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종합] 北 “미국, ‘황금 같은’ 기회 날렸다... 핵·미사일 시험 재개 여부도 곧 결정”

최선희 평양서 기자회견, “미국과 양보도 이런 식의 협상도 할 생각 없다”... 북미협상 중단 고려

김원식 전문기자
발행 2019-03-15 16:47:22
수정 2019-03-15 16:47:22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가운데)과 북측 관계자들이 15일, 평양에서 각국 외교관과 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가운데)과 북측 관계자들이 15일, 평양에서 각국 외교관과 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뉴시스/AP
 
 

북한이 미국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에서 ‘황금 같은’ 기회를 날려버렸다며, 미국과의 비핵화 대화와 핵·미사일 시험 유예(모라토리엄)를 계속 유지할지에 대해 조만간 결정을 내리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AP통신과 타스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15일(현지 시간) 평양에서 평양 주재 외교관들과 외신 기자들을 초청해 가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 미국과 타협할 의도는 결코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최 부상은 또 미사일 시험 발사와 핵실험 중단을 계속할지 여부는 전적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결정에 달렸다며 “짧은 기간 안에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만간 김 위원장이 북한의 추가 행동에 관한 결정을 공식 성명을 통해 내놓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 부상은 특히, 북한은 “미국이 북한의 조치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타협하거나 대화를 계속할 의향이 없다”면서 “미국은 지난 15개월 동안 북한의 발사 및 실험 중단에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자신들의 ‘정치적 계산’을 바꿨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미국의 기이한(eccentric) 협상 태도에 곤혹스러워했다”고 전하면서,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미국은 그들 스스로의 정치적 이익을 추구하느라 바빴지, 결과를 내기 위한 진실한 의도를 갖고 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하노이 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좀 더 대화할 용의가 있었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타협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보여줬다”면서 두 사람을 싸잡아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정상회담에서) 적대감과 불신의 분위기를 만들었다”면서 “그 결과 정상회담이 의미 있는 결과 없이 끝나게 된 것”이라며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의 책임을 돌렸다.

최 부상은 “(하노이에서) 고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우리 국무위원장은 ‘대체 무슨 이유로 우리가 다시 이런 기차 여행을 해야 하겠느냐’고 말했다”고 전한 뒤 “미국의 강도 같은(gangster-like) 태도는 결국 상황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싶다”고 경고했다.

북미관계·한반도 난기류 전망... 미국의 향후 대응 내용에 관심 집중

하지만 최 부상은 트럼프 대통령에 관해서는 비핵화 대화에 좀 더 적극적이었다면서 “두 지도자 사이의 개인적인 관계는 여전히 좋고 궁합(chemistry)은 신비할 정도로 훌륭하다”고 묘사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최 부상은 또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모든 제재를 해제하려 했다’고 밝힌 대목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북한은 단지 민간 경제를 옥죄는 제재에 대해서만 해제를 요구했다며, “미국이 왜 이렇게 다른 설명을 내놓는지 그 이유는 확실히 모르겠다”면서 “우리는 이번에 미국이 우리와 매우 다른 계산법을 갖고 있음을 아주 분명히 확인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평양 주재 외신 기자들도 일부 참석했으나, 기자들의 질문은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참석한 한 외교관이 북한이 미사일이나 위성 발사를 준비 중이라는 언론 보도에 관해 질문했으나, 최 부상은 직접적인 언급을 거부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북한이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공식적으로 미국을 비난하고, 핵·미사일 시험 재개는 물론 북미협상의 중단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힘에 따라 향후 북미관계 및 한반도 상황에 복잡한 난기류가 형성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최 부상이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계는 좋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난은 자제하고 하노이 정상회담 실패의 원인을 미국의 외교·안보 라인에 돌린 것은 주목할 대목으로 보인다. 

즉. 양 지도자의 친분을 강조하고 신뢰를 해치지 않음으로써 향후 ‘톱다운’ 방식을 계속 유지하고 또 미국의 대북정책에 관한 전면적인 자세 전환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이번 최 부상의 공식 기자회견에 관해 미국이나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가 향후 북미관계 진행에 일차적인 관건이 될 것으로 보여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원식 전문기자

국제전문 기자입니다. 외교, 안보, 통일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