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과 관련된 레포트, 혹은 수업시간에 든 생각들... 기타 등등'에 해당되는 글 28건

  1. Not Free Trade, but Fair Trade 2012/05/15
  2. 국가를 위해 죽다 2006/06/06

Not Free Trade, but Fair Trade

- by Lee Hayeon

 

<introduction>

- What a Crazy price!

A t-shirts worth 5000won, a bag worth 3900won… Who can make them with this crazy price? Who can make profit from it?

This is the first question for the fair trade.

 

- protectionism and liberalization

According to the economy text, free trade is the best for all of the world. It is justified by so called “comparative advantage”.

Free trade is, “a market model in which trade in goods and services between or within countries flow unhindered by government-imposed restrictions. Restrictions to trade include taxes and other legislation, such as tariff and non-tariff trade barriers. Reductions to these barriers is trade liberalization.”

(http://en.wikipedia.org/wiki/Free_trade)

But, actually there has never been “free trade”. Even now cotton field in USA is protected by the government. Both protectionism and liberalization do for the benefit of a powerful country. This process is so call “kick off the ladder” (Jang hajun)

How can the poor countries overcome poverty in this international trade system?

This is the second question for the fair trade.

 

1. What is Fair Trade?

A billion of peasants make their living less than 1 dollar everyday.

Under pressure from developed countries they sell raw materials, goods, and themselves for the mud, finally are debt-saddled.

In this system, unfair world trade system, Fair Trade movement guarantees the normal profits for the peasants through the direct trade between the consumers in developed countries and producers in underdeveloped countries.

 

2. Spread of Fair Trade

The first movement started in 1950s as American churches purchased handicrafts for the refugees from Europe. In late 1980s Oxfam started it for the peasants of underdeveloped countries. Now most consumers i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can meet many kinds of fair-trade goods, especially coffee, cocoa, chocolate, fruits include banana, and T-shirts.

In Korea there are some fair trade goods. – Peace Coffee(from East Timor) by Korea YMCA, Himalayan present by the Beautiful store, Mascovado sugar(from Philippine) by APnet, some clothing by Ecofem(여성환경연대), etc.

But still there is just low recognition about fair-trade in Korea.

 

3. Fair trade in Korea

(1)In case of the Beautiful store, they launched some handicrafts for fair trade when they opened their store in 2002. Now coffee from Nepal is the main item. 

When the consumer in Korea buys 200g of coffee that costs 10000won, a peasant in Nepal gets 900won. The Beautiful store has a plan to supply machine for coffee production in 2008 with the earnings in 2007.

The official in charge said, “From the point of interest, Nepal coffee is not economical. Nonetheless our Nepal coffee is cheaper than another organic coffee.” He seemed to have proud of the quality of their coffee. According to him, the consumer in Korea can get the good quality of organic coffee with cheap price through fair trade system.

He said, “To choose the fair trade goods is the obligation of global citizen. It’s not just donation because it is good for both consumer and producer.”

(2) Mascovado sugar(from Philippine) by APnet (Alternative Peoples' Network for Peace and Life)

Mascovado sugar by APnet started fair trade in a part of consumer's cooperation movement. APnet shows us the case that started from needs of consumer. A member of the cooperation wanted to buy safe sugar for their kids. Since white sugar sold in Korea was almost unsafe refined sugar, they started trading with Negros through existing route that Japanese cooperation had developed.

A pack of Mascovado sugar costs 2000 won. It is also cheaper than another organic imported sugar. It is just half price.

Actually the home of the mascovado sugar, Negros island was a traditional plantation area. In 1984 people faced great crisis because of typhoon and millions of people sufferedfrom starvation.After spread widely about Negros’s crisis, many kinds of NGO gave support them. One of them was Japan Committee for Negros Campaign, JCN

NGOs include JCN realized their support like aid was not help. So they developed a new general idea, “Trade-Not-Aid”. Finally they founded Alter Trade Cooperation(ATC). After this effort Negros people could be guaranteed stable income.  

APnet considers direct trade is more important in point of cooperation movement. They think that trade has to be “people to people trade”. They think in market there is not only producer and consumer but encounter and solidarity. So a member of cooperation visits Philippine periodically, and cooperation and village community progress many projects. For example irrigation facilities, medical center, etc.

 

4.  Is the Fair-trade the alternative to the Free trade?

A few months ago, one magazine[i] reported the case in Nepal. According to report working conditions in workplace for fair-trade were not big different from other workers in the other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workplace of fair trade factories is not so different from another common workplace. Krisuna Ruxumi(24) makes eye pillows for 8 years in a sewing factory that has fair trade relationship for 23 years. She can get 125 rupee a day, 3000 rupee (45000 won) a month. But she doesn’t know how much the eye pillow is and who buy it. There is no ‘democratic worker’, no ‘subjective worker’[ii]as the important principle of fair trade.”

“the chief beneficiary of fair trade is business enterprises not Nepali workers. The fair trade enterprises like Mahaguti, Manushi introduce themselves “Non Profit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But these organizations have the firm order of rank. The workers are just employees.”

These reports show us an ideal of fair trade was absorbed by the principle of market. There is not the principle of democracy. All fair trade enterprise are not transparent. It could come out result a few of group monopolized.

 

Then, is fair trade just an ideal? Is fair-trade a suitable alternative?

But many people still say it can be a seed of hope.

Fair trade is not best just better. We can still pursue the better. And we can change the better with the best.

 



[i]2007.08.23.『Hangyeore21』No.674 “Fair trade is still hungry”

[ii]주체적 노동자This word means the worker who can decide one’s own labor proces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5/15 07:16 2012/05/15 07:16

국가를 위해 죽다

from as a student 2006/06/06 22:17

--세상읽기와 글쓰기 마지막 레포트--

 

 

<국가를 위해 죽다>


6월 6일, 현충일이다.


#1. 내게 6월 6일은 그저 휴일일 뿐이다. 간만의 휴일, EBS에서는 '다섯 통의 편지'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방영하고 있었다. 현충일 특집이라는 부제를 달고. '아, 오늘이 현충일이구나.' 다큐멘터리는 한국전쟁 때의 치열했던 전투 현장에서 잊혀진 유해를 발굴하는 작업을 잔잔하게 그려내고 있었다. 발굴 작업에 참여하고 있는 현역군인,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의 유해를 찾기 위해 채혈을 하는 딸, 마음에 묻고 온 전우의 유해를 찾는데 도움이 될까 발굴현장을 찾는 옛 전사들 등 유해발굴에 관련되어 있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한 시간 동안 전해져왔다.

유해발굴 현장에서는 발굴된 유해를 분류한다. 아군과 적군으로. 50년 전에 묻혀진, 이미 흙이 되어가고 있던 뼈조각들은 철모, 군화, 수통 등을 통해 아군의 유해인지, 적군의 유해인지 판가름이 나며, 판단할 수 없는 유해는 아군으로 분류된다. 발굴된 유해는 흰 종이에 싸여 작은 나무관에 안치되고, 태극기로 덮인 채 모종의 의식을 거친다.

어떤 유해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가족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늦었지만, 국가가 꼭 해야하는 일, 그것이 한국전쟁 당시 이름 없이 묻혀간 용사들을 마지막 한 사람까지 땅 위로 복구해 내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 죽은 이들의 넋은 위로해야 한다.


#2. 20살 대학이 오기 전까지 살던 고향 집 근처에는 현충탑이 있었다. 한국전쟁 당시에 목숨을 잃은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한 조형물이였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런데, 그것이 그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함일까. 아니면, 현재의 군인들이 자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함, 혹은 그곳에서 묵념을 하였던 일반인들의 부채감, 혹은 애국심을 위함일까. 두가지 다라 해도 그 조형물을 세운 그들에겐 별 문제 없을 것이다.


#3. 근대 민족주의 문화의 상징으로 무명용사의 기념비나 무덤보다 더 인상적인 것은 없다. 일부러 비워놓았거나 누가 그 안에 누워있는지를 모른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무명용사의 기념비와 무덤에 공식적으로 의례적 경의를 표한다는 거은 일찍이 그 전례가 없었던 일이다. 이 근대성의 힘을 실감하기 위해서는 무명용사의 이름을 '발견하거나' 기념비를 진짜 유골로 채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 대해 일반의 반응이 어떨 것인가를 상상해 보면 된다. 괴이한 근대적 신성모독이 될 거이다! 그 안에 신원이 밝혀진 밝혀진 유골이나 불멸의 영혼은 없어도 이 무덤들은 기괴한 민족적 상상물들로 가득 차 있다.

(배네딕트 앤더슨 「문화적 기원」『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나남출판,2002)


#4. 군인이 전쟁터에 나가는 것은 분명 국가를 위해 나가는 것이며, 국가는 마지막 한 사람의 군인까지 책임져야 하며, 그들을 끝까지 가족의 품에 돌려보내야 한다. 그것이 그들이 ‘헛된 죽음’에 이르지 않는 길이다.

그런데, 국가를 위해 죽는다는 행위는 숭고한 죽음인가.

요시자와 세이치로는 죽음의 의미를 두가지로 상정한다. 첫째, 죽으려고 하는 사람이 자신의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가라는 점, 둘째, 죽은 사람의 죽음을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이해하였는가라는 점이다. 국가를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행위는 국가에 대한 충성이 극도에 달한 결과로, 애국심이 사람들에게 죽는 보람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들의 죽음은 정치적으로 ‘이용’된다.

(요시자와 세이치로, 『내셔널리즘으로 본 근대 중국, 애국주의의 형성』,논형, 2006)


#5. 현충일은 왜 국가기념일인가. 왜 우리는 끊임없이 한국전쟁의 무명전사들을 기억하라고 강요받는가. 무명전사를 기리는 행위는 당연하지 않다. 적어도 근대 이전에는.

허나 단지 죽은 자의 넋을 위로하는 것 뿐이라면 그것이 무에 중요하랴. 그러나 국가가 ‘죽음’을 기리는 것은 거꾸로 산자들의 ‘평화적 권리’와 어느 지점에서 부딪힌다. 국가가 ‘무명용사’를 지켜내며 그 무명용사의 뼈을 아군과 적군으로 분류하고, 마지막 한 사람까지 국군묘지에 안치시킬 때, 국가의 안보는 죽은 자들의 뒤를 따라 산 자들이 지켜내야하는 무거운 짐이 되어 돌아온다. 애국심이라는 가슴두근거림과 함께. 그리고 전 국민을 국가를 위해 불러낸다. 때로는 군인으로, 때로는 근로자로, 때로는 평생 일궈온 땅을 내어놓을 누군가로.

 

(여기부터는 사족;;)


#6. 일본의 패망 이후, 일본 사회는 헌법에 ‘평화롭게 생존할 권리’를 명시하였으며,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행사’를 영구히 포기하였다. 국가에 의한 군대의 포기는 역사적 조건의 특수한 산물이다. 이후 1950년대 초반에 일본 보수집단은 이를 개헌하려 하였지만, 실패하였고, 그런 평화지향적 흐름이 어떻게 일본사회에 광범위하게 유지될 수 있었을까. 일본사회 비무장주의 수용의 이면에는 전쟁체험에서 비롯된 국가 혐오와 염전 의식이 있었다.

“1945년 가을에 징병 연령에 달하는 나는 다가오는 본토 결전을 맞이해 적의 전차에 맨몸으로 뛰어들어 자폭/옥쇄할 각오를 했습니다. 그것이 자신에 남겨진 유일한 의미있는 행동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종전이 되고, 나의 죽음이 실은 아무런 의미없는 사석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지요. 그리고 전쟁이 끝나니, 이번에는 굶주린 서민의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식량조차 국가는 보장해주지 않았고 나 자신도 텃밭은 가꾸어 뜻하지 않게 농민이 되어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시기가 되었지요. 이 같이 전쟁을 강행한 국가는 ‘전쟁 중’에도, ‘전후’에도 민을 버렸습니다.” - 전후 일본지식인의 회고

(권혁태, 「평화적 생존권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아시아 인권의 현장담론』, 에이미디어, 200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6/06 22:17 2006/06/06 2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