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남편이자 친구였던 아들 찾기까지 14시간 걸렸습니다"

[이태원 참사, 끝나지 않는 이야기] 고 김의현 씨 엄마 김호경 씨

이상현 기자  |  기사입력 2023.01.18. 06:21:41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지 석달이 다 되어가지만 아직 유가족과 생존자들의 상처난 마음은 치유되지 않고 있다. 국무총리를 비롯해 장관, 국회의원들은 이들의 상처를 보듬어주기 보단 아픈 상처부위를 건드리고 헤집기 일쑤다. 일부에서는 "놀러 가서 그렇게 된 일을 왜 국가의 책임으로 돌리느냐"고 그만하라고 이들의 등을 떠민다. 그럼에도 이들은 여전히 아픈 가슴을 부여잡고 길거리, 국회, 대통령실을 부유한다. 세상을 떠난 이들이 어떻게, 언제, 왜 죽어야만 했는지 알고 싶다는 이유가 이들의 등을 떠밀고 있다.

 

12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 8명, 생존자 2명, 지역상인 1명은 국회 국정조사 2차 공청회에 참석해 참사에 대해 증언했다.이들의 이야기는 하나하나가 구구절절했다. <프레시안>에서는 이들의 발언 전문을 싣는다. 이들이 겪는 슬픔, 그리고 아픔을 공유하고자 하는 취지다.  아래는 참사 희생자 고 김의현 엄마 김호경 씨 발언 전문. 

 

※기사를 보기 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진술서 전문은 10.29 이태원 참사 당시의 현장과 참사 경험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저는 참사 희생자 김의현 엄마 김호경입니다. 

 

참사 직후 심적으로 힘들어 TV나 인터넷 기사는 보지 않았습니다. 분향소가 설치된 사실을 전혀 몰랐고 사진도 위패도 없는 분향소였다는 것은 나중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분향소 운영 마지막 전날에 합동분향소에 영정사진을 올리고 싶은 유가족이 있다면 얘기해달라는 통보식의 문자를 받았지만 분향소 관련 자세한 안내는 받지 못했습니다. 

 

저는 영정사진도 위패도 없는 분향소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추모하고 애도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내 아들 이름 하나 없이 보낸다는 생각에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

 

유가족 연락처와 공유 문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서로 연락해서 만나고 있는데 나만 연락이 안 되는 건 아닌지 불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장례를 치르는 중에 한번, 장례를 치르고 나서 담당 공무원에게 유가족의 연락처를 물었으나 모르겠다고 했고 같은 지역의 유가족의 연락처를 물어보았으나 개인정보라 공유해줄 수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 연락처를 다른 유가족들에게 전달하고 그분들이 괜찮다고 하면 연락처를 공유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유가족 두 분의 연락처를 문자로 받았습니다. 

 

당연히 정부에서 연락이 오겠지, 우리 유가족들을 만나게 해주겠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저한테는 너무나 당황스럽고 안타까운 일이었습니다. 

 

친구들에게는 멋진 친구였고 직장에서는 성실한 직원이었던 눈웃음이 특별히 예뻤던 아들은 집안의 기둥이었고 저에게는 남편이자 친구였습니다. 도와달라는 낯선 이의 울부짖음에 도와주어야 한다고 도와주어야 한다고 손을 내밀었다가 이태원의 차가운 도로에 쓰러졌습니다. 

 

쓰러진 후 빈 건물에 방치되어 있다가 동행자가 있었으나 동행자에게는 연락해준다고 건물에서 나가라고 하고 구급차에 실려 갔다고 합니다. 

 

그 후 아들의 행방을 찾을 때까지는 14시간이 걸렸습니다. 신원 확인을 위해 동국대 일산병원에 갔을 때 손대지 말라고 신원만 확인하라는 말에 자는 듯이 누워있는 아들을 보고 울고만 있던 것이, 왜 손 한번 못 잡아보고 왜 살뜰히 못 살펴봤는지 지금도 가슴이 미어집니다. 

 

그렇게 보냈습니다. 발인 후 봉안당에 안치 후 참석한 아들 친구들에게 이야기했습니다. 왜 그곳에 갔는지를 기억하지 말고 왜 돌아오지를 못했는지 기억하고 밝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들은 키가 엄마보다 커지면서 자기가 엄마를 지켜준다고 했습니다. 지금 그곳에서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하고 있을 것 같아서 미안해하지 말라고 엄마에게 미안해하지 말라고 이야기해주고 싶습니다.

 

사라지는 것과 잊혀지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정치학과 기후변화를 공부했다. 들리지 않았던 말까지, 끝까지 듣는 기자를 꿈꾼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