종사하는 그러한 노동자들은 그 직무와 그 직무가 주는 물질적 보상, 그리고 그 직무가 주는 본래적인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 행동한다.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통하여 위계적이고 평행선을 긋는(즉 분리되어 있지만 동등하지 않는) 직무 구조들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 참여해 왔다. 아마도 성별 직무 분리를 제도화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서 자본가와 남성 노동자들이 가지는 상대적 중요성은 서로 다른 시기에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본주의로 이행하던 시기에 자본가들은 성별 직무 구성을 변화시킬 능력이 꽤 있는 것처럼 보였다 - 손으로 짜는 대부분의 직기를 남성들이 다루었지만, 여성들이 짰던 동력 직기를 갖춘 공장으로 천을 짜는 작업이 이전되었을 때, 그리고 여성이 초기 제니 방적기와 수력에 의한 틀(water frame)을 사용하였지만 뮬 방적 작업이 남자 기사로부터 시작되었을 때 말이다.

 

(230) 산업화가 진보하고 조건들이 다소간 안정되었을 때, 남자 노동조합들은 세력이 늘어났고 때때로 남자의 영역을 유지하거나 확장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르치는 일이나 사무직 일과 같은 노동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남으로써 발생한 사회적 또는 경제적 이 필요가 압도적이던 시기에, 남자 자본가들은 남자 노동자들을 제압할 만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경제적 변화의 시기에, 자본가들의 행위는 성별로 분리된 노동력을 변화시키거나 제도화시키는 데 좀 더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 반면에 노동자들은 방어적인 싸움을 하였다. 다른 시기에 남자 노동자들은 성별로 분리된 직무들을 유지시키는 데 좀 더 중요한 존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남자 노동자들은 값싼 여자 노동의 잠식을 막아내거나 또는 그 없애버릴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자신의 성의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5.

그러나 세계1차 대전은 여성의 기대를 높였으며, 여성의 일이 단지 일시적이었을 뿐이라고 남자 노동조합들이 단언하였지만 여성은 자신의 의지대로 자신의 장소로 되돌아가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 이유로는 임금 외에, 특히 남편이 전쟁에 나갔던 기혼 여성이 가족 크기에 따라 정부 수당을 받았기 때문이다. Rathbone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앞으로 문제의 해결은 의심스러우며 어렵게 된다. 또한……계급 적대와 성 적대(sex antagonism)라는 달갑지 않은 것들이 시작될 수 있다.……특히 여성에게 자본가에 의해 고용되거나 또는 직종별 노동조합에 의해 박해 받거나 억압 당하는 선택지가 제공되는 것처럼 보인다. 비참한 선택지이다.” 그녀는 전쟁 후에도 지속적인 (222) 수당 지급을 권한다. 왜냐하면 그 수당은 가족들이 남성의 임금에 의존하지 않게끔 해 줄 것이며, 가정에 머물러 있던 여성이 자신의 일에 대한 임금을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며, 그리고 남성과 여성 모두 “생존에 필요한”(required) 임금이 서로 다르지 않을 것임에 따라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남성과 완전히 동등해질 수 있도록 할 것이기 때문이다. 1918년 경, Fawcett 역시 현실 가능한 목표로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생각했다. 노동시장에서의 진보는 남성 임금을 내리지 않게 하면서도 동일 임금을 요구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녀가 말했던 주요 장애물은 남자 노동조합이었고 사회적 관습이었다. 둘 다 여성 직종이 초만원 상태가 되게 하였다.

 

1922년 F. Y. Edgeworth는 Fawcett의 직무 분리와 초만원 모델을 정식화하였다; 성별 직무 분리는 남성 임금이 더 많도록 허용하며 강제적으로 여성 임금을 우리가 그렇지 않았으면 하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적게 만드는 여성 직종 분야들이 초만원 사태를 이루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Edgeworth는 남자 노동조합들이 이런 초만원 사태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점에 동의하였다. 그는 남성이 가족에 대한 책임감 때문에 이득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남성과 동일하게 가족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여성이 남성에게 보조금을 지급 방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여성의 참여가 임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노동시장에서의 동등한 경쟁이 독신 여성 대 독신 남성의 경우에서조차 낮은 임금을 낳을 것인데, 왜냐하면 여성이 최상의 효율을 내기 위해서 음식을 20% 덜 먹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던 것 같다. 이 마지막과 관련하여, Edgeworth는 많은 사람이 언급하고 있었던 사실, 즉 여성의 삶의 표준이 남성보다 낮다는 것과 여성이 더 적은 임금으로도 일할 용의가 있다는 사실을 정말로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Edgeworth는 여성 노동의 제한들을 제거해야 하지만, 자유로운 경쟁이 위에서 제기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남성의 임금을 끌어 내리기 때문에 남성과 가족은 늘어나는 여성의 참여로 인해 그들이 잃어버린 부분을 보상 받아야 한다는 것을 결론으로 삼았다.

 

영국 문헌이 저임금에 대하여 주되게 설명하는 부분은 성별 직무 분리이며, 또한 저임금과 현재 성별 분리 둘 다 상호 의존적인 관계들 속에 있음을 설명한다 : (1) 남자 노동조합의 배타적 정책들, (2) 가족에 대한 남성의 금전적 책임감, (3) 국가 보조금과 낮은 여성의 삶의 표준 때문에 낮은 임금으로 여성에게 일을 시키려는 의지 (그리고 더 많은 임금을 받을 수 없는 여성의 무능력), 그리고 (4) (223) 여성의 교육과 기술 부족. 영국의 역사적 문헌은 성별 직무 분리가 근본적으로 가부장적이며, 꽤 오래되었고, 근절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아마도 위계적인 조직 구성에 대한 엄청난 지식으로부터 나온)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남성의 능력은 직무 분리를 유지하고 노동을 가사일로부터 구별하는 것을 유지하는 남성 능력의 핵심으로 나타난다.

 

미국의 경험으로 눈을 돌리면, 첫째 직무의 성별 구성 변화를 살펴볼 수 있고, 둘째 더 많은 노동조합의 역할, 특히 사용인 보호법 제도(또는 무역 보호법, protective legislation)를 확립하는 데 있어서의 역할을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미국 문헌, 특히 Edith Abbott와 Elizabeth Baker의 저작들은 직무의 성 변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또한 영국 문헌과 대조적으로, 설명 가능한 현상으로서 기술에 좀 더 강하게 의존하고 있다.

 

미국의 상황은 영국의 상황과 달랐다. 첫째, 식민지 농장 가족 내에서의 노동 분업은, 남성이 들판에서 일하고 여성이 집에서 제품들을 생산한다는 점을 포함해서, 아마도 좀 더 엄격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기 방직 공장은 New England에서 일했던 젊은 독신 여성들을 고용했다(가족노동 시스템이 만들어지는 걸 피하기 위한 그리고 농업에 필요한 남성 노동을 유지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는데, 아마도 필요에 의해서인 것 같다). 그러나 후자(농업에 필요한 남성 노동 유지-옮긴이)의 변화는 경제를 이끌어가는 요소로서 농업에 대한 제조업의 완전한 지배 그리고 이민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셋째, 노동(labor)의 부족과 식민지와 미개척 분야인 아메리카에서의 지독한 궁핍은 비전통적으로 가족 울타리 밖의 생활을 추구하던 여성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였다. 식민지의 여성은 넓고 다양한 직업에 종사할 수 있었다. 넷째, 노동의 부족은 19세기와 20세기에 여러 가지 면에서 지속적으로 여성을 선호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새로운 이민자 그룹들의 지속적인 유입은 극단적으로 이질적인 노동력(labor force), 즉 다양한 기술 수준과 조직적 발전 그리고 엄청난 적대감을 내재한 노동력이 만들어졌다.

 

성별 고용 구성의 주요 변화는 부츠와 신발 제조, 방직 제조, 교육, 담배 제조, 그리고 사무직 분야에서 일어났다. 방직 부분을 제외한 이 모든 분야에서, (224) 변화의 방향은 좀 더 여성 쪽으로 향하였다. 새로운 직업들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개방되었지만, 몇몇 예외가 있다고 할지라도 남성이 그 직업들 거의 모두를 지배하는 것처럼 보였다. 예를 들어 전화 교환 업무, 타이핑은 여성의 직무가 되었다.

 

여성 고용 증대의 모든 경우에서 이러한 증대는 서비스직과 생산직에 대한 수요의 가파른 상승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강조되었다. 1700년대 말과 1800년대 초 동안에, 전쟁, 엄청난 수의 노예, 일반적인 인구 팽창, 그리고 미개척지로의 이주로 인해 기성 부츠에 대한 국내 수요가 늘어났다. 공교육이 보급된 만큼 남북전쟁 전후로 교사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대하였다. 기계로 만든 값싼 담배의 수요도 19세기 말에 빠르게 늘어났다. 사무직 노동자 수의 증가 변화는 사업이 점점 더 커지고 보다 많은 경영관리, 유통, 운송, 마케팅 그리고 교통수단을 요구하면서 좀 더 중앙 집중화되었던 시기인 1890년과 1930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여러 경우에 여성으로의 방향 전환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고 노동자에게 요구되었던 기술력을 종종 감소시켰던 기술 혁신을 동반하였다. 1800년 경 부츠 제조업자와 신발 제조업자는 여성들이 집에서 윗옷을 바느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동 분업을 고안해 냈다. 1850년대에 재봉틀이 공장의 부츠와 신발 제조에 적용되었다. 1870년대에 핸드 번칭(hand bunching)보다는 나무로 된 틀(wooden molds)을 사용함으로써 담배 제조과정을 단순화시켰고, 1880년대에 기계를 들여왔다. 또한 사무직에서, 타이프라이터는 사무 노동의 생산성을 엄청나게 증가시켰다. 방직업에 도입된 기계, 즉 뮬 정방기는 전통적으로 남자에 의해 작동되었다. 남자 노동조합이 성공적으로 여성을 배제시켰던 인쇄 직종에서 노동조합은 새로운 주조 식자기(리노타이프, linotype)분야에 인원을 늘리기를 고집하였다.

 

노동 과정을 세부적으로 분리하고, 일을 단순화시키며, 또한 기계를 도입하려는 주된 목적은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값을 싸게 하고, 노동 과정에 대한 관리 통제를 늘리려는 데 있다. 노동 과정을 세분화를 통해 보통 중요하지 않은 일의 부문에 미숙련 노동을 사용할 수 있었다. 노동력을 값싸게 하고 (225) 노동 통제를 좀 더 강화시키는 것은 과학적 경영관리 뒤에 숨어 있는 원동력이었고 노동을 재조직화하려는 초기의 노력이었다. 기계는 이러한 과정의 조력자였지 원동력이 아니었다. 기계, 미숙련 노동 그리고 여성 노동자는 대개 공존하였다.

 

엄청난 수요와 기술적 변화에 덧붙여, 종종 일상적인 노동력 공급 부족은 노동력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방직업 분야에서, 예를 들면, 1840년대 New England 농장의 젊은 여성들은 가르치는 일과 같이 중산층 여성을 위한 새로운 직업 기회들에 이끌렸다. 제조 공장의 그녀들 일자리는 이민자들이 대신했다. 부츠와 신발 부문에서 늘어난 수요는 잘 훈련되고 숙련된 신발 제조자들이 감당할 수 없었다. 또한 사무직에서, 고등 교육을 받은 남자들의 공급은 그 수요 증대와 맞지 않았다. 게다가, 사무직에서 특히 직무 구조 속에서 발생한 변화는 남성들에게 매력을 끌지 못했으며-사무직의 직무들은 더 이상 늘어나지 않았다-반면에 여성의 기회는 다른 쪽에서의 기회와 비교해서 유리한 것이었다.

 

담배 제조는 남자 노동조합들이 참여하는 산업의 노동력 구성에서 금방이라도 일어날 것 같은 성 변화에 대한 남자 노동조합들의 반대와 그 반대가 일어났던 형태에 관한 예를 충분히 제공한다. 담배 제조는Connecticut주와 여러 다른 곳의 농장에서 일하던 여성들이 아주 거친 담배를 만들었고 그 담배를 마을 가게에서 거래했던 무렵인 1800년 이전에 가정 산업(home industry)이었다. 초기 공장들은 여성을 고용했지만, 경쟁력 있는 유럽의 고급 담배 제조 기술을 가진 남자 이민자들에 의해 대체되었다. 1860년 경 담배 제조 부문에서 여성 고용은 겨우 9%였다. 남성들로의 이러한 교체는 여성들로의 교체에 뒤이어 나타난 것인데, 남성들의 반대는 없었다. 1869년, 나무로 된 틀(the wooden mold)이 도입되었고, 그리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담배 공장에서 숙련된 노동자였던) 보헤미안 이민 여성들이 고용되었다. 담배 회사의 보유 재산으로 된 보헤미안 여성들은 나이 어린 소녀들이 (그리고 이후에 보헤미안 여성들의 남편들이) 나무로 된 틀을 사용할 수 있었던 노동 분업을 완성시켰다. 1873년 초 담배 제조 국제 노동조합(the Cigarmakers International Union)은 요란스럽게 (예를 들어, 1894년 New York에서 사실상 금지되었던) 부업(home work)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다. 1880년대 말 기계가 (226) 공장 안으로 도입되었고, 여성은 파업 파괴자로 이용되었다. 노동조합은 사용인 보호법 제도(또는 무역 보호법, protective legislation)로 돌아섰다.

 

담배 제조 국제 노동조합(the Cigarmakers International Union)의 여성에 대한 태도는 잘해봤자 애매모호한 것이었다. 이 노동조합은 1864년에 여성들을 배제시켰지만, 1867년에는 여성들을 받아들였다. 1875년 이 노동조합은 지역 분회가 여성을 배제하지 못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을 어기는 분회에 대해 명백하게 결코 제재를 가하지 않았다. 1878년 Baltimore 분회는 이 노동조합 위원장인 Adolph Strasser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 “우리는 여성이 어떤 능력, 즉 다발로 묶는 능력(bunch maker), 압연기를 다룰 줄 아는 능력(roller)이건 또는 그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건 간에, 조합 설립 초기부터 여성 노동 도입 운동에 맞서 투쟁해 왔다.” 이러한 애매모호함들이 국가 내 지역들의 분쟁으로 해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Strasser 스스로 다음과 같이 말하게 하였다 : “우리는 결코 여성들을 직업전선에서 쫓아낼 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여성의 하루 노동량을 공장법에 따라 제한할 수 있다. 18세 미만의 어떤 소녀도 하루 8시간 이상 일할 수 없다. 모든 연장노동(overwork)은 금지되어야 한다.……”

여성은 미숙련 노동자들이기 때문에, 이것을 본질적으로 여성에 대한 악의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오히려 그것은 미숙련에 대한 숙련의 두려움이다. 하지만 남자 노동조합들은 여성의 기술을 부정하였으며, 동시에 그 기술을 어린 남자 소년들에게 제공하였다. 이러한 것은 인쇄업의 경우에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4

남성이 이러한 이행의 시기에 훨씬 더 잘 조직할 능력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에서, 우리는 가부장적 사회관계들이 (국가와 종교에 의해 강화되면서도) 핵가족 내에서 발전하고 있는 것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남성이 정치 영역에서 가족의 수장으로 그리고 가족 내에서는 생산 단위의 수장으로서 활동해 온 이래로, 남성은 가족 조직을 넘어서서 훨씬 더 조직적인 구조를 발전시켜 온 것처럼 보인다. 가족 내에서 열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지원으로부터 배제되어 있는 여성은 이러한 능력이 더 떨어지는 것 같다. 그러므로 남성의 조직에 관한 지식은 가족과 노동 분업 내에서 남성의 지위를 상승시켰다. 더 나아가 이런 이행의 시기와 또한 그 이전의 시기의 조직화에 대한 탐구는 남성이 이런 공적인 영역을 통제하게 되어 온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분명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가정으로부터 일을 제거하는 자본주의 산업 조직화는 여성의 종속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하는데, 왜냐하면 그 조직화가 남성 지배 영역의 상대적 더 중요성을 점차 크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배가 이미 형성되었고 자본주의가 발전했던 방향과 형태에 분명히 (217)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Clark가 주장했다시피, 가정으로부터 노동을 분리시킴에 따라 남성은 산업 생산의 측면에서 여성에게 덜 의존하게 되었던 반면에, 여성은 경제적으로 남성에게 더 의존하게 되었다. 자신과 자신의 아이들을 부양해 왔던 영국 기혼 여성들은 그녀들 남편의 가사 노예가 되었다. 남성은 여성을 산업, 교육 그리고 정치적 조직화로부터 배제한 만큼 기술, 생산 그리고 시장 확보에 대한 그들의 통제력을 증대시켰다.

 

여성이 노동시장에 참여하게 되었을 때, 여성은 가부장제에 의해 제약 받는 만큼이나 분명하게 자본주의에 의해 제약 받는 그러한 위치에서 참여하게 되었다. 여성 노동에 대한 남성의 통제는 임금 노동 시스템에 의해 변경되었지만, 제거되지는 않았다. 노동시장에서 남성의 지배적 위치는 성적으로 질서 잡힌 직무 분리에 의해 유지되었다. 여성의 일은 저임금에다가, 별다른 기술이 없는 일로 생각되었으며, 종종 권위나 통제가 덜 행사되는 것과 관련되었다. 남성은 노동 시장에서 직무 분리를 실행하였다. 남성은 직종별 노동조합 연맹들을 이용하였으며 가정으로부터 노동을 분리하는 데, 즉 여성으로 하여금 가사노동, 아이 양육 그리고 이것들과 관련된 허드렛일을 하도록 하는 데 힘을 썼다.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종속적 위치는 가족 내에서의 그녀의 종속적 위치를 강화시켰으며, 그것은 이번에는 여성의 노동시장의 종속적 위치를 강화시켰다.

 

산업화의 과정과 공장 시스템의 확립, 특히 직물 산업에서의 공장 시스템 확립은 남성 질종별 노동조합 연맹이 하였던 역할을 보여 준다. 우선 직물 공장은 어린이를 고용하였지만, 그 공장이 확장되었을 때 성인 여성과 가족 전체의 노동력을 이용하였다. 노동하고 있는 기혼 여성의 수가 크게 과장된 면이 있지만, 기혼 여성들이 공장으로 일하러 나감으로써 그녀들의 남편과 상류 계급 둘 다 가정 생활과 자녀 양육을 걱정하도록 만든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Neil Smelser는 초기 공장에서 가족 산업 시스템과 남자의 통제가 대체로 유지되었다는 점을 주장했다. 예를 들어, 성인 남자 방적공은 종종 자기 자식 또는 그의 친척 아이들을 조수로 고용했으며, 또한 가족 전체는 종종 동일한 공장에 의해 동일한 노동일 동안 고용되었다. 그러나 기술적 변화는 이러한 것을 점점 더 (218) 어렵게 만들었으며, 또한 어른이 아니라 아동의 노동 시간을 제한했던 공장법은 “가족 공장 시스템”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1820년대와 1830년대 공장 노동자들의 요구들은 가족 공장 시스템을 유지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1840년 경 남성 공장 직공은 9살에서 13살 사이의 아동들에게 하루 8시간 이상 노동을 시키지 않을 것을 요구하였고, 아주 어린 아동들의 고용을 금지하였다. Smelser에 따르면, 이것은 자식들을 교육시키고 지도하는 데 대해 부모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부터 생겨난 것이고, 그리하여 이 어려움을 없애기 위하여 남성노동자와 증산층과 상류층은 역시나 여성이 공장에서 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하기 시작했다.

 

여성을 상류 계층의 기초로 끌어올린 시대인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상류 계층은 영국 인종의 미래에 대한(노동 계급의 재생산에 대한) 도덕적 울분과 관심에 의해 움직였던 것처럼 보인다. Shaftesbury경은 “남자들에게서 시스템의 도덕적 영향은 거의 슬프다고 할 지경이지만, 여자들에게서 그 영향은 여성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사회, 그리고 더 덧붙이자면 나라 자체에 대해 점점 더 무한히 나빠지고 있다. 당신이 남성을 타락시키면 괴로운 수준에 그치겠지만, 당신이 여성을 타락시키면 당신의 생명수의 샘에 독을 타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엥겔스 역시 비슷한 이유로 울분을 토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공장 보고서(the Factories` Report)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과 똑같은 것을, 즉 여성 노동을 출산 시간, 가정주부로서의 무능력, 가정과 아이들을 안 돌봄, 가족 생활에 대한 무관심과 실제적인 혐오 그리고 풍기문란으로까지 확대, 더 나아가 남성을 고용으로부터 밀어내는 것, 기계를 끊임없이 개선시키는 것, 아이들을 이른 나이에 독립시키는 것, 부인과 아이들에 의해 부양되는 남편들 등등을 여기서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여기서 엥겔스는 남자 노동자들과 그런 상황이 대립하고 있는 이유들에 관해 살짝 언급하였다. 엥겔스는 명백히 자신이 어느 편에 있었는지에 대해 애매모호한 입장을 취했다. 왜냐하면 그는 종종 남성과 상류 계급의 입장을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또한 미숙련 남성이나 여성, 어린이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해 이익을 취했던 성인 남성의 엘리트 조직으로서 직종별 노동조합(the trade unions)을 언급하였다.

 

여성 고용을 남성 일자리를 위협하는 것으로 보았던 남자 노동자들은 (219) 노동자들 사이의 경쟁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 시스템이 주어지더라도, 놀라지 않는다. (오직) 여성이 저임금을 받는다는 사실이 위협을 가중시킨다. 어쨌든 남성들이 왜 자신들을 조직하기보다는 여성을 배제하려는 대응을 취하는지를 자본주의로는 설명할 수 없고 여성과 남성 사이의 가부장적 관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남성들은 여성들이 가사 일을 지속적으로 해 주길 보장 받고 싶어 한다.

 

엥겔스는 아마도 1830년대에 일어났던 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Male Glasgow라는 방적공은 비밀 조합을 결성하였다. “(비밀 조합-옮긴이) 위원회는 파업 반대자(파업파괴자)의 목에 현상금을 걸고서…… 신중하고도 조직적으로 공장에 불을 질렀다. 불이 붙기 시작한 한 공장의 건물에 남성들을 대신하여 방적 기계를 돌리던 여성 파업 반대자들이 있었다. 이 파업 반대 소녀들 중 한 소녀의 어머니인 Macpherson이라는 부인이 살해되었고 그 살해에 책임을 져야 할 자들은 조합이 비용을 대서 배를 타고 미국으로 건너가 버렸다.” 거의 완전히 교육 받지도 못하고 저임금에 시달리는 젊은 여자들과의 경쟁에 대한 적대는 거의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그렇지만 어쨌든, 결혼한 여성들의 임금 노동조차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846년 10시간 노동제 지지자들(the Ten Hours` Advocate)은 그러한 위협들이 모두 사라지는 날을 기원한다고 분명히 밝혔다. “여자 공장 노동자들의 노동 시간이 물리적으로 줄어들지 않는 이상, 그녀들의 도덕적, 물리적 조건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모든 노력은 실패할 것이라고 말해 봐야 부질없는 일이다. 사실 우리는 지금까지 다음과 같이 말해 왔는지 모른다. 즉 결혼한 여자들이 결코 지치지 않는 기계의 움직임을 따라가기보다는 가사 일을 하는 게 훨씬 더 적합하다고 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부인과 자식이 면화 공장에서 고역을 겪지 않고서도 앞으로 남편이 그들을 부양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기를 바란다.” 사실, 남자들의 직종별 노동조합은 여성들을 모두 공장에서 쫓아낼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지만, 조합의 태도는 여전히 이중적이었다. 한 지역 신문은 1889년 여성 노동자들을 조합원으로 조직하려고 애썼던 여성 직종별 노동조합 연맹에 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가 여성들이 스스로를 조직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서 일자리를 완전히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을 때 이 도시에 조직 활동가를 보내 주세요.”

 

(220) 20세기 초 영국 역사가와 경제학자들은 자신의 저작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노동시장에서 여성들의 비참한 상황을 설명하였다. 이들 중 어떤 이들은 가능한 한 여성들은 집에 있어야 하며 남성의 임금은 증대되어야 한다는 남자 노동조합의 논리를 받아들였다. 예를 들어, Ivy Pinchbeck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산업혁명은 남성 임금이 가족에 기초해서 지불되어야 한다는 가정을 이끌어 냄으로써 실질적인 진보를 이루어 낸 것으로 나타나며, 또한 결혼한 여성들이 아이들을 돌보고, 가정을 꾸리면서 또한 충분한 경제적 기여를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 다른 이들은 이 시스템이 여성의 낮은 경제적 지위를 영속시킬 뿐이라고 말하였다. 이 시기의 문헌(특히 Economic Journal의 Webb-Rathbone-Fawcett-Edgeworth 시리즈)을 검토한다는 것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 이후로(산업혁명 이후로-옮긴이) 노동시장에서의 여성 지위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틀을 짤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시기 문헌은 이 논문에서 서술하고 있는 주장, 즉 직종 분리가 여성에게 불리한 것이었고 남자 노동조합이 이것을 강제하려고 하였다는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비경쟁 그룹들과 직무 분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여러 저자들은 (남성-옮긴이) 중심 위주의 메커니즘으로 남자 직종별 노동조합의 행동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Sidney Webb은 여성이 낮은 임금을 받는 데 대한 정당화로서 여성이 (남성과-옮긴이) 똑같은 직종과 산업 부문에서 계약했을 때조차도 동일한 수준의 일을 거의 하지 않았다는 설명을 들었다. 그는 담배 제조 과정을 예로 들었는데, 거기서 남자는 고급 담배를 만들었고 여성은 숙련된 기술을 덜 요하는 값싼 담배를 만들었다. 또한 역시 그는 여성의 기술 습득을 방해하며 동등한 일에서조차 여성이 낮은 임금을 받도록 허용했던 남자 노동조합들의 역할을 알고 있었다.

 

Millicent Fawcett은 여성이 동일한 기술을 습득하려 해 왔지만 (동일 직종에서의) 여성의 일이 사실상 같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동일노동 동일임금(equal pay for equal work)이 기만이었음을 주장했다. 그녀가 느끼기에, 직종별 노동조합 정책의 본질은 여성이 효율적이지 못하고 게다가 여성이 그 비효율성을 계속 유지하는 경우 여성을 배제하는 것이었다. Eleanor Rathbone이 1917년에 말했던 것처럼, 남자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221) “양성 평등을 위해 싸우는 투사로 보이면서도 여성을 지속적으로 배제하는 효과적인 방식으로서” 동일임금을 지지할 것이다. 그녀는 동일임금을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이 “남성의 임금을 얻어가는 것이 여성이라는 생각에 오히려 분명히 많은 충격을 받고 있다”고 생각했다.

 

Rathbone은 또한 (남성과는-옮긴이) 다른 여성의 가족에 대한 여러 책임을 진지하게 생각하였다. 그러한 책임감들은 실제 있는 현실이라고 그녀는 주장한다. 남성은 여성이 하는 것보다 더 많이 가족을 부양하며, 또한 남성은 그럴 수 있는 충분한 돈을 원한다. 그러나 그녀는 이러한 구성 배열에 필연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그녀는 단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구성 배열을 “사회 구조의 기본 부분”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을 알고 있었을 뿐이다 :

 

 

"내가 따랐던 주장의 노선은 자신의 고유한 성적 이해관계를 가진 모든 여성을 보통 화나게 하거나 우울하게 만든다. 왜냐하면 어떤 난국을 지적하고 있는 거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여성과 남성의 임금이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상황에 실제로 기초하고 있을 때, 그리고 이러한 상황들을 변화시킬 수 없을 때, 그러면 여성은 외부의 파업 파괴자가 되며, 남성들과 경쟁관계에 들어설 때마다 본의 아니게 남성의 기대를 깨는……운명인 것처럼 보인다. …… 그러한 상황이 실제로 그러하다면, 그러한 사정에 따라 남성이 여성을 실제로 다루어 왔던 것처럼 그렇게 다루는 것을 정당화했던 것처럼 보일 것이다 - 실제로 산업사회의 일종의 나병 환자처럼, 여성은 남성이 여성을 배제시키기로 동의하였던 직종에서 분리되었고, 옷을 만든다거나 또는 서로에게 가사 서비스를 제공한다던가 하는 일에 종사할 수 있었고, 또한 커다랗고 중요한 직종에서의 부차적인 과정, 즉 단조롭고 별 기술을 요하지 않아서 남성이 여성의 가치를 신경 쓰지 않는 과정에서 일을 할 수 있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파뤼?

하려고 합니다^^.

뭐, 그냥 간단히 저녁 한잔 하자는 거지요^^.

1차 저녁은 제가 때웁니다!

ㅋㅋㅋ...

시간은...

10월 22일 저녁 6시

장소는...

지하철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 3번 지상출구 앞

입니다.^^

 

시간되시면 놀러 오셔요^^.

놀러 오실 분은 밑에 덧글 달아 주셔요^^.

 

뱀다리> 만일 다음 주 수요일까지 덧글이 하나도 안 달려 있으면

기냥 없던 일로 하겠습니다.^^

 

시간, 장소 제 맘대로 정해서 죄송합니다^^... 

 

 

곰탱이 드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3

영국과 미국에서 자본주의와 산업혁명의 출현

 

 

자본주의 출현의 주된 과정은 원시 축적(primitive accumulation), 즉 자본주의가 지기 자신을 확립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었던 근원적 축적(the prior accumulation)이었다. 원시축적은 생산 규모를 확장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이중적 과정이었다. 첫째, 자유로운 노동자들이 축적되어 있었다. 둘째 상당한 양의 자본이 축적되어 있었다. 첫 번째 것은 사람들의 생존 유지의 토대였던 땅으로부터 사람들을 몰아내고 땅에다가 울타리를 친 다음 사람들로 하여금 (212) 임금노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두 번째 것은 금융기관을 통해 소규모로 축적된 농업자본과 소규모 가게 자본의 성장, 그리고 상업 자본, 노예 무역을 통한 이윤과 식민지 착취의 엄청난 증대 둘 다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본주의 출현과 함께 발생한 임금 노동력의 생성과 생산 규모의 증대는 몇 가지 측면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에 대해 더 많은 나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나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러한 이행이 일어나기 전의 여성의 노동과 이 이행이 일어났을 때 일어났던 변화들에 주목하자. 1500년대와 1600년대에 농업, (농업의 부차 산업으로서 경영된) 모직물업 그리고 도시들 내에서의 다양한 수공업과 교역은 영국 민중의 주요한 삶의 근원이었다. 시골에서 남성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거나 또는 빌린 조그만 농장의 들판에서 일하였고 여성들은 조그만 정원이나 텃밭을 가꾸고 가축과 젖소를 돌보았다. 또한 여성들은 실을 잣고 베를 짰다. 이러한 생산물들 중 일부는 시골 마을, 읍내와 도시에 생필품을 공급하기 위한 작은 시장에서 팔렸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여성들은 가족의 현금 수입의 상당액을 벌어들였을 뿐만 아니라 물품으로도 그 가족의 생계를 유지시켰다. 소작농과 자작농 외에 커다란 농장에서 일을 하고 임금을 받는 소규모 여남 계층이 있었다. 또한 종종 소작농과 그 부인들은 임금을 위한 일을 하였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그 경우가 더 많았다. 소 자영농민과 농업 노동자들이 17세기와 18세기에 대형 농장주에 의해 대체되었을 때, 그들 부인들은 그녀들의 주요 생계 기초를 잃어 버린 반면, 남성들은 어느 정도까지 임금노동자로서 삶을 지속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이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 이러한 기본적인 작은 땅을 빼앗긴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실업에 시달렸으며, 또한 가족 전체는 그들의 생존 유지의 커다란 부분을 빼앗겨 버렸다.

 

1700년대, 면직물 업의 요구가 커졌고, 영국 상인들은 이미 실을 잣고 베를 짜는 종류의 일에 익숙했던 영국 농업 인구의 노동을 자신들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알았다. 영국 상인들은 대체된 많은 농민 가족들로 채워졌던 가내 산업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실을 잣거나 베를 짜는 일에 물자를 배분하였다. 그러나 이런 하청(putting-out) 시스템은 불충분한 것으로 드러났다. (213) 분배와 집중의 복잡성 그리고, 아마도 좀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노동자들의 생산 과정 통제(노동자들은 시간을 지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일을 하지 않으며, 자재를 훔쳐갈 수 있을 것이다)는 상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 충분한 직물 공급을 증대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1700년대 말 실 잣는 작업이, 그 후 1800년대 초 베를 짜는 작업이 공장 안으로 흡수‧조직되었다. 처음에 직물 공장은 도시에 있는 길드의 제재를 벗어나서 아이들과 여성들의 노동력이 가져오는 이익을 취하고 또한 수력을 사용하는 두 가지 목적으로 교외에 위치하였다. 실 잣는 작업이 산업화되었을 때, 집에서 실 잣는 여성들은 높은 실업률에 시달렸던 반면에,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짜는 남성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였다. 게다가 베를 짜는 작업이 기계화되었을 때, 베틀을 이용해 작업하는 사람에 대한 수요는 감소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본주의 출현과 함께 나타났던 가내 산업은 이후에 자본주의 산업 발전에 의해 대체‧소멸되었다. 그 과정에서 교외 지역에 있던 아이들, 여성, 남성 모두는 혼란과 붕괴로 인해 고통을 겪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를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였다. 농업의 자본화로 인해 남성보다 훨씬 더 자주 실업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었던 여성은 가내 하청 시스템과 초기 공장의 두 경우에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있었다. 남성들이 자신들의 독립성을 잃지 않기 위해 공장에 들어가기를 거부하였고 여성과 아이들이 좀 더 유순하고 다루기 쉬웠다는 두 가지 사실이 종종 거론된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러한 “등장인물의 특성들”은 산업이 자본주의적으로 조직화되기 이전에 이미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을 것이고, 또한 소규모 가족농업이 성행하던 이전 시기에 널리 퍼져 있던 권위주의 구조에서 생겨났을 것이다. 많은 역사가들은 가족 내에서 남성이 가족의 수장이었지만 여성은 가족 생계유지의 커다란 부분을 담당하였으면서도 종속적인 위치에 있었다는 사실을 제기한다.

 

우리는 산업화 시기 이전 가족 내에서의 권위적 구조와 관련한 사실들에 관해 결코 알 수 없을지 모른다. 왜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실들은 규범적인 것으로 인정되는 문헌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계급 편견적인 문헌으로부터 나온 것이며, 또한 사람들 자체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관련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214) 그렇지만 가족 삶 그리고 상대적 임금과 생활수준과 관련한 증거는 여성이 가족 내에서 종속적인 위치에 있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론은 초기 사회 계급화에 의거해 가부장적 사회관계들을 서술하고 있는 인류학적 문헌과 일치한다. 게다가 초기 공장들에 관한 역사는 이러한 권위주의 구조(이 구조 속에서 여성과 아이들은 가족 관계와 이들을 실업 상태로 만들었던 농업의 변화 때문에 훨씬 더 취약한 상태에 있었다)에서 자본가가 이득을 챙겼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자본주의가 도시와 읍내 지역으로 전파된 양상은 교외 지역으로 전파된 양상과는 뭔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다음과 같이 제시되는 주장의 경향을 구체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 여성과 남성은 권위주의 가족 구조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었다. 자본주의가 전파되기 이전에 읍내와 도시에서는 가족 산업 시스템이 주가 되었다. 장인들의 가족은 교환할 물품을 생산하기 위해 집에서 같이 일하였다. 어른들은 사회적이고 종교적인 기능들뿐만 아니라 산업적인 기능도 가졌던 길드로 조직되었다. 여성과 남성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일을 수행하였다. 남성은 좀 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문에 종사하였고, 여성은 원재료를 가공하거나 최종 생산물을 마무리하는 부문에 종사하였다. 보통 생산단위의 장인 남성은 명인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여성은 보통 남편들의 길드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마치 부속물처럼 소속되어 있었다. 소녀들은 어떤 직종의 도제(실습생)로도 들어갈 수 없었으며, 따라서 직인 또는 장인이 거의 될 수 없었다. 결혼한 여성은 생산 과정에 참여하였고 아마도 중요한 숙련 기술을 습득할 수도 있었겠지만, 오로지 과부가 되었을 경우에(길드가 가끔 그녀들에게 도제나 직인을 고용할 수 있는 권리를 주었을 때) 생산 과정을 통제할 수 있었다. 젊은 남성은 길드 내에서 결혼을 하였을 것이다(즉, 동일 직종 장인의 딸과 결혼하였을 것이다). 사실, 젊은 여성과 소녀는 길드가 가족 외부로부터 노동자를 부가적으로 고용하는 것을 금지하였던 시스템에서 가외의 또는 임시직 노동자로서 유일하게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 당연히 그녀들은 결혼했을 때 유용했던 기술을 배웠다. 그렇지만 소년들처럼 주의 깊게 훈련 받지 못한 것처럼 보이고, (215) 또한 성인이 되었을 때 길드 내에서 (남성들과 -옮긴이) 동일한 지위를 획득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대부분의 직종에서 남성이 중심적인 노동자였고 여성이 부차적인 노동자였지만, 어떤 직종들은 성적으로 동일하게 취급되어서 가족 산업이 퍼져 나가지 못했다. 목수 직종과 여성 모자 상인 직종(millinery)이 바로 그러한 두 직종이었다. 남자 목수와 여자 여성 모자 상인은 둘 다 도제와 조수를 고용하였고 장인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Alice Clark에 따르면, 물론 여자 모자 상인과 같은 몇몇 여성의 직종이 고도의 기술을 요하였고 길드로 조직되었지만, 많은 여성의 직종은 상당히 조직되기 어려웠다. 왜냐하면 그 기술들은 쉽게 독점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모든 여성은 면직 제조, 재봉, 음식 조리, 그리고 다소간의 상업 기술들을 그녀들이 집에서 당연히 해야 할 일들로 알았다.

 

17세기와 18세기에 가족 산업 시스템과 길드는 더 많은 산출 요구에 직면하여 붕괴되기 시작했다. 자본가들은 대규모로 생산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생산은 가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갔다. 언뜻 보기에 결혼한 여성들이 지속적으로 가사 일을 수행하려고 하는 가정에서 더 이상 일어날 수 없는 그런 산업들에 여성은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런데도 많은 여성들이 필요에 의해서 자본주의적으로 조직된 산업에서 임금 노동자로 일자리를 찾았다. 여성이 임금노동자가 되었을 때 여성은 남성과 비교하여 불이익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첫째, 농업에서처럼, 이미 (이전의 제한된 임금 노동 영역에서) 여성에게 낮은 임금을 주는 것이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둘째, 여성은 남성보다 덜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그리고 남성보다 원하는 일자리를 덜 얻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셋째, 여성은 제대로 조직되어 있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나는 자신들을 조직할 수 있는 남성의 능력이 임금노동 시장에 대한 여성의 참여를 제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남성들이 훨씬 더 잘 조직되었고 이러한 영역(노동시장-옮긴이)에서 남성이 우위에 있다고 보이는 그럴 듯한 몇 가지 근거가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는 남성이 모든 시대와 모든 장소에 걸쳐, 또는 모든 조직의 영역 혹은 타입에 있어서 뛰어난 조직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지는 않지만, 이 시기에(자본주의 시기에-옮긴이) 영국에서, 특히 경제적 생산의 영역에서 남성이 그러했다는 것은 주장한다. 남성 우월성의 증거로서, 우리는 (216) 여성 직종보다는 남성 직종에서 훨씬 잘 조직되었고, 또한 공동 직종에서 남성이 상위의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에겐 결코 상위의 지위를 가질 수 있는 길이 허용되지 않았던 길드 자체를 들 수 있다. 둘째, 우리는 18세기와 19세기 동안 남자(male) 직업이 더 많아지고 여자 직업이 더 많이 사라진 증거를 가지고 있다. 애초부터 남자 직업이었던 의료 직업은 위계적 조직화, 새로운 “과학적” 기술의 독점 그리고 국가의 보조를 통해 형성되었다. 산파술은 남성에 의해 사실상 사라졌다. 양조업은 또 다른 예를 제공한다. 남자(male) 양조업자들은 조합을 조직하였고, (그들이 만드는 술 매 1쿼터 당 세금을 내는 조건으로) 독점권을 왕에게 청원하였으며, 소규모 양조업자들이 자신들에게서 술을 사가도록 강제하는 데 성공했다. 셋째, 산업 자본주의가 형성되던 시기에, 남성은 임금 노동자로서 그들 자신을 훨씬 더 잘 조직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아래에서 보게 되겠지만, 공장 생산이 이루어졌을 때 남성은 노동 시장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자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자신의 노동 조직을 사용하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야.. 벌써 만 3년이 지나다니...

진보넷 블로거 생활한 지도 말이다.

근데 3년 동안 뭐 한 게 별로 없는 거 같다^^.

씁쓸하구만...^^

 

어쩌랴!

이것이 내 수준인 걸^^

ㅋㅋㅋ...

 

그래도 앞으로 하다보면 뭐 좀 한 게 있지 않을까?^^

없음 할 수 없구...

근데 미리부터 할 수 없단 말은 하지 말구...^^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자꾸 걸어나가면 온세상 어린이들 다 만나보겠네^^

온 세상 어린이가 하하하하 웃으면 그소리들리겠네

달나라까지~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뱀다리> 요 동요 노래를 퍼 올 줄 몰라서 기냥 가사만 적어 놨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2

성별 노동 분업에 관한 인류학적 관점

 

 

어떤 인류학자들은 바로 인간 사회가 시작될 때부터 존재했다고 설명한다. Sherry Ortner는 사실 “자연이 문화에 속하듯 여자는 남자에게 속한다” 고 말한다. Ortner에 따르면, 자연은 문화보다 가치가 낮다. 여성은 자연과 관련 있으며, 모든 문화 속에 있는 자연과 더 가깝게 생각되며, 그래서 가치가 낮다. 그녀의 관점은 공적인 것-사적인 것의 분리를 강조하는 Rosaldo의 관점과 양립될 수 있으며, 또한 사회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종속된다는 점을 가정하는 Lévi-Strauss의 관점과도 양립된다.

 

Lévi-Strauss에 따르면, 문화는 가족들 간의 유대를 끈끈하게 하기 위해 남성이 여성을 교환하는 것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거기서부터 사회가 만들어진다). 사실, Lévi-Strauss는 가족(즉 여성이 자연에 가깝게 거주하는 가사 영역)과 가족들이 상호 교환을 위해 자신의 자율성을 깨뜨리기를 요구하는 사회 사이의 근본적인 긴장 상태를 본다. 여성의 교환은 가족 간의 상호의존성을 강제하며 사회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메커니즘이다. 이로부터 유추하여, Lévi-Strauss는 성별 노동 분업이 “여성과 남성 사이의 상호 의존 상태를” 강제하는 메커니즘이라고 말한다. 또한 이러한 분업이 (210) 이성 간의 결혼을 보증한다. “하나의 성이 어떤 일들을 하게 되는 상황이 될 때, 이것은 다른 성이 그 일들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러한 일들에 대한 성별 분업의 엄밀성이 엄청나게 변화하더라도, 성별 노동 분업의 존재는 인간 역사에서 보편적인 것이 된다. 게다가 Lévi-Strauss에 따르면, 여성을 교환하는 것이 남성이고 사회적 관계를 만들기 위해 교환되는 것이 여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관계로부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이득을 보며, 또한 성별 노동 분업은 위계적인 것이 된다.

 

이런 인류학적 생각을 가진 첫 번째 학파인 “보편주의”가 근본적으로 Lévi-Strauss와 여성 교환에 기초하고 있는 반면에, Chodorow는, Rosaldo와 Ortner에 따르면, 여성이 가사 영역에 제한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Chodorow는 이러한 여성의 제한을 엄마의 역할로 위치시킨다. 그녀는 여성이 어머니라는 보편적인 사실에 기초하여 가부장제의 보편성을 구성한다. 여자의(female) 엄마되기는 젠더라는 특성 구조들의 형성을 통해서 자신을 재생산한다.

 

성별 노동 분업의 기원에 기초하여 생각하는 두 가지 주요한 다른 학파들도 살펴볼 만한다. 이 두 학파는, 실제가 아니더라도 적어도 이론상, 성별로 질서 잡힌 노동 분업의 보편성을 부정한다. (둘 중-옮긴이) 한 학파는 노동 분업이 남자(male) 지상주의임을 우리가 결코 확신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페미니즘-수정주의”(feminist-revisionist)이다. 노동 분업이 남자 지상주의라는 점이 (Lévi-Strauss가 종종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분리 평등 정책적인 것일 수 있지만,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관찰자들의 성향 때문에 우리는 결코 알 수 없을 것이다. 이 학파는 문화적으로 극단적인 상대주의를 나타내지만, 노동 분업을 통해 여성들이 맡고 있는 분야에서 그녀들의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그녀들의 일과 사회적 지위에 관해 우리들에게 전혀 알려 주는 바가 없다.

 

세 번째 학파 역시 성별로 질서 잡힌 노동 분업의 보편성을 거부하지만 상대주의와는 다르게, 다소간 여성의 자율성과 일치하는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는 사회들을 비교하고자 한다. “변이주의(?)”(variationist)인 이 학파는 구성원들이 강조하는 특성에 따라 다시 나눠진다 : 생존에 대한 여성의 기여와 그 기여를 여성 스스로 통제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특성, 종족 사회 조직 대 국가 사회 조직에 초점을 두는 특성, 생산양식 요건에 초점을 두는 특성, 부와 사적 소유 출현에 초점을 두는 특성,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에 초점을 두는 특성. 이러한 특성들은 점증하는 성별 계급화가 사회적 계급화의 일반적 과정에 따라 발생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이런 사회적 계급화는 적어도 어떤 측면에서는 위계 질서 내에서 상위 그룹을 부양하기 위하여 사회적 잉여를 증가시키는 것에 달려 있으며 이 증가를 촉진시킨다).

 

이러한 인류학파의 활동은 가부장제가 항상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조건이 변화했을 때에 나타났다는 점을 암시한다. 더구나 남성들은 이러한 변형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변형이 여성과 관련하여 볼 때 남성에게 이득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남성들은 가부장제를 재생산하고자 하는 이해관계에 있게 된다. 가부장제 기원에 관해 인류학자들 사이에 많은 반대 의견이 있고, 또한 이런 해석을 정당화하는 데 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지라도, 나는 이런 해석을 지지하는 증거의 중요성을 믿는다. 여하튼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비록 가부장제의 기원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지라도, 가부장제가 자본주의 이전에 오랫동안 나타났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영국에서 국가의 형성은 앵글로-색슨 종족 사회가 끝났고 봉건 사회가 시작됐음을 나타내 준다. 봉건사회 내내 가족의 삶이 사적인 것으로 나아가려는 경향과 가족 내에서의 남성 권력의 증가하는 경향은 국가와 교회의 지원을 받을 정도로 강화되어 나타난다. 15세기 자본주의 출현 시기 즈음부터 18세기에 이르기까지, 핵가족 형태를 띠는 가부장적 소농민 가족은 사회의 기본적인 생산 단위가 되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1

 

# 자본주의 가부장제와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입장 #

(Zillah R. Eisenstein 편집, Monthly Review Press, New York and London, 1979)

 

 

(206) @ 10장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

 

 

- Heidi Hartmann -

 

 

성별 노동 분업은 인류 역사를 통하여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 사회에서 성별 노동 분업은 남성이 위에 있고 여성이 아래에 있는 위계적인 것이다. 그러나 인류학과 역사는 이러한 분업이 항상 위계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성적으로 질서 잡힌 노동 분업의 발전과 중요성은 이 논문의 주제이다. 현재 여성의 사회적 지위의 뿌리가 이렇게 성적으로 질서 잡힌 노동 분업 속에 있다는 것이 바로 나의 주장이다. 성별 노동 분업의 위계적 본성이 사라져야 할 뿐만 아니라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에 도달하기 위해서 그리고 여성과 남성이 모두 자신의 인간 잠재력을 완전히 펼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바로 성별 노동 분

업 그 자체가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탐구해야 할 근본적인 몇 가지 물음들은 첫째, 좀 더 평등한 성별 분업이 어떻게 덜 평등한 성별 분업이 되었는지, 그리고 둘째 이러한 위계적인 노동 분업이 현대 시기에 어떻게 임금 노동으로 확대되었는지 하는 것처럼 보인다. 많은 인류학적 연구들은 첫 번째 과정, (207) 즉 성적 계급화(sexual stratification)가 생산력 증대, 전문화 그리고 사회의 복잡성과 더불어 발생하였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정착된 농업, 사적 소유, 또는 국가 형성 등을 통하여 발생됐다는 것이다. 인간 사회가 처음에 나타나서 “문명화”가 시작되었을 때 성적 계급화가 발생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자본주의는 상대적으로 뒤늦게 출현한 것인 반면, 남성이 지배하고 여성이 종속 당하는 여남 사이의 위계적 질서인 가부장제는 일찍 출현한 것이었다.

 

나는 자본주의 이전에 남성이 가족 내에서 여성과 아이들의 노동을 통제하는 가부장 체계가 성립되었고, 또한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남성이 위계적인 조직 방식과 통제 기술을 습득하였다고 말하고 싶다. 좀 더 폭넓은 교환과 좀 더 커진 생산 단위들에 기초한 국가 기구와 경제 체계의 출현에 따라 생겨난 공적인 것-사적인 것의 분리 같은 것이 시작되면서, 남성의 문제는 여성의 노동력에 대한 남성의 통제를 유지시키는 것이 되었다. 다른 말로 하면 직접적으로 개인을 통제하는 체계가 폭넓은 사회 제도에 의해 매개된 체계, 즉 직접적으로 개인을 통제하지 않는 체계로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남성에게 유리한 메커니즘은 (1) 전통적인 성별 노동 분업이었고, 또한 (2) 위계적인 조직 방식과 통제의 여러 기술이었다. 서유럽과 미국에서 자본주의가 출현한 시기에,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성적으로 질서 잡힌 노동 분업을 임금 노동 체계로 확장시키는 두 번째 과정에서 중대한 것이었다.

 

자본주의가 많은 낡은 제도들을 해체하고 “자유로운” 노동 시장과 같은 새로운 제도들을 만들어 내었을 때, 15세기와 16세기의 자본주의 출현은 제도적 권위에 기초하였던 가부장적 통제를 위협하였다. 자본주의는 여성과 아이들을 위협적으로 노동력 부문에 편입시킴으로써 가족과 여성에 대한 남성 권력(예를 들어 가족 안에서 여성의 노동력을 통제할 수 있는 권리)의 기초를 해체시켰다. 순수 자본주의에 대한 이론적 경향이 노동자들 사이의 모든 임의적인 지위 차이들을 없애버리고, 모든 노동자를 노동시장에서 동등한 존재로 만들었다면, 왜 여성은 노동시장에서 여전히 남성보다 낮은 지위에 있는 것인가? 가능한 대답은 여러 가지이다. 그 대답들은 두 번째 (208) 과정이 불완전하다거나 또는 불완전한 시장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는 신고전주의 관점으로부터 시장이 명목상 “평등”을 요구하는 것처럼 생산이 위계질서를 요구한다는 급진적 관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내가 보기에, 이러한 설명들 모두는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낮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남성(보통 남성, 남성으로서의 남성, 노동자로서의 남성)의 역할을 무시하고 있다. 특히, 급진적인 관점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산 과정에서 위계질서를 만들어 내는 자본가로서의 남성을 강조하고 있다. 자본가들은 노동시장을 (인종, 성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민족 경향에 따라) 분할하며 노동자들을 서로 서로 경쟁시켜 이득을 본다. 이 논문에서 나는 남성 노동자들이 노동 과정에서의 성별 분업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해 왔고 계속 그러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나는 성별 직무 분리가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위를 유지시키기는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이라고 말할 것인데, 왜냐하면 성별 직무 분리가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저임금을 강제하기 때문이다. 저임금은 여성을 남성에게 종속시키는데, 왜냐하면 남성들이 여성들을 결혼하도록 조장하기 때문이다. 결혼한 여성들은 그들의 남편을 위하여 잡다한 가사 일을 해야만 한다. 그래서 남성들은 좀 더 높은 임금과 가사 노동 분업을 통해 이득을 본다. 다음으로, 이런 가사 노동 분업은 노동 시장에 의해 영속되며 노동 시장은 가사 노동 분업에 의해 영속된다. 이러한 과정은 서로 맞물려 있는 체계들인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따른 오늘날의 산물이다. 자본주의에 의해 좀 더 극복되고 발전된 가부장제는 여전히 번식력이 강하다. 가부장제는 마치 자본주의 발전이 가부장적 제도들을 변형시켰던 것처럼, 근대 자본주의가 취하고 있는 형태로 변한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상호 조화는 결과적으로 여성에게는 악순환이 되었다.

 

나의 주장은 신고전주의와 맑스주의 경제학자들 둘 다의 전통적 관점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이 둘은 물질적 토대를 가진 사회 체계인 가부장제를 무시한다. 신고전주의 경제학자들은 직무 분리의 원인을 물질적 토대 외부에 있는 이데올로기적 요소들로 봄으로써 자본주의가 가부장제와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맑스주의 경제학자들은 남성 노동자들이 수행하는 직무 부분과 (209) 수세기에 걸친 가부장적 사회 관계들의 효과를 무시함으로써 직무 분리의 원인을 자본주의 탓으로 돌리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균형을 잡고자 한다. 내가 여기서 윤곽을 잡아 왔고 아래에서 좀 더 발전시키고자 하는 논의의 방향은 아마도 증명할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나는 이 논문이 논증할 여지가 없는 명백함보다는 오히려 그럴 듯한 타당성을 지닌 논문이 되었으면 한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남성과 여성 사이의 지배-종속 관계들이 만들어진 것에 대하여 인류학 문헌에서 나타난 증거와 설명들을 간략하게 재검토하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자본주의의 출현 시기와 영국과 미국에서의 산업혁명 시기의 성별 노동 분업에 관한 역사적 문헌을 재검토하고 있다. 이 부분은 남성-여성 지배-종속 관계들이 임금-노동 시장으로 확대된 것에 대하여,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와 그에 따른 남성 우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남성이 행했던 주요 역할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주절주절...

0.

어젯밤에 꿈을 꾸었는데, 전두환이 잡혀 가는 꿈을 꾸었다.

머리가 전두화처럼 훌러덩 까진 별 넷 장성이 직접 전두환을 호송해 가는 꿈...

그 호송하는 차량 맨 뒷좌석에 나도 타고 있었다는...

근데 난 잡혀 가는 게 아니라 기자처럼 관찰자 정도인 것처럼 보였다는... 

 

근데 이 이야기는 왜 쓰고 있을까...

시어머니도 몰라, 며느리도 몰라...

 

0.

요즘 학교에서 운동을 하는데,

갑자기 왜 운동하는지를 곰곰이 생각해 보니까...

아무래도 운동하는 게 무슨 수련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옛날 소림사의 스님들이 무예를 닦으면서 수련을 하듯이...

그 스님들이 수련을 하는 것은 아마도 잡 상념들을 모두 비워버리고

그 비워둔 곳에 열반의 도를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었을까 하능...

(이거 완전히 조지콩 님의 글쓰기 스타일로 되어가고 있다능...)

 

그것처럼 잡생각이 많은 나로서는 잡생각이 들면

일단 증오와 적개심이 타오르는지라...

그러한 증오과 적개심을 사그라트리려면

숨이 턱까지 차오르도록 운동을 해서 숨을 고르는 데만 신경 쓰도록 하는 것처럼 생각이 들었다는...

그 증오와 적개심이 가득찬 잡생각을 비우고,

거기에 충만한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 넣을 수만 있다면...

 

이제 스님들처럼 아예 머리를 밀어볼까...

근데 두상이 안 예뻐서 머리 미는 순간 다른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폐를 끼칠 것 같은...

그로 울 여친께서 가만 안 둘 것이고...

울 엄니도 가만 안 있을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혀를 끌끌 찰 것이고...

 

그런데 결정적인 것은 별로 머리를 밀고 싶은 생각이 없다능^^...ㅋㅋ...

 

0.

요즘도 계속 졸린다.

잠을 7시간 이상 못 자는 날엔 짤 없다.

그렇다고 7시간 이상을 자면 졸음이 안 오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조는 정도가 좀 야갈 뿐이다.

난 보통 1시 반에서 2시에 잔다.

늦으면 4시에 잘 때도 있다.

일어나는 것은 보통 8시인데,

아침 1교시 수업이 있는 날은 짤 없이 6시 반에 일나야 한다.

왜냐하면 하도 곰탱이처럼 행동이 느릿느릿하기 때문이다.

(이것 때매 군대에서 고생 많이 했다!)

 

7시간 이상 못 자면,

학교 오자마자 10분도 안 돼서 30분 이상 졸아주셔야

점심 먹기 전까지 쫌 가준다.

그러다가 점심 먹고 와서 또 10분도 안 돼서 40분 이상 졸아주셔야

운동 가기(4시 반)전후까지 쫌 가준다.

운동 끝나고 저녁을 먹고 와서 또 10분도 안 돼 20분 정도 졸아주셔야

집에 갈 때까지 쫌 살아주신다.

 

문제는 테레비다!

테레비를 안 봐 주셔야 덜 졸 텐데...

집에만 갔다 하면 테레비부터 켜 놓는다.

테레비 안 켜 놓으면 쫌 뭐랄까 적막강산이다.

적막강산, 이거 이거 안 겪어본 사람들은 모른다.

얼마나 거시기한지...

 

어쨌거나 저쨌거나...

날이 좀 더 쌀쌀해지면 덜 졸래나...

테레비를 확 끊어버릴까...

그러면 위약금 물어야 한다...

3년 약정으로 할인 요금 내는데,

아직 2년도 채 안 됐기 때문이다.

그리고 적막강산을 이겨낼 도리가 없다.

ㅋㅋ...

 

몰라! 배째!

 

이상 주저리 주저리 뉴스였심니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