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참정연 “전여옥, DJ 건강 염려되면 도청 반성문부터 쓰라”

젖녀앜... 앜어의 눈물

 

참정연 “전여옥, DJ 건강 염려되면 도청 반성문부터 쓰라”
참정연,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불법 도청 가장 큰 피해자라며
입력 :2005-08-11 16:07   신아령 (ararshin@dailyseop.com)기자
참여정치실천연대가 불법도청의 가장 큰 피해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며 입원 중인 김 전 대통령의 쾌유를 기원했다.

참정연은 전여옥 한나라당 대변인을 향해 김 전 대통령의 건강이 진정 염려된다면 과거 DJ에게 향해졌던 도청과 불법행위에 대한 반성문부터 쓰라고 말했다.

김희숙 참정연 대변인은 11일 논평을 통해 “한나라당은 김 전 대통령의 입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면 안된다”며 “그의 입원이 마치 정부의 국정원 불법도청 처리문제를 반대하는 사건인 양 해석되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전여옥 대변인을 비롯한 (한나라당) 여러분들이 그토록 김 전 대통령의 건강이 염려된다면 과거 그에게 행했던 도청과 불법행위에 대한 반성문부터 쓰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에 화살을 돌려 “불법도청 근절 노력을 ‘국민의 정부 공격’으로 돌려선 안될 것”이라며 “국민의 정부는 참여정부의 밑거름이다. 이번 사건은 지난 정부에 이어 민주주의를 확대하려는 노력으로 터져 나온 진실”이라고 강조했다.

1997년 이후 국정원의 불법도청과 관련, 김 전 대통령이 이를 지시했거나 정치적으로 이용한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책임이 지워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김 대변인은 “특별법 제정으로 국민의 ‘숨길 권리’ ‘알 권리’를 신장시키려는 노무현 대통령의 의지를 믿는다”고 말했다.

다음은 참여정치실천연대 논평 전문

김대중 전 대통령의 쾌유를 빕니다. <불법도청>과 <불법거래>는 함께 끊어야 할 고리

“중요한 이야기를 할 때는 집에서도 아내와 쪽지로 주고받았습니다.”

우리는 1997년 김대중 전 대통령 당선자께서 자신의 지난 생애를 반추하며 들려주었던 이야기를 기억합니다. 군사정권에 맞서던 시절부터 대통령 당선이 될 때까지, 권력기관의 불법도청은 한 민주인사의 일상이었습니다.

현재 드러난 도청내용으로도 알 수 있듯이, 1997년 대선을 앞두고 국가권력, 경제권력, 언론권력들의 유착과 거래는 김대중이라는 사람의 대통령 당선을 막고자 전 방위적으로 진행되었던 사건입니다.

그런데 지금, 그랬던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병으로 쓰러지셔야 했던 상황에 대해, 참여정치실천연대는 깊은 슬픔과 안타까움을 느끼며 완쾌를 비는 마음입니다.

한나라당은 김대중 대통령의 입원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됩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입원이 마치 참여정부의 국정원 불법도청 처리문제를 반대하는 사건인 양 해석되어서는 곤란합니다. 전여옥 대변인을 비롯한 여러분들이 그토록 김대중 전 대통령의 건강이 염려되신다면, 과거 그 분께 행했던 도청과 불법행위에 대한 반성문부터 쓰십시오.

민주당은 불법도청을 근절하고 나아가 정경유착의 불법행위를 근절하려는 참여정부의 노력을 자꾸 “국민의 정부에 대한 공격”으로 돌려서 올바른 해결을 더디게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국민의 정부 5년은 참여정부의 밑거름이었습니다. 이번 사건은 국민의 정부를 이어서 민주주의를 확대하려는 참여정부의 노력 속에 <터져 나온 진실>입니다. 이 <진실>을 우리는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는 겸허한 마음으로 직면해야할 것입니다.

국가기관의 <불법도청>이 근절되어야하는 것처럼, 도청내용으로 남아있는 <불법행위들>도 근절되어야 합니다. 국민주권을 침해했던 국가권력, 경제권력, 언론권력들의 유착과 거래 내용은 낱낱이 밝혀져야 합니다. <국민의 숨길 권리>를 침해한 것이 죄인 것처럼,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도 죄입니다.

참여정치실천연대는 특검만을 활용한 책임자 추궁 속에서, 불법도청을 직접 지시하지도 않았고 도청내용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직접 관여했는지도 확실하지 않은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만 97년 이후 국정원 도청 책임이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이 문제는 특정 대통령, 특정 기간, 특정 정부의 고의적인 잘못으로 저질러진 일이 아니라, 군사정부시절부터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온 과거 정치문화의 뿌리 깊은 고질병입니다. 우리 정치를 새롭게 만들어야한다는 각오로 각자의 희생을 각오하면서 이 산을 넘지 못한다면, 이런 일들은 언제라도 다시 반복되고 말 것입니다.

참여정치실천연대는 특별법 제정을 통하여 국민의 <숨길 권리>와 함께 <알 권리>를 제대로 보호하고 신장시키려는 노무현 대통령의 의지를 믿습니다.

그리고, 불법도청의 근절과 정경유착의 근절을 누구보다 바라는 사람은 누구보다도 큰 피해자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고 믿습니다.

진심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쾌유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2005년 8월 11일
참여정치실천연대 대변인 김희숙


ⓒ 데일리서프라이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