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민노총-경총 '양극화 해법' 시각차 커

 

 

 

민노총-경총 '양극화 해법' 시각차 커
민주노총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실현"...경총 "대기업 노동자 임금 동결"
텍스트만보기   김문창(moonlh) 기자   
양극화 해소의 해법을 놓고 노동계와 경총이 커다란 차이를 보여 올 임금인상 투쟁을 놓고 노사간에 격돌이 예상된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05년 말 가구주소득이 222만3천 원으로 가계지출 254만3천 원보다 낮아, 가구주소득격차가 2004년 -26만4천 원에서 2005년 -31만9천 원으로 그 차이가 더욱 커졌다. 근로소득 증가율과 가구소득 증가율에 견주어 가계지출 증가율과 소비지출 증가율이 웃돌고 있어 노동자들의 생활이 불안정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데 ▲정규직은 04년 8월 말 211만 원에서 05년 같은 시기 220만 원으로 9만원(4.2%) 인상 ▲ 비정규직은 110만 원에서 112만 원(2.3%)으로 인상됐다. 그 결과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월평균임금총액은 2000년 53.7%, 01년 52.6%, 02년 52.7%, 03년 51.0%, 04년 51.9%, 05년 50.9%로 격차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고용형태별로 사회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가입률은 정규직이 82~98% 가입되어 있는 반면, 비정규직은 31~33% 가입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 퇴직금, 상여금, 시간외수당, 유급휴가는 정규직이 81-98% 수준에서 적용받고 있지만, 비정규직은 15~20% 수준에서 적용받고 있다.

또한 영세 기업과 대기업 노동자 간의 임금격차도 해마다 늘고 있는데 노동부 매월 통계조사(05년 1~10월)에서 500인 이상 업체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을 100으로 할 때 규모별 임금격차 추이는 05년 ▲300~499인은 2000년 89.9%-05년 80.9% ▲100~299인은 2000년78%-05년 72.7% ▲30~99인은 2000년 71.4%-05년 65.2% ▲10~29인 2000년 68.2%-05년 60.1% ▲5~9인은 2000년 58%-05년 51.9% 등으로 하락했다.

민주노총은 올 임금격차해소와 연대임금 쟁취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먼저 ▲임금격차해소와 생활임금 쟁취를 위해 전체노동자 임금의 1/2 수준으로 '법정최저임금 현실화', '산별 최저임금협약의 체결', '지자체 조례제정을 통한 지역 내 저임금해소', '원·하청 공동투쟁을 통한 임금격차 축소' 등을 제기했다.

따라서 민주노총은 연대임금으로 ▲정규직은 표준생계비 확보를 위해 올해 경제성장율 5%에 물가상승율 3%를 더해 실질임금유지선 8%와, 노동소득 분배율 최고 분배율이었던 63.4%(96년)를 회복할 경우 4.6%를 더해 최고 12.6%의 평균인 9.1%(8~12.6%) 인상안을 제시했으며 ▲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동일가치 동일임금 원칙을 적용해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의 80% 수준까지 끌어올리려면 단계적으로 올해는 정규직의 56% 수준까지, 비정규직 임금을 17.4%를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노동사회연구원은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7개년 계획으로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비율) 06년 56%(인상률 17.4%), 07년 61%(16.3%), 08년 65.9%(15.3%), 09년 70.4%(14%), 10년 74.9%(13.6%), 11년 78.1%(11.8%), 12년 80%(9.3%)를 제시했다.

한국경제인총연합은 06년도 임금조정 기본방향에서 임금조정의 기본원칙으로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한 임금조정 ▲경제양극화해소를 위한 임금조정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 도모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적합한 인적자원 관리체계의 확립 ▲직무급과 연봉제 확산으로 임금 유연성 제고 등을 제기했다.

경총은 이러한 근거로 ▲원자재가격 인상과 환율 등 대외경제여건 악화 ▲기업규모에 따른 수익성 임금소득의 양극화 등 경제적 양극화 심화 ▲일자리 창출 역량의 저하 ▲고령화와 인건비 부담증가 등을 들고 있다.

따라서 경총은 경제양극화의 해소방안으로 기업규모에 따른 수익성, 재무구조 격차심화, 수출과 내수 및 임금 소득의 양극화를 제기하고 그 해법으로 ▲대기업 노동자들의 임금동결과 ▲중소기업의 정기 승급분을 제외한 임금총액 2.6% 인상안을 제시했다.

이에 민주노총은 "중소기업 저임금은 그대로 둔 채 대기업임금만을 동결하겠다는 것으로 책임 떠넘기기 억지 논리"라고 반박했다. 또한 "중소기업 임금 2.6%는 실질임금 유지선인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치 8%에도 못 미치고, 05년 상반기 매출액 영업이익률 7.7%, 매출액 경상이익률 8.8%에 이르는 등 40년간 기업경영상태가 가장 양호한 상태를 무시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그리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도도 없는 등 이러한 논리는 임금격차를 축소는커녕 오히려 임금격차를 확대만 야기시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처럼 민주노총과 경총이 양극화 해소와 임금 인상을 놓고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올해 임금정책과 교섭에서 충돌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디아이디, 남녀고용평등 대통령상 수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