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을 본인이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서 비판하시오.


아침에 눈을 뜨면 수돗물에 비누, 샴푸 등을 사용하여 세수를 하고, 새벽마다 배달되는 우유 한 컵을 마시고, 옷장에 있는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을 옷을 꺼내 입고,... 그야말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내 삶의 어느 한 순간에도 소비하지 않는 순간이 없다. 그야말로 현대의 인간은 도구의 동물도, 생각하는 동물도 아닌, 소비의 동물, 호모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이다.

‘정상’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하는 수순을 밟아왔다면 벌써 취직하고, 결혼까지 했을지도 모를 20대 후반에, 누가 무슨 일 하느냐고 물어보면 학생이라고 몇 가지 설명을 덧붙여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현 사회에서 학생이라는 위치는 그야말로 노동으로부터의 자유와 굶어죽을 자유, 어떤 복지시스템에 혜택받지 않을 자유까지 누리는 자유로운 존재이다. 아주 운이 좋게도 한달에 30만원씩을 벌어 생활을 하는데, 돈벌이를 늘려야할 것인가, 소비를 줄일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이 하는 일을 이분법으로 쪼개어보면 이렇게 나눌 수 있다. 임금을 받는 노동과 받지 않는 일. 이중 임금을 받지 않는 일은 보통 가치 없고 하찮은 것으로 치부되거나 혹은 자원봉사처럼 순수하고 고귀한 행위로 추앙되기도 한다. 그것은 주로 그 일의 목적이 나와 내 가족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남을 위한 것인가에서 나뉘는 것이겠지만, 돈 받지 아니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같다. 나와 함께 사는 직장인 친구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 설거지, 청소, 빨래 등을 하고, 몇 시간 후에 그 행위의 결과가 금새 마치 하지 않은 듯 되어버리는 것에 대하여 한탄하고는 한다. 하루 세끼 밥 먹기 위해서는 하루 세끼 밥상을 차리고, 설거지를 하고, 매일 깨끗한 옷을 입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빨래라는 일을 반복해서 해야 하지만, 보통 가사일을 도맡아 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귀찮은 남의 일이 되곤 하는 것이다. 그 친구의 고민은 결국 두 가지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많은 돈을 벌어 가사노동을 대체해줄 만한 사람 혹은 기계를 들이거나 아니면 가사일을 자신의 일로 인식하거나... 내 경우는 후자를 택한 셈이다. 하루 두세 시간의 가사일이 돈을 벌어다주지 않는다는 셈을 하기 이전에 그 일이 내 삶을 영위하는데에 어떠한 가치를 가지는가를 생각하고픈 것이다. 그러나, 길거리로 나가 노숙을 하지 않는 이상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돈 벌지 않고, 자급자족하며 살겠다는 것이 몽상에 불과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최종 생산물에 대한 소비든, 중간과정에서의 소비든, 우리는 일상의 대부분의 것을 소비하고 있고, 그에 대한 교환을 가능케 하는 화폐를 필요로 한다. 그것을 거부하는 것, 곧 사회적 자살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러하기에 현 사회에서 우리는 하루 8시간 이상을 노동할 것을 강요받고, 8시간을 생리현상에 쓴다고 치면, 8시간에 해야하는 여타의 일에 대해서는 자신의 휴식과 놀이를 방해하는 하기 싫은 일이 되는 불가피한 구조 속에서 살고 있다. 왜 민주노총에서 가사노동할 권리를 보장해 달라는 요구를 정부와 기업에 하지 않는 것인가. 보다 나은 점심식사를 제공받거나 좀더 높은 식대를 제공받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아침, 점심, 저녁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해 줄 것을 요구해 보는 것을 어떨까.

20세기 초반의 공산주의자들에게 있어 자본주의생산방식은 임노동과 자본의 대립과, 그로 인한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으로 인한 필연성의 논리로 나아가는 수순을 밟는다. 그 안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것은 현재의 생산력 그 자체를, 체제의 변혁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것이다. 현재의 생산력은 지극히 자본주의적 생산력이며 그 안에서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는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끊임없이 욕망을 자극하며 소비를 부추기고, 더 많은 돈을 벌고자 하는 욕구는 장시간노동, 평생노동으로 인간을 몰아넣는다. 실업은 비정상 상태가 되며, 실업자가 돈 벌기를 거부하고 스스로를 위한 생산과 소비의 순환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리하여 스스로를 위한 노동은 가치 없는 것이 되고, 하루 종일 일한 결과물을 그날 저녁 술값으로 소비하기도 하는 노동자들은 현재 수준의 소비, 혹은 더 많은 소비와 더 풍요로운 소비를 위해 임금인상이라는 가능한 수준에서의 분배를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자본주의생산방식은 적어도 내게는 참여하지 않으면 사회적 무존재이자 무가치라고 끊임없이 속삭이는 어떤 것이다. 그리하여 수많은 사람들과 상품을 매개로 관계맺고 있으나 이 질문 외의 다른 관계맺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How much?”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20 00:15 2005/04/20 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