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 정부가 도쿄올림픽에 맞춰 23일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총리 간 첫 대면 정상회담을 열기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장소는 도쿄 모토아카사카 영빈관이며, 의제는 일본군‘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라고 알렸다.

아울러, 일본 정부는 부적절한 표현으로 물의를 빚은 소마 히로히사(相馬弘尚) 주한 일본총괄공사를 경질할 방침이라고 이 신문이 보도했다. 소마 공사는 지난 16일 [JTBC]와의 오찬에서 문 대통령의 대일 자세를 ‘마스터베이션’이라고 폄하한 바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정부는 이 간부가 소마 공사라고 인정하고 소마 씨의 발언이 한일정상회담에 걸림돌이 되는 걸 피하겠다는 생각”이라고 알렸다. 일본 정부 고위당국자는 “(그) 발언은 외교관으로서는 있을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는 것.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대해,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19일 아침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특정 언론을 이용해서 정치적 입장을 밝히는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 바 있다”면서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소마 공사 경질 여부’에 대해서도 공식 통보받은 바 없다고 일축했다. 박 수석은 “소마 공사의 발언에 대해 국민과 함께 분노하고 있다”면서 “응당한 조치”를 거듭 요구했다. 일본 정부가 경질 방침을 정했다면 일본 언론을 통해서가 아니라 한국 정부에 공식 통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 측의 거듭된 무례에도 불구하고 굳이 일본 방문을 추진하는 것이 ‘대일 굴종 외교’가 아닌가는 지적에 대해, “대통령은 국익을 위해 외로운 길을 택할 수 있다”고 답했다. 실무적 차원에서 오늘까지는 방일 여부를 확정해야 할 것이라고 봤다.

이에 앞서, 18일 ‘한일정상회담’ 관련 질문을 받은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 “마지막까지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열린 자세로 임하고 있다. 회담 성과에 대한 일본 측의 성의있고 전향적인 답변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