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잘못을 뒤집는 ‘진실 판결’ 민중기 판사

 
 
전교조 지위 회복에 이어 또 진실 판결 ‘수능 문제 오류’
 
육근성 | 2014-10-21 13:01:57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서울고법 행정7최근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 굵직한 사건에서 1심 결정을 두 번이나 뒤집었다국민의 상식 수준에도 미달하는 엉뚱한 1심 판결을 항소심 재판부가 바로잡은 것이다권력이 아닌 국민의 편에강자가 아닌 약자의 편에 서서 진실을 가려내려고 노력한 재판부의 소신과 용기는 박수 받을 만하다.

전교조 위헌 제청 받아들여 법내노조 지위 회복

지난 9월 행정7부 민중기 부장판사는 교사는 노동자가 아니다라는 헌법재판소 판결(1991)에 근거해 전교조를 교원노조법상 노조로 볼 수 없다는 고용노동부의 결정을 수용한 1심 재판을 뒤집고 전교조가 낸 법외노조 효력정지 신청을 받아들였다또 교원노조법 제2조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제청도 받아들임으로써 전교조는 항소심 판결이 나오기 전까지 법내노조’ 신분을 회복하게 된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10월 해직 교사들을 조합원으로 가입시킨 것이 위법이라며 교원노조법 제2조를 내세워 전교노는 법적 노조가 아니다라고 통보한 바 있다이에 대해 전교조는 산업별직종별지역별로 구성된 전국단위 노조에는 해직자도 가입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법정 공방을 벌였지만 1심 재판부는 고용노동부 손을 들어줬다.

노동법이 가동되는 국가라면 응당 교사도 노동자로 본다교사로서 요구되는 덕목과 자질을 떠나 가르치는 행위 자체가 노동에 해당되기 때문이다교육받을 권리 보장을 위해 교원에게 권리(단결권)을 포기하라고 강제한 과거 판결이 잘못됐다는 건 상식 있는 국민이면 모두 인정하는 바다.

극우단체들 민중기 판사는 좌익엉터리 판사 파면해야” 폭언

전교조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본 재판부는 법외노조 처분의 전제가 된 교원노조법 제2조가 교원의 단결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는 위헌적 조항이라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법외노조 통보를 인해 전교조에게 생길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할 긴급한 필요가 인정된다고 밝혔다올바른 판단이다진즉 1심에서 이런 판결이 나왔어야 했다.

이러자 극우단체들이 일제히 재판부를 비난하고 나섰다색깔론까지 등장했다민중기 부장판사를 좌익종북 판사라고 규정하고 망발과 폭언을 퍼부었다어떤 극우단체는 민중기는 전교조를 두둔하려고700만 학생들의 피해를 외면했다며 엉터리 판사 퇴출을 위해 시위를 이어갈 것이라고 목청을 높이기도 했다황당한 주장이다대체 전교조가 학생들에게 어떤 피해를 준다는 건가.

민중기 퇴출이라는 피켓을 든 시위도 벌어진다. ‘민중기 판사 퇴출 성명서도 나왔다극우 매체들도 나섰다해악을 자행하는 전교조 편을 드는 판결을 했을 뿐 아니라 골수 좌파 세력을 합법노조로 돌려놓았고 악다구니를 쓴다. “좌익판사 민중기를 파면하라는 포악한 언행도 서슴지 않는다이쯤이면 테러 수준이다.

 

민 부장판사는 노동법 권위자다. 2005년부터 수년 간 서울행정법원 노동 사건 전담부에서 근무한 바 있다또 복잡성전문성다양성이 더해가는 노동사건의 정확한 판결을 위해 노동법을 연구하는 법조계 모임인 법원 노동법커뮤니티의 회장을 맡은 적도 있다극우단체는 이런 사람을 엉터리라고 모독한다.

진실 알린 또 하나의 판결, ‘세계지리 8번 문항 오류

지난 16일에도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 판결이 민 부장판사 입에서 나왔다작년 수능 세계지리 8번 문항에 정답이 없어 문제 자체가 오류라는 극히 상식적인 지적에도 불구하고 정답이 있다고 결론을 내린 1심 판결이 뒤집혔다수능 응시생들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교육부장관을 상대로 낸 세계지리과목 등급결정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패소라는 원심 판결이 깨진 것이다묻힐 뻔했던 또 하나의 진실이 세상에 알려진 셈이다.

사실 논란거리도 될 수 없었다정답이 없다는 게 너무나도 명확했기 때문이다그런데도 출제자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오류를 인정하지 않았다교육부 역시 방관하면서 문제를 키웠다평가원 내부와 일부 출제위원들 사이에서도 문제 오류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임기 몇 달 남지 않은 평가원장이 자신의 명예가 실추될 것을 우려해 끝까지 버틴 것으로 보인다.

소송이 들어오자 평가원은 큰 비용을 들여 대형 로펌 변호사 6명을 선임하는 등 자신들의 입장과 체면 방어에만 집중했다이런 노력에 1심 재판부가 부응한 셈이다황당한 논리를 내세우며 평가원의 손을 들어줬다틀렸지만 명백히 틀린 게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란다.

 

▶ 1심 - ‘정답 있다고 본 이유 (서울행정법원 행정13/2013.12.16)

1. 8번 문제에서 지문은 명백히 옳고 ,지문은 명백히 틀렸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정답을 고르면 2번밖에 존재하지 않는다평균 수준의 수험생이 정답을 고르는 데 어려움이 없다.

 

▶ 2심 - ‘정답 없다고 본 이유(서울고법 행정7/2014.10.16.)

1. 2010년 이후의 총생산액 및 2007년부터 2012년까지 평균 총생산액이 유럽연합(EU)보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더 크므로 평가원이 맞다고 본 ㉢ 지문은 명백히 틀리다.

진실 은폐-오도되는 세상소신 판사 있어 다행

단순 수치 비교만으로도 맞고 틀림이 명확히 드러난다그런데도 평가원이 버틴 까닭에 1년 가까운 시간이 허비됐다오답으로 처리돼 불이익을 당한 수능 수험생은 18000이들 중 상당수는 이 문제 때문에 불합격됐거나 하향지원 혹은 재수를 했을 터평가원은 상고하겠다는 등의 몽니를 부리지 말고 당장 수험생들에게 무릎 꿇고 사과해야 한다.

당시 평가원장(성태제 전 이대 교수)은 올 4월 임기를 마치고 떠났고 출제위원장도 바뀐 상태다책임질 사람도 없고 억울하게 피해를 본 학생들을 구제할 방법도 마땅찮다시간이 너무 흘렀기 때문이다평가원출제위원검토위원이 사제 관계이거나 선후배인 경우가 많다오류를 지적해도 묵살당하거나 평가원에 찍힐까봐 아예 지적하지 못하는 분위기란다이러니 문제가 생길 수밖에.

진실이 은폐되고 오도되는 세상에서 그나마 믿을 곳은 사법부밖에 없다판결이 잘못되면 진실의 마지막 보루까지 무너지게 된다전교조 1심 판결과 수능 문제 오류 원심을 깨고 용기있게 진실을 바로 잡은 서울고법 행정7민 부장판사와 같은 법관이 있어 참 다행이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2&table=c_aujourdhui&uid=44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