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연결 부분(HYPHEN)을 해체하기 :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5에 관한 레포트 5

3.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국가

 

 

우리는 바로 여성 혐오 이데올로기들의 폭넓은 정치적 함의들, 즉 그 이데올로기들이 어떻게 가부장적 가족 그 자체를 강화하고 현대 자본주의 국가에 대한 가장 근본적이고 일관된 정당성을 제공하는지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내가 그러한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증거를 거의 가지고 있지 못하지만, 오염과 타락 또는 순수함과 모성애 화신의 근원으로서 여성을 혐오하는 이데올로기 또는 성적 이중 노동(sexual double standard)을 최상의 공공선으로 끌어올리려는 이데올로기가 국가 통합의 시기에 매우 널리 퍼져 나가기 시작했던 것 같다. 이러한 시기는 극심한 계급 분화와 사회적 불안 또는 엄청난 군국주의화와 전쟁이 있던 시기였고, 또한 중앙 집중화된 국가 기구들이 (엥겔스 표현대로라면) 사회적 무질서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 수단으로서 그리고 지배계급 헤게모니를 확고하게 다지는 것으로서 발전하던 시기였다. 서구 국가의 발전 과정에서 여성 혐오 이데올로기들이 계급의 선을 추상적인 “시민”(citizenship)의 의미로 끌어들이면서 남성 집단들을 단일화시킴으로써 그러한 무질서들을 해결하려 했던 것처럼 보였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국가는 매우 한정된 가부장적 토대뿐만 아니라 계급적 토대 위에서도 발전하게 된다.

 

Pomeroy는 이런 패턴을 자신의 15세기 아테네의 성 정치학 분석 속에서 풍부하게 묘사하고 있다. 국가 소유의 매음굴을 설립하였고 (따라서 양가집 여인과 창녀 사이의 구별을 “제도화시키면서), 하위 계급 여성들의 지위를 하락시켰으며, 또한 상위 계급 (시민-양육자) 여성들을 엄격한 신체적‧법적 규제 속에 가두어 두었던 Solon의 법적 “개혁”을 예로 들면서, 그녀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얼핏 보기에 반페미니즘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규제들은 실제로 남성들 사이의 다툼을 제거하고 새롭게 만들어진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성들은 남성들 사이의 충돌의 영원한 근원지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Solon의 해결책은 그녀들을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하고 그녀들의 영향력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고대 세계의 깊은 문화적 뿌리를 가지고 있는 양상과 유사한 양상이 (385) 현대 부르주아 국가 성립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많은 증거들이 있다. Christopher Hill과 Eli Zaretsky 같은 사람들이 주장하고 있듯이, 영국 대내란(english Civil War) 이후에 나타난 “평등”, 계약 그리고 “자발적 동의”에 기초하였던 공화국은 가족 내에서의 남성 지배자들을 위한 승리를, “자유”로부터 대다수 남성들의 배제와 시민들 몸 자체 내에서의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모순 이 둘 다를 모호하게 만드는 그 지배자들의 능수능란한 미사여구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18세기 경 자코뱅 당의 이상적인 “덕”(virtue)이 극에 달할 무렵, 시민에 대한 정의는 견고하게 남성 일색이고, 그 남성의 침묵하는 파트너인 여성은 방어적이며, 온순하고 가정에 안주하는 자로서 정의된다. 그리고 또 다시 고대 그리스에서처럼, 이러한 이데올로기 경향은 여성을 점점 더 신체적으로, 법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가부장적 가족 안에 가둬두려는 것에 의해 강화된다. 나는 지금 여성 혐오적인 이데올로기와 제도들이 모든 남성을 위한 “자유와 평등”이라는 부르주아 정치 이데올로기를 합법화시키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다른 모든 것들 가운데 민족의(남성의) 단결, 충성, 군 복무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합법과 불법이라는 이데올로기 탄생 그 자체는 위에서 논의하였던 하나의 지지자 또는 재생산 수단에 대한 가부장적 통제의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시민의 참다운 의미를 부풀리거나 신비화시키는 데 일조한다. (공화국의 덕과 여성의 종속 둘 다에 관한 탁월한 이데올로그인 Jean-Jacques Rousseau가 여성이 자신으로서는 이중노동일이 될 그 노동일을 위반한다는 것은 “반역” 행위를 구성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하찮은 것이 아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연결 부분(HYPHEN)을 해체하기 :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5에 관한 레포트 4

2. 가부장적 권력과 재생산 수단에 대한 통제

 

 

페미니즘 운동은 항상 뿌리 깊은 신념에 기초해 왔고, 종종 개인적인 저항 또는 폭넓은 사회적 요구 측면으로 나타났으며, 피임과 낙태 또는 “불법”으로 정의된 것들과 같은 그러한 것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정치적인 것이다. 대체로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라는 슬로건은 이러한 현실을, 즉 사람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섹스를 하고 피임을 하며, 또는 아이를 낳는지 하는 것은 커다란 정치적 중요성을 지닌 이슈들이라는 현실을, 또한 이런 이슈들과 관련된 고립된 “사적 영역”이란 결코 없다는 현실을 알리는 의미로 쓰였다. Linda Gordon과 Sarah Pomeroy의 연구 같은 최근의 페미니즘 연구는 이러한 슬로건에 역사적 내용을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연구는 우리에게 재생산 통제와 가부장적 권력, 계급 권력 그리고 국가 권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맑스주의-페미니즘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역사적 토대를 제공한다. Pomeroy와 Gordon 이 두 사람(한 사람은 (382) (B.C.) 15세기의 아테네에 관해 말하고, 다른 한 사람은 19세기 미국에 관해 말하고 있다)은 예를 들어, 법과 사법적 판결의 의미를 반영한 것으로서 “합법”(legitimacy)과 “불법”(illegitimacy)과 같은 개념들의 의미가 국가의 인구 통제 정책들과 그 정책들을 지배하는 사회 경제적 조건들의 변화와 관련하여 명백하게 바뀌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Pomeroy는 고대 아테네의 여성 지위가 시민 생산을 그녀의 첫 번째 의무 기능으로 삼았다는 데 있었음을 주장하면서, 합법성, 성관계, 낙태, 영아 살해, 시민과 이방인 사이의 결혼, 그리고 간음과 관련된 아테네의 법률들이 모두 직접적으로는 군사적인 남성권력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켰고 간접적으로는 국가 권력을 확고하게 만들었던 의도적인 재생산 통제 정책들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재생산 수단에 대한 통제는 가부장적 (자본주의 또는 전자본주의) 국가에 (그 국가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옮긴이) 상당한 인적 자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아이들의 출산 형태와 수를 통제하는 정책은 수에 대한 통제권, 여러 계층 또는 신분 사이에서의 인구 분포에 대한 통제권, 잠재적 시장 변동 등과 관련한 잠재적 노동 또는 노예 풀(pools) 크기에 대한 통제권을 국가와 지배 계급에게 부여한다. 비슷한 예로, 섹슈얼리티에 대한 합법적이고 불법적인 표현들을 규정하는 지배적인 규범들(예를 들어, 아내에 대한 남편의 성적 강제의 법적인 처벌, 매춘을 규제하거나 지원하는 국가 법률, 남창에 관한 법률, 동성애에 대한 금지 등)은 단지 특정한 가부장적 가족 구조와 (특히 여성과 동성애자에 대한) 성적 억압을 강화시키는 것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다. 더 나아가 이 규범들은 가부장제 속에 살고 있는 어머니들의 아이들과 그 아이들의 운명에 대한 통제권을 국가의 수중에 둠으로써, 그 통제권을 가족들, 즉 그녀들의 손에서 빼앗아 버린다.

 

Pomeroy와 Gordon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재생산 통제에 대한 분석은 그러한 의문들에 대한 “급진 페미니즘”의 관점과 동일시되는 분석들과 “맑스주의-레닌주의” 접근법과도 다르다. 한편으로, 맑스주의-페미니즘의 탐구 방법은 한 측면에서 볼 때 재생산 수단에 대한 통제가 사실상 계급 문제임을 보여 주면서, 사실상 수많은 재생산 통제 정책이 가지고 있는 계급 기초를 인정한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인적 자원을 통제하는 것이 모든 남자는 아니지만, (383) 자본주의-제국주의 지배 계급을 구성하는 남자들이다. 더욱이 Gordon의 책이 보여 주고 있듯이, (체계적인 국가 인구 통제 정책과는 반대되는 것으로서) 개인들의 출산 통제권을 위한 자유주의자들의 운동은 그 자체 이따금 특정한 계급 편향들(예를 들어, 후기 “자발적 모성” 지지자들과 Margaret Sanger와 같은 20세기의 출산 통제 개혁가들에 의한 우생학 이론과 정책에 대한 지지)을 반영해 왔다. 마지막으로, 재생산 통제는 그 형태와 영향이 서로 다른 계급과 민족 그룹의 여성들에 대해 차이가 난다는 의미에서 계급적 문제이다. 이러한 계급-민족적 분리의 가장 노골적인 예는 물론, AID(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비배우자(非配偶者)간 인공 수정)와 푸에르토리코 여성, 미국 원주민 여성 그리고 그 외 제국주의 주변에 있는 제3세계 여성들에 대한 또 다른 국가 인구 통제 기관들에 의해 강요된 체계적인 비자발적 불임이다.

 

비자발적 불임을 포함한 그러한 재생산 통제를 논의한다는 것은 전적으로 또는 근본적으로 그러한 실행이 약 4,000년 동안의 가부장적 전통에 의해 점점 더 강화되었고 정당화되어 왔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계급 문제이다. Gordon이 설득력 있게 지적하고 있듯이, 단순하고 효과적인 출산 통제 수단들이 대부분의 기록된 역사를 통해 여성에게 잘 알려져 있었던 한에서는, 가부장 시대의 그러한 수단들에 대한 억압은 기술적 변화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학(특히, 여성 자신을 해방시키려는 여성의 시도에 대한 반페미니스트들의 응답)의 문제이다. 사실 비자발적 불임 프로그램들은 다른 계급과 민족 집단 여성들이 처해 있는 문제들과는 아주 다른 제3세계 여성들의 문제들을 값싸고 안전한 낙태와 출산 통제를 보장하려는 쪽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문제들은 지배적인 남성 집단이 재생산 자체를 통제하고자 하는 데서 생겨난 문제들이다. 맑스주의-페미니즘은 역사적으로 특수한 인구 통제 형태들에 관한 분석을 재생산 수단, 여성의 몸 그리고 방법의 사항들과 물질적 조건들을 장악하고 있는 남성 우월주의라는 보다 넓은 구조 속에 다시 배치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통제가 여성의 특수한 계급 그리고 민족 집단과 관련하여 특수한 형태들을 취하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그 통제는 (384) 그러한 분리를 넘어서며 모든 지위의 여성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리하여 이 통제는 명백하게 페미니즘의 이슈가 되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연결 부분(HYPHEN)을 해체하기 :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5에 관한 레포트 3

여기서 앞으로는 man-male, woman-femail을 남성-남자, 여성-여자로 구분해서 쓰지 않을 것입니다. 이전까지는 이렇게 구분해서 썼습니다. 왜냐하면 생물학적인 여성-남성을 보통 male-female로 구분해서 쓰는데, 저는 이것을 한국말로 생물학적으로는 남자, 여자로 쓴다고 생각을 했고, man-woman이 젠더의 개념이 들어간 것으로 보았고 우리 말로는 남'성'-여'성'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페미니즘 전공하시는 분께 여쭤 보았더니 저처럼 그렇게 구분해서 쓰지는 않고 맥락에 따라 쓴다고 말씀하시고 또 adelitas께서도 지적하신 것이 있어서, 또 제가 그렇게 구분해서 쓰는 게 너무 자의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구분해서 쓰지 않으려고 합니다.

 

1. 친족관계와 계급 구조

 

 

맑스주의-페미니스트로서, 아마도 우리가 대체로 잘 공유하고 소통하였던 이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a) 하나의 그룹으로서 여성의 특수한 물질적 사회적 조건들은 대체로 친족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b) 가족 그 자체(가족의 형태와 기능 둘 다)는 폭넓은 경제적 사회적 힘(force)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는 지금 많은 인류학적 증거, 즉 남성 지상주의가 어떤 형태로든 자본주의뿐만 아니라 계급과 국가사회보다 일반적으로 앞서 있다는 증거들을 가지고 있다. 계급 이전 사회들(preclass societies)에 관한 연구들이 직접적으로 친족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연구들은 가부장 체계의 일정 유형들, 성별 노동 분업 그리고 여성의 저항 형태들을 전개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맑스주의-페미니즘 관점으로부터 이루어진 그러한 연구들은, 예를 들어 여성의 물질적 조건과 권력이 모계(matrilocal) 친족 관계 또는 부계(patrilocal) 친족 관계에 따라, (379) 안정과 평화 또는 군국주의와 위험이 널리 퍼져 있는 사회 환경에 따라, 여성 공동체와 친족 네트워크가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들이 있는지 등과 같은 것에 따라 근본적으로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인류학자가 아닌) 나에게는 계급 이전 사회의 성별 노동 분업이 지배의 관계, 즉 가부장 관계 또는 남성 지상주의 관계가 될 때, 그리고 그 노동 분업이 단순히 분업이 될 때를 알기 전에는 우리가 가야 할 길이 먼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맑스주의자로서 우리가 계급/국가 사회들에서의 권력을 보다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친족관계와 가족이 그러한 사회에서의 여성의 상황을 규정하는 특수한 방식들에 관해 많이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바로 이른바 생산과 재생산의 “영역”이 거기서 어떻게 상호 침투하는지에 관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화된 영국에서 노동하는 가족들에 관한 Laura Oren의 논문을 통해 우리는 특수한 물질적 측면에서 임금에 대한 남편의 통제가 어떻게 자본주의 경제와 부인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또한 남편과 부인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결정하는지를 알게 된다. 가정 경제 안에서 차지하는 임금의 기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노동 계급 가족 내에서의 남성(male) 지배의 한 가지 물적 토대에 관해 그리고 가정주부의 특수한 소외 형태에 관해 배우게 된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임금 관계가 그 자체 가족 경제 내에서 어떻게 재생산되는가에 관해 배우게 된다. Oren의 논문은 자본주의에 의해 생성된 특수한 가족 형태(여성은 일부일처제, 가사노동 그리고 경제적 종속의 울타리에 갇히게 되고, 남성은 집안을 먹여 살리는 사람으로 규정된다) 그 자체가 임금노동-자본 관계를 정당화시키고 안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다른 말로 해서, 위계적-가부장적 가족 관계는 남성 임금 노동의 필요조건이다. 임금이 어떻게 식료품, 보건 그리고 다른 편의 시설 등의 불평등한 분배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Oren의 분석은 우리가 줄곧 의심해 왔던 것들에 대한 경험적 증거들, 즉 노동 계급 남성이 가부장제를 통해서 단지 가공의 어떤 것이 아니라 물질적인 어떤 것을 얻어낸다는 증거, 또한 권력, 특권 그리고 여타 재원들을 소유하는 이러한 물질적 체계가 노동 계급 남성과 자본가 남성 사이의 실증적인 유대 관계를 만들고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노동 계급 남성과 “그들의” 여성 사이를 실재로 분리시키고 있다(이는 노동 계급 전체의 관점에서 볼 때 명백한 이중적 모순이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380) 또 다른 일련의 예들을 통해 친족 관계와 계급 구조 사이의 두 가지 관계 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맑스주의-페미니즘에 바탕을 둔 여성 노동에 대한 많은 우수한 분석들을 통해 우리는 자본주의 체계 안에 깊숙이 파고든 친족 관계 양상과 가족의 기능이 그 체계 안에서의 여성 지위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았다. 선진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여성은 대개 친족 지향의 풍습에 의해, (부부가 남편의 가족과 거주하는) 부계 거주의 주거 형태에 의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선 모성과 모성 기능에 의해 결정된 우리의 가정생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총 노동력 상태, 우리의 직업 규정들과 노동 조건들을 발견하게 된다. 더욱이 Judith Stacey와 Norma Diamond 같은 사람들이 현대 중국과 관련하여 보여 주고 있듯이, 가부장제는 부계 거주와 배타적인 여성의 자녀양육과 같은 가부장적 친족 관계 체계의 기본적 측면들이 여전히 여성의 삶을 지배하고 경제와 국가 안에서의 여성의 장소를 결정하는 한, 사회주의 사회 안에서도 규범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여성에 대한 우리의 건강한 관점이 이 모든 것을 명백하게 밝히고 있지만, 우리는 종종 계급 구조 그 자체가 어떻게 친족 관계와 가족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바로 이러한 가족-사회 관계의 차원을 드러내는 두 가지 탐구 사례를 들어보겠다. 꽤 친숙한 첫 번째 사례는 결혼 형태들이 18세기 유럽 상류 계급의 정체성과 단결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다. (Bloch와 Habbakuk 같은) 프랑스와 영국 역사가들의 연구는 상류층의 상업 금융 자본과 귀족 사회의 보다 기업적인 요소들 사이의 결합(exogamous) 형태들을 보여 준다. 이런 계급들의 남자들 사이에서 “여성 교환”(특히, 귀족과 신사계급(gentry)의 딸들)은 새로운 지배계급이 확정되어 가던 서유럽에서 산업혁명 이전의 자본 축적이 이루어지던 시기의 첫 번째 동인(動因)이었다. 동족(同族) 결혼(endogamy) 이족(異族) 결혼(exogamy)의 형태들을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전통 체계뿐만 아니라 계급 형성 과정과 계급의식의 본성에 관해 많은 것을 드러낼 수 있다. 맑스주의-페미니즘 관점에서 본다면, 그러한 분석들은 이른바 “재생산 영역” 또는 친족관계가 실제로 부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단지 계급의 개별적 구성원들이 아니라) 전체로서의 계급을 재생산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381) 가족의 영역과 정치경제학의 영역 사이의 분열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는 또 다른 사례는 현대의 문맥으로부터 취할 수 있다. Amy Bridges, Batya Weinbaum 그리고 Ruth Milkman의 저작들은 가족과 여성의 “소비 노동”이 인플레이션, 실업 그리고 사회 서비스 부문의 예산 삭감에 대비한 필수조건을 제공하면서, 경제 위기 시기를 잘 넘기게 한다는 사실을 분석함으로써 사적 영역으로서의 가족에 대한 추상적 의미를 넘어선다. 여성이 가계 생활비를 절약하고 병원에서 일치감치 돌아온 나이 든 가족 구성원들, 데이 케어(미취학 아동·고령자·신체장애자 등을 주간만 돌봐주는 일) 센터에서 돌아온 아이들 그리고 대학 수업료를 낼 형편이 못되는 십대들을 돌볼 때, 그 가족(즉 여성)은 위기의 난관을 부드럽게 넘기며 그 위기를 인간적으로 견딜 수 있게 하는 국가의 일을 떠맡게 된다.

 

내가 마치 여러 종류의 사과와 오렌지를 이런 다양한 사례들과 섞어 놓은 것처럼 들리겠지만, 요점은 매우 일반적인 것이다. 즉 가족 체계와 계급 체계 사이의 관계가 복잡하고 변증법적인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맑스주의-페미니즘이 효과적으로 설명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연결 부분(HYPHEN)을 해체하기 :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5에 관한 레포트 2

** 맑스주의 페미니즘 : “분리된 영역들”을 넘어서기 **

 

 

2년 전에 아주 흥미로운 원고가 맑스주의-페미니즘 “전위 운동 단체” 사이에서 회람되기 시작했다. 그 원고는 Gayle Rubin의 “여성의 교환”(The Traffic in Women)이었는데, 우리가 우리 고유의 순수한 맑스주의-페미니즘 방법론이라 부를 수 있었던 분석 양식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었다. 내가 루빈의 논문을 찬양하기 위해 선택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 루빈의 논문은 맑스주의-페미니즘 이론 성장의 한 지표였다. 그 논문은 『자본』의 각 권에서 확실하게 여성을 위치시키고자 하는, 또는 “개인”을 낱낱이 파헤쳐지는 (그리고 억압 받는) 존재로 꾸밈없이 묘사함으로써 그 개인을 정치화시키려는 우리의 열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전에 우리가 성취할 수 있었던 것보다 좀 더 풍부하고 좀 더 완전한 분석적 접근의 시작을 알리는 전조가 되었다.

 

Rubin은 “섹스-젠더(sex-gender)의 정치학”을 제안하면서, 섹슈얼리티와 젠더,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재생산되는 친족-가족 구조들이 “그 자체 사회적 생산물이라는” 점, 이런 것들이 역사적으로 결정된 관계들로, 다시 말해서 물질적 생산, 부, 교환, 권력과 지배뿐만 아니라 감정과 감성 모두를 직접적으로 아우르는 관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우리에게 진지하게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것을 통해 다음과 같은 좀 더 분석적인 통찰을 할 수 있었다. 그러한 통찰은 “생산”과 “재생산”, 노동과 가족이 달과 태양 또는 부엌과 가게처럼 멀리 떨어져 있기는커녕, 실제로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양식들, 즉 서로 반향되고 동일한 사회적,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 공간들 속에서 자주 발생하는 양식들이다. 이러한 점은 강조할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우리들 대다수가 여전히 “분리된 영역들”(생산, “공적인 삶”, 사무실 등의 남성 세계로부터 떨어져 나온 “재생산”, “사적인 삶”, 가정 등의 “여성의 장소”)이라는 모델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지금 이러한 (377) 분리된 영역이라는 모델이 현실을 왜곡하고 있으며, 그 모델이 어느 모로 보나 “남자”(male)와 “여자”(female)라는 자체의 의미만큼이나 동일한 의미의 이데올로기 구성물임을 알아가고 있다. 재생산과 친족 관계, 또는 가족은 역사적으로 결정된 자신만의 고유한 생산물, 물질적 기술, 조직 방식 그리고 관력 관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산과 친족 관계 그 자체는 필연적으로 사회의 생산관계 그리고 국가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것들은 모든 시기마다 자신의 관계를 재형성한다. 이러한 이론의 진전(나는 이러한 용어가 아주 거창한 용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함축적 의미는 가부장제를 분석하고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이 자본주의, 전 자본주의 또는 사회주의 경제학이건 간에)을 분석하는 이 두 가지의 일이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이다. 맑스주의-페미니즘 분석 양식을 발전시키는 바로 그러한 과정은 필연적으로 맑스주의 변증법을 심화시킬 것이며 세계를 바라보고 반영하는 분석 방식을 풍부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맑스주의-페미니즘 진영에서 자칭 나의 역할은 이러한 과정이 이미 어떻게 어떤 영역에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나의 생각을 당신과 공유하는 것이다. 나는 맑스주의-페미니즘 이론과 방법론이 더 이상 단순한 희망(또는 “불행한 결혼”)이 결코 되지 않을 것이라는 커다란 확신을 가지고 있다. 우리들 자신만의 토론 그룹뿐만 우리의 저작 활동 속에서 우리는 그러한 이론을 진지하게 정치적이고도 지적인 기획으로 만들고자 서로를 북돋았다. 우리가 이러한 지점에 서 있음을 보았을 때, 나에게는 우리가 이미 네 가지 비판적인 관계들을 분석하기 시작한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이런 관계들 속에서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생산과 재생산 사이의 역동적 상호연관성이 구체적이고도 역사적으로 상세한 방식으로 표면에 떠오르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 관계들은 다음과 같다 :

 

(1) 친족 관계 또는 가족, 그리고 계급 구조. 나는 가족과 친족 체계 둘 다 가족 바깥에 있는 사회적 관계들을 반영하고 그 관계들을 재형성하는 데 보탬이 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맘에 두고 있다.

 

(2) 재생산 수단들(특히 섹슈얼리티와 아이 출산)에 대한 통제와 남자 권력(male power) 사이의 관계. 이것은 아이 출산과 섹슈얼리티의 물질적 조건과 기술들에 대한 통제가 자부장적 지배와 자본주의/제국주의 지배의 중요한 수단이며, 따라서 사회주의 페미니즘 투쟁의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점점 커져 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378) (3) 가부장적, 또는 남자 지상주의자, 이데올로기와 국가, 국가의 형태와 그 합법성 사이의 관계. 엥겔스가 보여 주었던 것처럼, 가부장제와 국가 조직 형태 사이의 일치를 보여 주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우리는 가부장제가 어떻게 국가 권력을 승인하였는지 알아가기 시작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것은 고대와 현대 부르주아 국가들을 정당화하는 주요한 것으로서 “이중적 노동 기준”(double standard), 여성혐오주의자들이 말하는 타락의 금기, 모성 숭배와 같은 그러한 지배적인 반여성적 이데올로기 기능들을 수반하고 있다.

 

(4) 이러한 모든 것과 여성의 의식 사이 그리고 여성의 의식과 혁명적 변화 사이의 관계. 우리가 여성의 실제적 조건들을 이해하면 할수록, 물론 우리는 여성이 그러한 조건들을 변형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 내부의 혁명적 운동들을 변환시키기 위해 행동하는 특수한 방식들을 점점 더 이해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모든 관계들을 분석하거나 또는 그러한 관계들을 어떠한 식으로든 상세하게 묘사할 시간이 없다. 내가 앞으로 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를 처음의 두 가지 영역으로 이끌어 나갔던 최근 몇몇 지적 작업의 예들을 제시하는 것이며 따라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영역에 관한 짤막한 몇몇 생각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윗사람의 지시란다...

오늘 학교에 왔더니 웃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울지도 못할 일이 떡 하니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학교 중앙 도서관에 있는 교수 개인 열람실을 한 달씩 끊어서 이용하고 있다.

그러니까 한 달 동안은 그 열람실이 나의 개인 연구실쯤 되는 셈이다.

그런데 열람실에 들어왔더니, 열람실 책상을 누가 자기 멋대로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책상 머리 앞에 정말로 아무렇게나 휘갈겨 쓴 메모 한 장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 내용인즉슨 다음과 같다.

 

"퇴실 시에는 자리를 항상 깨끗하게 정돈하여 주십시요.

윗분에게 지적 받았읍니다.

0층 담당

11/11(수) 000 차장"

 

참으로 예의 없는 글 하며...

글고 차장씩이나 되는 사람이 나한테 지적 받았다고 하는 소리나...

그리고 그 잘나신 높은 양반이 강사의 개인 열람실을 보구서 자기 맘에 안 들게 정리되었다고

와서 한마디 하신 거 보면, 참으로 할 일 없으신 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처음엔 하도 어이가 없고 열도 받아서 그 메모 들고 내려가서 한마디 하고 싶더라만...

괜히 열 받을 필요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서 관뒀다.

치우는 건 내가 치우는 것도 아니고, 윗분에게 한소리 듣는 것도 내가 아니니까...

 

그런데 발상이 너무나 어이없다...

책상 정리가 지 맘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차장씩이나 되는 사람을 불러서 한소리를 하는 것도 그렇고,

책상정리까지 간섭한다는 것도 그렇고...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 옛날 박통 시절에 머리 길다고 경찰이 가위 들고 서서 머리를 싹둑 자르는 등의

그 무식한 일들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하여간 골때리는 일이다, 한마디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연결 부분(HYPHEN)을 해체하기 :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5에 관한 레포트 1

여기에 옮겨 놓은 글은 이전에 옮겨 놓은 글이 속해 있는 같은 책 <자본주의 가부장제와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입장>에 속해 있던 글입니다.

 

===================================================================

(373) # 연결 부분(HYPHEN)을 해체하기 :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5에 관한 레포트 #

 

 

- Rosalind Petchesky -

 

 

이 “리포트”(이 논문이 담겨 있는 책을 말하는 것 같음-옮긴이)에 딸려 있는 이 논문은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1”이라 부르는 집단의 생각과 이 집단의 4년 간 상호교류를 통해 나타난 생산물이다. “M-F 1”은 1973년 여성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로 형성되었는데, 다른 것들은 제외하더라도 이들 중 많은 급진적 학문 단체들이 원칙적으로 의료, 조직적인 사무원들 또는 여러 다른 분야로 편성된 공동체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옮긴이) 그것은 결코 하나의 “조직”이 아니었다. 하물며 오늘날에도 조직화하지 않지만, “운동”을 표방한다. 고작해야 그것은 개인의 정치적 경향의 구조적 표현이라고 부를 수 있겠다. 혼자 또는 우리의 개별적 가족, 공동체, 대학, 사무실, 그리고 연구소 등으로 고립된 작은 그룹으로 연구하면서도, 맑스주의와 페미니즘 사이의 긴장에 압도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가 4년 동안 1년에 수차례 모임을 가졌는데, 이때 우리의 다양하면서도 공동의 상황들을 서로 모여 반추해 보고 비교해 보며 분석하면서, 우리의 생각들과 실천들을 종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좀 더 현실화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M-F 1 구성원들이 여러 분산된 (374) 장소(New York, New Haven, Hartford, Buffalo, western Massachusetts, Boston, Washington, D. C.)에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정치적 구조 속에서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공동의 조직된 활동을 수행하거나 하나의 그룹으로서 전략을 짤 수 있다는 것은 결코 생각할 수 없는 일이었다. 따라서 우리의 활동은 폭넓은 주제를 둘러싸고 주말의 오랜 시간 동안 강도 높은 토론으로 이루어지는 등의 주로 이론적인 성격을 가진 것이었다. 이러한 주제들은 여성과 노동조합, 모성, 빅토리아 시기의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재정 위기와 그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섹슈얼리티와 정신분석 이론, 건강관리와 인구 조절 정책들에서의 인종차별주의, 페미니즘과 문화, 페미니즘 운동의 확립과 같은 것인데, 이는 우리가 집중해서 연구하자고 약속한 좀 더 공식적인 주제들의 작은 샘플에 지나지 않는다. 덧붙여서 우리는 매주 주말 토론회의 정규 부분으로서 좀 더 “개인적인” 특성을 지닌 주제들, 즉 남성, 섹슈얼리티, 주거 환경, 노동, 화폐 그리고 이 모든 것들에 대한 우리의 감정들에 대한 토론 시간을 많이 가졌다. 분명하게, “무거운” 주제와 개인적(“부드러운”) 주제 사이의 이러한 분리는 끊임없이 우리 의식 내에서 이분법이 작동하고 있음을, 그리고 우리 모두가 확고하게 믿고 있는 개인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사이의 연관성을 끊임없이 구체화시키지 못하는 무능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론, 개인의 경험과 의식 그리고 조직화의 전략들을 우리의 토론 속에서 결합시켜 보고자 하는 열망은 여전히 우리의 명백하고도 절박한 과제로 남아 있다.

 

M-F 1은 집단적인 저술 기획의 형태로 논문을 쓴다는 것에 대해 말을 아꼈고, 그 논문 작업을 천천히 진행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이론적 작업을 끊임없이 부지런하게 노트(수고)의 형태로 그리고 우리의 집단적 생각들이 우리 구성원 개인 모두의 저술 활동, 교육 활동, 그리고 정치적 실천에 결합되어 들어갈 수 있는 미묘하고도 무수한 방식으로 정리하였다. 아마도 우리 공동 작업의 가장 구체적인 생산물은 지난 3년 동안 맑스주의-페미니즘 그룹 2,3,4와 지금의 5 그룹을 형성시킨 것이었다. 우리의 자매 그룹들이 함께 해 왔던 안락과 열정, 사실상 열망을 통해 우리는 순수한 맑스주의-페미니즘 정치학의 발전이 아주 필요하며, 이를 이 그룹들이 출현했던 도시들(처음에는 New York과 Boston)의 많은 여성들이 공유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우리는 지금 (375) 약 175명의 여성들이 구성원으로 속해 있는 집합체이다. 1977년 3월 19일, 우리들 중 대략 70명이 Barnard 대학에서 하루 종일 회의를 했던 최초 모임 기간에 우리의 저술 방식과 맑스주의-페미니즘을 하나의 전망으로 그리고 하나의 가능한 운동으로서 바라보는 우리의 시험적인 생각들을 공유하기 위하여 모였다. 이 회의에서, 앞으로 적절한 저술 활동 분야로서 가장 관심을 이끌었던 단일한 정치적 이슈는 재생산의 정치학이었으며, 또한 특히 불임수술 남용에 저항하여 진행했던 캠페인이었다. 이러한 이슈는 성, 인정 그리고 계급 문제들을 통합시킬 수 있는 광범위한 잠재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느껴졌다. 뿐만 아니라 페미니즘 운동과 제3세계, 반제국주의 그리고 사회주의 혁명 운동들 사이를 연결하는 결정적인 다리를 세울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느껴졌다.

 

좀 더 일반적으로, 승리의 과정을 고취하였던 신중한 희망의 정신이, 즉 우리 개인적인 삶의 모순과 같이 우리 정치학의 애매모호함들이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는 자각이 있었다. 이러한 정신은 M-F 2의 여성대변인인 Mary Bailey의 말에 등장하는 모두에게 잘 포착되어 있다 :

 

 

“맑스주의자-페미니스트로서 우리는 날뛰는 말 위에 두 발로 서 있다. 우리는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즉 이 연결 부분(hyphen)을 해명하지 않았다. 우리는 맑스주의나 페미니즘의 통찰에 의해 진행되는 혁명이 우리가 원하는 혁명이라고 생각한다. 하나의 그룹으로서 우리의 고유한 실천은 그러한 혁명의 형식주의적인 몇몇 측면을 뺀 모든 것을 서술하는 것이다. 종종 이러한 모든 것은 우리의 페미니스트 자매들에 대하여 우리가 맑스주의자이며 또한 우리의 맑스주의자 형제들에 대하여 우리가 페미니스트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바로 지금……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위험은 우리가 이러한 연결 부분을 받아들이려 하고, 자명한 것으로서 거부감 없이 그 연결 부분에 안주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그 연결 부분은 하나의 기획(a project)이 되는 것 대신에 (연결되는 두 부분 중의-옮긴이) 한 부분(a counter)으로 되거나 하나의 암호(a cipher)가 될 것이다. 그 연결 부분은 경제 쇠퇴 속에서 우리의 자리를 얻거나 보존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틈새시장 중에서 우리가 비꼬았던 그 안락한 지위를 찾기 위한 한 방법으로, 우리의 남은 삶을 규정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고정된 규정으로는 살아가지 않으려고 하는 우리 삶의 모순들. 이러한 시도를 굉장히 어렵고, 우리가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과정으로 만들고자 하는 자본주의의 모순들. 이 두 조항들 사이에 끼어드는 것은 모든 수준에서의 욕구이다. 즉 소망으로서의 연결 부분이다(Hyphen as wish). 우리는 그 연결 부분의 속삭임을 들었다.”

 

 

(376) 다음의 논문은 내가 회의에서 했던 이야기들을 확장시켜 놓은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가 잘 작동 안 된다면, so... [펌글 기사]

“자본주의 잘 작동” 11%뿐… BBC, 주요 27개국 국민 여론조사

“규제·개혁으로 풀어야” 51%

경향신문 | 김향미기자 | 입력 2009.11.09 18:19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을 맞아 주요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여론조사 결과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우려가 매우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BBC방송이 주요 27개국 성인 2만9033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19일부터 10월13일까지 진행해 9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장경제를 주축으로 하는 자본주의가 '잘 작동하고 있다'는 응답은 11%에 불과했다. 시장경제가 잘 작동하고 있다는 응답이 20%를 넘은 국가는 미국(25%)과 파키스탄(21%) 등 2개국뿐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51%는 현재 자본주의의 문제를 더 많은 규제와 개혁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답변했다. 또 응답자의 23%는 자본주의에 치명적인 결함이 있으며 새로운 경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이 같이 답변한 비율은 프랑스 43%, 멕시코 38%, 브라질 35%로 나타났다. 27개국 중 15개국에서 과반수의 응답자는 정부가 주요 산업을 소유하거나 직접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옛 소련의 몰락에 대한 응답 비율은 국가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미국이 81%로 옛 소련의 몰락을 지지하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어 독일(79%), 영국(76%) 등 서방국가에서 지지 의견이 우세했다. 반면 '잘못된 일'이라는 답변이 러시아에서는 61%를 차지했고, 우크라이나(54%)에서도 다수를 차지했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옛 소련의 해체가 '잘못된 일'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2%,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24%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옛 소련의 몰락을 지지하는 의견은 54%였다.

27개국 중 22개국의 67%가 정부가 부(富)를 좀 더 공평하게 분배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번 여론조사를 시행한 영국 BBC 글로벌스캔 대표인 도그 밀러는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공산주의가 붕괴하고 자본주의가 승리한 것처럼 보였지만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1년간 금융위기로 자본주의가 폭풍우를 맞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나, 재탕했다구 벌 받았나봐...ㅠ...

작년 거 재탕했다구 벌 받았나봐...ㅠ...

오늘 몸이 으슬으슬 춥다...

아침에 도서관 교수 열람실에 히터 안 틀어줘서 떨었더니만...

 

그래서 도서관 알바 학생한테 히터 좀 어떻게 안 되겠냐고 물었더니,

학교 담당자한테 전화하더니만, 연방 예, 예만 하더니 나에게 그쪽 얘기를 전한다...

- 오늘 시운전했는데, 시운전 끝나서 히터 못 넣어주고 낼부터 넣어준대요...

그 알바 학생 디게 미안해 하더라...

미안할 것까진 없는데...

학교 지들 오늘 한 번도 히터 넣어준 적 없으면서!!!

히터 시운전해서 넣었다는 투로 말하는 거 하고...

에이, 빌어먹을 놈의 학교...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 뭐 이런 게 생각나더라...

 

안 그래도 추워서 떨리는데 차별이란 말을 쓰니 더욱 춥구나...

거시기하다...

 

지금은 생도에 있다.

여기는 학생회관에 있는 거라 히터를 틀어놓아서 그나마 따뜻하다...

중앙도서관에 있었으면 동태에다 혹시 신종 뭐시기까지....

 

사실 몸이 안 좋은 것은 지지난 주부터였다...

근데 지난 주에 <야자> 하면서 무리하게 달렸더니...

그만 탈이 나고 몸 상태가 더욱 안 좋아졌다...

지금 입꼬리에 염증이 생겨서 입을 벌릴 때마다 아프다...

사실 염증 생긴 건 한 일주일 된다...

 

지금 겨울 운동복 후드 모자 쓰고 있다...

덜덜 떨려서...

근데 집에 갈 일이 까마득하다...

자전거 가져왔는데...

왜 가져 왔을까 후회막급이다...

눈 딱 감구 타구 가야지 별 수 있나...

 

오늘은 집에 불 좀 넣고 12시간 정도 자야겠다...

한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아침 8시까지...

참, 물 끓여서 뜨겁게 마셔야겠다...

 

살살 갈 준비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0월의 마지막 날에...(재탕) ㅋㅋ...

10월의 마지막 밤 - 이용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를 남긴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 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 가요..
한 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

 

 

  

 

작년 이 날에 올렸던 걸 왜 올리느냐?!

이유가 없다^^ ㅋㅋㅋ

10월의 마지막 날이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가부장제, 그리고 성별 직무 분리 7.

결 론

 

 

노동시장에서 현재 여성의 지위와 성별로 분리된 직무라는 현 제도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사이의 오랜 상호작용 과정의 결과물이다. 나는 이러한 과정 곳곳에 있는 남자 노동자들의 행위를 강조해 왔는데, 왜냐하면 나는 그러한 강조가 옳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성의 종속이 끝이 나고 남성이 계급 억압과 착취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게 되는 이 두 경우에 남성들은 (노동시장과 가정에서의) 노동 분업에서 차지하고 있는 자신들의 매력적인 지위를 포기하도록 압력을 받을 것이다. 자본가들은 사실상 여성을 남자 노동자들을 자르기 위한 비숙련의 저임금 노동자로 사용해 왔다. 그런데 여전히 이것은 제자리로 돌아오는 경우, 즉 남성들 사이의 위계질서로 이루어져 있고 남성을 복수심으로 가득 찬 자신으로 되돌아오게 만드는 가부장제 사회에 의해 남성들이 선택되고 그 사회를 남성들이 지지하는 경우일 뿐이다. 자본주의는 가부장제 위에서 성장하였다. 가부장적 자본주의는 전형적으로 계급화된 사회이다. 피지배 계급 남성들이 자유롭게 된다면 그들은 자신이 가부장적 자본주의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인정하게 될 것이고 자신들의 가부장적 이익들을 포기하게 될 것이다. 여성들이 자유롭게 된다면, 여성들은 가부장적 권력과 자본주의 사회 조직에 대항하여 반드시 투쟁할 것이다.

 

성별 노동 분업과 남자 지배(male domination) 이 둘이 그렇게 오랫동안 존속해 왔기 때문에, (231) 이 둘을 뿌리 뽑기란 아주 어려울 것이며, 전자(성별 노동 분업)를 제거하지 않고 후자(남자 지배)를 뿌리 뽑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이 두 가지는 지금 거의 풀 수 없을 만큼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남자 지배를 끝장내기 위해서는 성별 노동 분업 자체를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사회와 문화의 모든 수준에서의 아주 기본적인 변화들은 여성 해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성별 직무 분리의 유지가 여성 지위의 핵심적인 뿌리라는 점을 말해 왔고, 또한 성별 직무 분리의 유지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사회 제도들의 폭넓은 작동들을 고찰해 왔다. 그러나 그러한 노동 분업의 결과는 매우 깊숙이 잠재의식 수준으로까지 내려간다. 잠재의식은 사회 제도들의 세세한 기반들 [또는 요소들]을 형성하지만 그 다음에는 그러한 사회 제도들에 의해 강제되는 행동 양상들에 영향을 미친다.

 

나는 내가 이 논문에서 다루었던 거시적 현상들뿐만 아니라 미시적 현상들도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남성이 유사한 사회 계급의 여성에게 결코 종속될 수 없다는 아주 뿌리 깊은 행동 규칙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규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장소는, 바텐더가 자율적인 상황을 인정할 수 있을 때까지 웨이트리스가 바텐더에게 주문을 전달할 때 어려움을 겪는 레스토랑이다. 또한 경영진과 관련하여, 그 장소는 여성 경영진들이 그녀들의 지위상 다른 사람들과 거의 접촉이 없고 적은 인원의 직원들을 관리할 때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보일 수 있는 곳에서도 나타난다. 그리고 산업 노동자와 관련하여, 여자 공장 감독관이 결코 남자 생산직 노동자의 일을 성공적으로 바로 잡을 수 없는 곳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다른 성과 동일시되는 것에 대한 뿌리 깊은 두려움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여성과 남성은 (제각각) 여성적인 것이 아닌 것 또는 남성적인 것이 아닌 어떠한 것도 결코 행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남자 경영진들은 아마도 자신들의 남성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 주는 일을 하고 있다는 관계의 표시로서 남자 비서들과 종종 악수를 한다.

 

다음으로 좀 더 깊은 수준에서, 우리는 잠재의식, 즉 이러한 행동규칙들이 어떻게 내면화되고 어떻게 개인의 인격 구조로부터 탈피하게 되는지를 고찰해야만 한다. 이런 측면에서, 즉 개인의 인격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생물학적 성 차이에 기초한, 사회적으로 강제된 인간의 차별인 젠더의 생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현실에 대한 유물론적 해석은 물론 젠더 생성이 (232) 현존하는 성별 노동 분업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제시하며, 또한 변증법적 과정 속에서 바로 그러한 노동 분업 자체를 강화한다. 내 생각에, 이러한 성별 노동 분업이 깊숙하게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우리들 사이에서 사회적으로 강제된 젠더 차이를, 그리하여 성별 노동 분업 자체를 뿌리 뽑을 때까지 우리는 성적으로 질서지워진 직무 분리를 뿌리 뽑을 수 없을 것이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둘 다를 공격하면서 우리는 폭넓은 사회 제도들 그리고 우리 내면 깊숙이 자리 잡은 습관들 둘 다를 변화시키는 방법들을 찾아야만 한다. 이것은 멀고 험난한 투쟁이 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