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긴급입수] '경제원론 중간고사' 모법답안

내도 옛날에 문제 많이 풀었다. '주성영씨"氏의 소득수준과는 무관하게 기생충 수요량은 변동하지 않음' 압권

 

[긴급입수] '경제원론 중간고사' 모법답안

20058.11 (목)
딴지 경제부

 

마감 직전, 심상치 않은 내용이 담긴 A4지 한 장 분량의 문서가 긴급 입수되었다.

인터넷에서 수많은 이들의 괄약근을 이완시켰다고 알려진 이 문서의 정체는 다름아닌, 서울 모대학 경제학 원론 과목의 실제 중간고사 문제지였다.

이 문제의 문제지를 입수한 본지 기자단은, 멀쩡한 시험문제 속에 날카로운 통찰과 은유를 똥꼬 깁쑤키 엄폐시켜 놓은 출제자의 운치에 일제히 괄약근을 조아렸다. 이는 본지의 창간 이념인 B급 영화 수준을 지향하는 황색 사이비 저널리즘에 대한 존경과 동참의 념이 빚어낸 결과라 사료되는 바, 본지 기자단은 이에 대한 응분의 조치를 취할 것을 만후장일치로 결의하였다.

이에 본지는 모범답안으로 화답에 갈음한다.

자, 간다.

<이라크>에는 없고 <아메리카합중국>에 있는 재화가 거래되는 가상의 시장은 외부성이 없는 완전경쟁시장, 즉 이상적인 시장이라고 한다. 효율성 측면에서 시장의 균형에 대하여 논하시오.(30점)

모범답안

 전제요건

대량살상무기는 인도주의, 평화주의에 반하는 재화이나, 단순히 시장균형 원리를 전개한다는 차원에서 정상재로 간주하고, 외부성이 없는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였으므로

(1) 시장에는 무수히 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고,

(2) 그 시장에 참여하는 수요자와 공급자는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며,

(3) 를 생산하는 기업은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하고,

(4) 시장으로의 자유로은 진입과 퇴거가 보장되며,

(5) 모든 경제주체들은 완전한 정보를 공유한다.

풀이

(1) 균형의 달성

시장이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점에서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가진다.

 

① 균형가격 PO에서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므로 균형수급량은 QO가 된다.

② P1에서는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므로 초과수요가 존재하여 가격이 상승하여 균형가격 PO로 도달한다.

③  P2에서는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므로 초과공급이 존재하여 갸격이 하락하여 균형가격 PO로 도달한다.


(2) 균형가격. 균형수급량의 변화

①  에 대한 수요가 증가시 균형가격과 균형수급량은 증가한다.

 

②  에 대한 공급 증가시 균형가격은 하락하지만 균형수급량은 증가한다.

 

③  에 대한 수요공급 곡선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는, 균형수급량이 증가하지만 가격의 변화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폭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가상의 국가 <조선찌라시> 에서는 열등재인 <빨간색깔> 이라는 재화가 거래되고 있다.

<조선찌라시>의 국책연구소인 <월간조선찌라시뺑끼칠>에서는 동일한 양의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빨간색깔>생산기술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진보된 생산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빨간색깔>의 균형가격과 거래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

대체효과 : 실질소득이 불변인 상태에서 두 재품간의 상대가격비율에 변화가 생김으로써 발생하는 효과

소득효과 : 상대가격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실질소득의 변화만으로 생기는 효과

풀이

열등재인 <빨간색깔>의 생산기술이 진보되었으므로 시장공급공선이 살짝쿵 우측으로 이동한다.

<빨간색깔>은 열등재이므로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크기에 따라 수요곡선의 형태가 달라진다.

(1)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큰  경우

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형태이고 공급곡선은 생산기술진보로 인해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시장균형가격은 하락하고 시장거래량은 증가한다.

(2)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큰 경우

수요곡선은 아래와 같이 우상향하는 형태이고 공급곡선은 생산기술진보로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결과 시장균형가격은 하락하고 시장거래량은 감소한다.

 


가상의 국가 <맹바기나라>에서는 <서울봉헌>이라는 재화가 거래되고 있다. <서울봉헌>이 거래되는 시장은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항상 일정하다고 한다. <서울봉헌>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모범답안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라 함은, '가격'이라는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해 '공급'이라는 종속변수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느냐의 문제다. 즉 '가격의 변화율에 대해 공급량의 변화율'을 의미한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일정하다는 것은 공급곡선이 원점을 통과할 때 공급곡선상 모든 점에서 가격탄력성은 1로서 일정하다는 의미이다.

만약 공급곡선이 가격축을 통과한다면 공급량이 증가할수록 공급 가격탄력성은 작아지고, 공급곡선이 수량측을 통과한다면 공급량이 증가할수록 공급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따라서, 가상의 국가 <맹바기나라>에서 거래되는 <서울봉헌>의 공급량 100단위에서 가격이 10% 상승하면 공급량은 10단위(10%) 증가하고, <서울봉헌>의 공급량 1000단위에서 가격이 10% 상승하면 공급량은 100단위(10%) 증가하게 된다.

(지난번 답안의 오류를 지적해주신 뭐시기님을 비롯한 몇몇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가상의 국가 <딴나라>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 <창(昌)>이라는 재화의 시장수요함수와 시장공급함수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딴나라>의 화폐단위는 '친미'이고,<창>의 수량단위는 '삼수'이다.

QD = -2P +1,600

QS = 4P - 800

a. <창> 시장의 균형에서 가격과 거래량, 총잉여를 구하시오.(10점)

b. <창> 시장의 균형에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구하시오.(10점)

c. <창>시장의 균형가격이 너무 높다고 여긴『딴나라』의 “발끈해 공주”께서 상한가격을 300친미로 설정하여 가격규제를 한다면, <창> 시장에 대한 규제의 사회적 비용( 규제로 인한 총잉여의 감소분)을 구하시오.

모범답안

a.

-2P +1,600 = 4P - 800
    P = 400, Q = 800

소비자 잉여  (800-400) * 800 * 1/2 = 160,000
생산자 잉여 (400-200) * 800 * 1/2 = 80,000

b.

수요의 가격탄력성 : 2 * (400/800) = 1
공급의 가격탄력성 : 4 * (400/800) = 2 

c.

가격규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
(600-300) * (800-400) * 1/2 = 60,000


Bonus 문제.

國害擬員인지 寄生層인지 정체가 불분명한 "주성영씨"는 매달 10만원을 <寄生蟲> 구입에 지출한다. <寄生蟲>수요에 대한 "주성영씨"의 소득탄력성을 구하시오.

모범답안

수요의 소득 탄력성(income elasticity of demand)이라 함은, 소득수준이 변화에 대해 수요가 어느 정도 민감하게 반응하는가이다.

즉, 수요의 소득 탄력성은 수요량의 변화율/소득의 변화율로 나타낸다.

"주성영씨"氏는 매달 10만원어치의 기생충을 구입하는 일관성을 보인다. 다시 말해 이는, "주성영씨"氏의 소득수준과는 무관하게 기생충 수요량은 변동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결국 이것은, <寄生蟲> 수요에 대한 "주성영씨"의 소득탄력성은 0임을 의미한다.

 

 

문제 풀이에 도움을 주신 정재욱(marsjeong@hanmail.net)님에게 감사드립니다.

 

  - 딴지경제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