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펌-비마이너] 언젠가는

언젠가는
내가 하고 싶은 것 아닌 할 수 있는 것 찾다 보니 여기까지 와
스스로 계획하고 부딪혀 보는 것이 참된 자립생활의 길
2011.01.04 21:01 입력 | 2011.01.05 23:54 수정

이글은 지난 2일 폐렴 증세로 숨진 고 우동민 활동가가 지난해 6월 고인이 활동하던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식지 '네 바퀴로 보는 세상'에 직접 쓴 글입니다.  

 

 

나는 대한민국 서울에 사는 40대 미혼 남성이다. 매일 오전 7시 반에 일어나 씻고 아침을 먹고 갈 길 바쁜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이리 밀리고 저리 밀리며 지하철을 타고 출근한다. 사무실에 도착해서 동료들과 “좋은 아침~”하고 웃으며 인사를 나눈 후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일하다 틈틈이 커피 한잔에 사색도 하고, 보고서가 잘못되면 팀장에게 질책을 듣기도 하며, 일과 후 치킨에 맥주 한잔 하는 걸 무척이나 좋아한다. 난 여느 직장인들처럼 그렇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들과 내가 다른 것은 조금은 느리게, 적잖이 불편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장애인이라는 것이다.

 

사무실 동료들은 날 이렇게 부른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출근하는 동민 씨’. 장애를 가지고 여기까지 오게 된 나의 인생 여정,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살고 싶어, 장애를 핑계로 집안에만 있는 것이 싫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출근하는 나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해보고자 한다.

 

 

 

 

1968 년 10월 24일, 난 서울 면목동에서 태어났다. 그 시절 부모님께선 비록 없는 살림이지만 건강한 남자아이가 태어나서 무척이나 기뻐하셨으리라…. 하지만 태어난 지 3일째 되던 날 갑작스레 고열이 났고, 가진 것 없는 부모님은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갈 엄두를 내지 못하시고 아이의 열이 내리기만을 곁에서 지키셨다.

 

그 순간이 내가 지금까지 뇌성마비 장애인으로 살아가게 된 순간이다. 그렇게 여섯 살 때까지는 일어설 힘도 기어다닐 힘도 없어서 집에서 누워서 지냈고, 바깥세상 구경은 할 수가 없었다. 여섯 살 이후부터 나에게도 차츰 근력이란 게 생겼던 걸로 기억한다.

 

그 렇게 문밖의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나날이 커지던 어느 날, 부모님이 집을 비우셨고 그 틈을 타서 난 생애 처음으로 집 밖으로의 첫걸음, 아니 첫 포복을 시작했다. 하지만 나의 탈출은 몇 시간이 채 지나지 않아 아버지에게 발각되었고 모진 매질을 당한 후에 난 밖에 나가기를 포기한 삶을 살게 되었다. 그저 고분고분 말 잘 듣고 부모님께 폐 안 끼치는 아들로서….

 

 

이 후 남들 다 겪는 질풍노도의 시기도 없이 스물다섯 살까지 착한 아들로 있는 듯 없는 듯 살다가 옆집 아주머니의 제안으로 안산의 한 시설에 입소하게 된다. 지금 근무하는 센터에서 나의 또 다른 별명은 ‘한 달 용돈 만 원’인데, 시설에서의 한 달 용돈이 3만 원이었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만큼 시설에서는 돈 쓸 일, 특히나 내 마음대로 무엇을 할 일이 극히 적어서 어떤 일을 해보고자 하는 의욕이 생기지 않는 것은 당연하고, 나 또한 다른 시설 입소자들과 마찬가지로 무료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그 후 5년, 서른 살의 나는 - 비록 친한 친구에게 떠나보내야 했지만 - 시설에 갓 입소한 스무 살의 여성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애틋한 감정도 키워 보았다. 또 시설 관리자의 권유로 ‘보치아’라는 뇌성마비장애인들을 위한 스포츠를 접한 후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었지만, 선수로도 활동하게 되면서 세상에 조금씩 눈을 뜨기 시작했다.

 

 

지금 센터에서 보치아 담당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것도 그러한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 아닐까.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아닌 할 수 있는 것을 찾다 보니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이란 생각이 든다.

 

5 년간의 시설생활과 그 후 5년간의 그룹홈 생활을 하며 만났던 사람들의 도움으로 사회에 나와 아무런 준비도 안 된 채 겪었던 정립회관 비리척결 투쟁, 활동보조서비스 쟁취 투쟁. 그것도 어쩌면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아닌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일지 모른다.

 

내 나이 이제 불혹을 넘었지만 생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살아온 날들이 얼마나 될까 자문해본다. 그저 그렇게 나에게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해야 하는 것들을 해나가면서 마지못해 꾸역꾸역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쇼 생크 탈출의 주인공 앤디는 자신에게 누명을 씌운 사람들에게 복수하고자 감옥 안에서 치밀한 준비를 해나갔고, 결국엔 탈옥에 성공해서 쏟아지는 비에 몸을 맡긴 채 두 팔을 벌려 자유를 만끽한다. 어쩌면 그 순간 그는 복수할 수 있다는 기쁨보다는 자유로움 그 자체에 집중했을 것이다. 난 주인공처럼 감옥과 같은 울타리 안에 갇혀 지내는 것은 아니지만, 나의 삶은 내 마음속에 보이지 않는 감옥을 만들어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지 못하게 만들어 버렸는지도 모른다.

 

하 지만 앤디가 감옥을 나가고 싶어했듯이 나도 마음속 감옥에서 나가고 싶은 꿈, 늦기 전에 혼자 힘으로 외국에 나가 보고 싶은 꿈을 가지고 있다. 어쩌면 이것도 막연한 꿈일지 모르지만,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이 자리를 지키면서 틈틈이 노력해 보련다. 언젠가는 나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품고…. 비록 그것이 진정 내가 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지라도, 시도에 의의를 두련다. 스스로 계획하고 부딪혀 보는 것이 참된 자립생활의 길이기에….

 

 

 

 

ⓒ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