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17/12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7/12/06
    2017/12/06
    산초
  2. 2017/12/06
    2017/12/06
    산초

2017/12/06

나는 가난한 동네에서 자랐다. 4공단과 미군부대가 우리동네의 주 취업장소였고 대부분 가난했다. 4공단에서 기술직으로 일하던 아버지는 70년대 중반 기계제작업을 시작했고 낙농업을 부업으로 벌였다. 지금 생각해보면 성격상 사업은 어머니가 추진한것으로 보인다. 자본주의 성장기와 맞물려 상대적으로 사업은 그런대로 잘됬고 안정된 경제생활을 성장기에 보냈다 이러한 상대적 부유함이 기독교의 윤리와 어울려 나에게 '이렇게 살아야한다'는 삶의 원칙(강박)을 주었던것 같다.

한 친구를 10여년전에 블로그에서 우연히 다시 보게되었다. 나는 지금도 그렇지만 고립을 즐기고(?)있던 때였다. 그 친구랑 그리 친한 사이는 아니었지만 20대 30대 삶의 과정이 나랑 비슷한점이 많아 많이 반가왔었다. 20대 초반 같이 대학생활을 했던 사람들중에 졸업하고 현장에 뛰어든 사람도 드물었지만 이후 장애인들과 관련있는 삶을 사는이는 거의 없을것이다. 특히 장애인운동에서도 밀려나있던 지적장애인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것도 놀라왔다.
최근에 정신장애인과 함께하는 일을 하는것을 보고 서로 이야기한적도 없는데 어떻게 마음가는 부분이 이리 비슷할 수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내 상황은 그냥 마음만 있고 공부정도하고 있는 정도이지만 친구의 모습에 자극도 받고 힘도 받는다.

그냥 그 친구의 마음씨와 삶의 모습이 멋지고 여러 힘겨운 과정을 잘 헤쳐나온 모습이 훌륭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 
지금 또 앞으로 그의 삶에 평안이 깃들기를기도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2017/12/06

1.
인간이 다른개체와 다른 것은 사회를 이루어 살아간다는것이다. 지구환경속에 사는것은 다른 생명체와 다르지 않다.
문제는 어떤 사회속에 살아가냐는 것이다. 인류가 그동안 합의해온 인간의 가치있는 모습은 자유(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실현)와 우애(다른 인간을 해치지 않고 돕는것)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회적인간의 속성상 인간의 가치실현은 개체의 의지보다 어떤 성격의 사회인가에의해 훨씬 크게 영향받는다. 
지금의 자본주의생산양식은 인류가 합의해온 가치보다 얼마나 인간이 교환가치생성에 기여하는가(얼마나 돈을 많이 버는가)로 인간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회이다. 인간은 자유와 우애를 삶의 목표로 사는것을 포기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평가에 적응하며 살고있다. 그래야 그나마 죽지않고 짓밟히지 않고 살 수있다고 생각하고있다.

 

2.

이전에는 이 사회의 대세생각(에리히 프롬의 표현으로는 사회적 성격)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가까운 주변사람들이 그럴때는 화가났다. 그래서 대화는 단절되기 일쑤였고 사람들은 나를 '미친놈'취급을 했다. 서로가 '이상한'사람 이 되는사람은 그 뒤로 안만났다. 그러다보니 얼마없던 인간관계도 다 없어졌다. 솔직히 편했다. 그냥 조그마한 업장에서 직업으로 사람만나고 가끔씩 활동공간에서 훌륭한 활동가들만 만나면되었다.
그런데 요즘은 그 생각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렇게 생각할수밖에없는 상황이 이해가 된다.

 

3.
지금사회의 심리적문제는 자본주의의 사회적성격에 기반하여 나타난다.
거칠게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을것이다. 
자본주의적 성격에 적응하는 정도와 경제적지위만 따져본다
1-1) 자본주의적 성격으로 타고난사람.
1-2) 자본주의적 성격에 그런데로 적응하는 사람
1-3) 자본주의적 성격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
2-1) 경쟁에서 이겨 잘먹고 잘사는 사람
2-2) 그럭저럭 버티는 사람
2-3) 낙오한 사람

1)의 세부류와 2)의 세부류를 조합해본다
1-1/2-1) 자본주의적 성격으로 타고나서 경쟁에서이겨 잘먹고 잘사는사람
1-1/2-2) 자본주의적성격으로 타고나서 그럭저럭 버티는 사람
1-1/2-3) 자본주의적성격으로 타고나서 낙오한 사람
1-2/2-1) 자본주의적 성격에 그런데로 적응하며 경쟁에서 이겨 잘먹고 잘사는 사람
1-2/2-2) 자본주의적 성격에 그런데로 적응하며 그럭저럭 버티는 사람
1-2/2-3) 자본주의적 성격에 그런데로 적응하며 낙오한 사람
1-3/2-1) 자본주의적 성격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하며 경쟁에서이겨 잘먹고 잘사는 사람
1-3/2-2) 자본주의적 성격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하며 그럭저럭 버티는 사람
1-3/2-3) 자본주의적 성격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하며 낙오한 사람

 

4. 
현대심리학의 주류인 인지(행동)심리이론은 심리적 문제는 인간이 자본주의적성격에 적응하지 못해서 발생한다고 판단한다. 해법은 인지(행동)치료과정을 통해 자본주의적성격으로 바꾸어나가는 것이다. 참고할 가치가 없다.
최근 각광받는 인간중심심리이론은 내면에 자기평가를위한 바탕을 만드는것을 해결법으로 제시한다. 상담방법(진정성,수용,공감)에는 공감가는 부분이 있지만 사회적문제에대해서는 답이 없다.

고전속에서 찾아보면
논어(공자)에 나오는 수기이안인은 상당히 조화로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을 수련(학습과 사회적실천)해서 그 바탕으로 다른사람을 평안케한다는 것이다. 자유(자아실현)와 우애(연대)를 단계적이지만 함께 추구한다. 하지만 자신을 수련할수 없는 조건의 사람은 시도조차 불가능한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

예수는 자신을 이웃을 위해 바치는것이 자유다 라고 말한다. 훌륭하고 그렇게 하고싶다. 하지만 내주변에 이렇게 사는 사람은 대부분 일찍 죽었다.

맑스는 '자본' 에서 상품의 물신숭배를 말한다. 이는 프롬의 사회적성격론의 기반이다. 물신숭배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품은 쓰임새보다 가격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지금은 인간이 상품화되는 사회이다. 인간이 상품인 이상 인간의 가치는 자아,꿈,활동,인간관계가 아니라 얼마나 돈을 버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인간은 그 속에서 인간성을 상실하고 자본에 종속되어 버린다. 이를 해결하기위한 맑스의 해결책은 명쾌하다.자본주의 사회를 다른 사회로 바꾸는 것이다. 하지만 그 과정중에 인간성상실로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답은 보이지 않는다.

 

5. 
심리문제는 자아와 사회간 관계에서 비롯한다. 
이는 셋으로 나누어볼수있다. 
1) 자아의 문제
2) 사회의 문제
3) 자아와 사회의 갈등
자본주의사회에서는 2)번 사회문제가 가장 크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