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638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01/28
    미디액트
    두더지-1
  2. 2010/01/15
    [시사IN] ‘대한 늬우스’를 6000원 내고 보라고?
    두더지-1
  3. 2010/01/01
    만두 과욕(7)
    두더지-1
  4. 2009/11/26
    [시사IN] 색 바랜 색깔론 피해자, 김제동·임헌영·마은혁(1)
    두더지-1
  5. 2009/11/07
    [시사IN] 대한민국 움츠리게 하는 공익광고
    두더지-1
  6. 2009/10/16
    [시사IN] KBS, 시사 프로그램의 무덤?
    두더지-1

미디액트

한국의 미디액트까지 미디어센터 사업에서 배제됐네요. 참, 세상이 어찌 가고 있는지... 아래는 관련 미디액트 성명서의 상황 설명 부분이고, 그 아래는 유명한 미디어운동가인 도로시 키드의 한국 미디액트에 대한 지원 메일입니다.  

+++++

 

==============================================

미디액트 스탭들은 영화진흥위윈회(위원장 조희문, 이하 영진위)의 영상미디어센터사업을 (사)한국독립영화협회로부터 위탁받아 지난 2002년부터 설립 운영해왔습니다. 그러나 2009년 말 재계약을 앞두고 영화진흥위원회가 미디어센터 사업의 운영 주체를 공모제를 통해 다시 선정함에 따라 지금까지 미디액트를 운영해온 현 운영진이 탈락하고, '(사)시민영상문화기구'(이사장 장원재)라는 단체가 새로운 운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선정 결과에 따라 지난 8년 동안 열정적으로 영상미디어센터를 운영해온 미디액트 스탭들은 2010년 1월 31일을 기점으로 모든 사업과 서비스를 중단하고 이 공간을 떠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이번 영진위의 어이없는 공모 심사 결과에 대해 미디액트 스탭 일동은 분노와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From: Dorothy Kidd [mailto:kiddd@usfca.edu]


Dear friends:

Lee Myung-bak's New Right government in S. Korea is taking disturbing steps to limit freedom of expression, shut down independent media, and defund media,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The latest blow is an attack on public media center MediAct, which has played a key part in the democratization of Korea's media system since the end of the dictatorship, trained thousands of people in media production, and developed many successful media policy proposals to open up Korea's mediascape to diverse voices.

Please take action now to express international support for MediAct.

More information below.

       MediAct in Korea has long played a vital role to support alternative and independent film and video production, a critical citizens’ media monitoring movement, and an independent, democratic trade union movement since the late 1980s wave of 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ey have also collaborated with many of us around the world.

   However, in the past two years, the mediascape and culture sector in South Korea has undergone some drastic changes under the Lee Myung-bak regime/New Right that has taken power as of 2008.

   Now MediAct is facing the crisis of a shut down with the massive and politically motivated budget cutting by Korean government. Thus, we need international voices to condemn the Korean government's attack against the independent media environment in Korea.


1) Sign http://www.gopetition.com/online/33662.html
Media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Save Mediact

2) For updates: Join ACT NOW to save MediAct & Independent Media in Korea! facebook page: http://www.facebook.com/home.php?#/group.php?gid=273091817582&ref=nf

3) Call KOFIC's Chairman Cho, Hee Moon  82-2-958-7521
or email: mentor21@kofic.or.kr
cc: snowmt@kofic.or.kr

More info:

Mediact website: http://www.mediact.org

English Intro:
http://tinyurl.com/ygtsoq5

Related Interviews:
http://tinyurl.com/yk36jrl



--
Dorothy Kid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a Studies
University of San Francisco
2130 Fulton St.
San Francisco
94117-1080
415-422-5061
kiddd@usfca.edu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사IN] ‘대한 늬우스’를 6000원 내고 보라고?

‘대한 늬우스’를 6000원 내고 보라고?

 

 

[122호] 2010년 01월 13일 (수) 17:49:32      이광석

 

 

600억원이 넘는 세전이익의 흑자를 내는 KBS에, ‘대한 늬우스’ 수준으로 전락한 KBS에, 전 세계에 유례가 없는 ‘상업적 국영방송’의 길을 걷는 KBS에 별다른 이유도 없이 수신료를 더 내라고?

 

 

 

새해 벽두부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현재 2500원 하는 KBS 수신료를 6000원 수준으로 인상하자는 말을 꺼냈다. 그는 현 수준보다 두 배 이상이 넘는 수신료 인상액을 제시하면서 “상식선상에서” 수신료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상식선상에서’ 이렇게 인상하게 되면 “7000억~8000억원 규모의 광고가 민간시장으로 이전되는 효과”가 있으리라 장담한다. 그 어느 누가 봐도 비상식선상에서 나오는 막말이다. 정부가 시민의 주머니 털어서 KBS 광고 수입 없앤 비용을 조달받고, 그 돈으로 조·중·동 종합편성 채널 진출에 나눠주면서 레드카펫 깔아주려 한다는 말이 이제 기정사실화됐다.

KBS 김인규 사장 또한 신년사에서 수신료 인상을 올해 KBS의 ‘숙원 사업’으로 내세웠다. 우리의 수신료는 영국·독일·일본의 공영방송사에 비해 수십 년간 정체 상태다. KBS의 수신료 의존율은 40% 미만에 불과하다. 이제 외국처럼 수신료를 정상화해 서비스를 개선하자고 한다. 일견 수치상으로 보면 최 위원장이나 김인규 사장의 말이 명분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이와 달리 KBS 현실을 보라. 600억원이 넘는 세전이익의 흑자를 매년 경신하면서 승승장구한다. 그에 발맞춰 KBS 방송은 최근 몇 년간 ‘대한 늬우스’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다. 전 세계 유례없는, 명실 공히 공영도 상업 방송도 아닌 ‘상업적 국영방송’의 큰길을 걷고 있다. 그런데도 이처럼 요상한 정체성을 지닌 KBS에 별 큰 이유 없이 수신료를 더 내란다. 가뜩이나 생활고와 만성 실업에 치여 우리네 삶이 울상인데, 마치 명분 없는 ‘인두세’처럼 정부가 또 한번 서민을 갈취할 태세다.

   
수신료 인상은 김인규 KBS 사장(위)의 숙원 사업이다.
조직의 독립성·자율성부터 확보하라

방송법 제64조에 명시한 바에 따르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소지한 자는 대통령령에 따라 수상기 등록과 수신료 납부 의무가 있다. 안다. 또한 법적으로 수신료의 결정 또한 KBS 이사회의 심의·의결 후 방송통신위원회를 거쳐 국회의 승인을 얻어 확정된다. 다 좋다. 그래서 이제껏 우리나라 시청자는 전기세에 통합고지되어 나오는 수신료를 군소리 없이 꼬박꼬박 내왔다. 물론 시민이 크게 한 번 수신료 징수에 분노해 이를 뒤집은 적이 있다. KBS가 1986년 군부독재의 ‘나팔수’를 자처하면서 정신 못 차리던 시절이었다. 그때 시민의 분노를 지금도 파악 못하면 비슷한 일이 또 찾아올 수 있다. 

우리나라의 수신료 징수는 일본의 NHK와 비슷하게, 공공복지 서비스를 위해 시청자가 일종의 부담금을 내야 한다는 관점에 기초해 있다. 즉 수신료를 준조세적 성격의 공적부담금으로 본다. 예서 우리는 ‘공공복지 서비스’라는 단서 조항을 주목해봐야 한다. 방송법에 규정된 시청자의 수신료 납부 의무란, 먼저 전파를 사용하는 주체의 서비스 의무 이행이 적절히 이뤄질 때 계약 조건이 성립한다는 얘기다.

KBS가 공영방송이라면 그 격에 맞춰 상업주의나 청와대 등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독립된 운영과 편성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도 없이 수신료만 챙기면 대국민 갈취요 사기다. 게다가 시청자의 주머니를 털어 수신료까지 올려 그 자금으로 또 다른 궁리를 한다면 이는 도둑 심보보다 더 나쁘다.

KBS가 지금의 ‘상업적 국영방송’ 비슷한 외양을 정리하려면, 수신료 인상 문제 등으로 새해부터 국민의 심사를 어지럽게 해선 곤란하다. 당장 내부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 얼마나 산적해 있는가. 진정 KBS가 ‘공영방송’의 이름값을 하려면 외압으로부터 조직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시사보도 프로그램 등에서 탐사 저널리즘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교양·오락 프로그램의 다양성 확보와 질적 향상 등에 힘써야 한다. 이와 같은 노력 없이 일방적으로 수신료 인상을 제안하다가는 외려 시청자의 ‘수신료 거부운동’이라는 전 국민의 저항을 부르기 십상이다. “상식선상에서” 암만 봐도, 수신료 인상은 때가 아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만두 과욕

하루종일

만두를 빚고

먹고

또 먹었다.

 

저녁에

탈이 나

화장실을 두 번

찾은 후

고통이

잦아들었다.

 

만두 과욕이

새해

작은 가르침을

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사IN] 색 바랜 색깔론 피해자, 김제동·임헌영·마은혁

[시사IN 115호] 2009년 11월 26일 (목) 09:28:22 

 

 

색 바랜 색깔론 피해자, 김제동·임헌영·마은혁

 

 이광석

 

일부 보수 언론은 ‘부끄러운 친일’을 사죄하기는커녕 <친일인명사전>을 ‘좌파사관의 친일사전’으로 몰고, 언론 관련법 처리에 반대하며 농성한 민노당 당직자에게 공소기각 판결을 한 판사를 ‘좌편향’이라고 공격한다.

 

 

풍경 하나. 방송인 김제동은 얼마 전 한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세상의 어떤 일이든 97%는 내부에 있고 사실 3% 정도는 외부 요인을 가지고 있다”라는 말을 했다. 그의 말은 프로그램 하차의 외압 논란을 일거에 허물어뜨리는 힘을 가졌다. 그랬다, 역시 그릇이 달랐다. 그는 스스로의 모자람을 지적했다. 그래도 난 1%도 아니고 3%라는 그의 숫자에 영 마음이 쓰였다.

지난해 가을부터 KBS에서 보도탐사 프로그램이 갑자기 폐지되고 사회를 보던 가수나 앵커가 하차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이 상황에서는 누구나 KBS <스타 골든벨> 마지막 방송에서 흘린 그의 눈물과 이내 그가 겸손하게 숫자화한 3%에 씁쓸함을 갖게 된다. “웃음에 좌우도 없다”라는 그의 말에서 아이러니하게 우리 모두는 그에게 닥친 정반대의 쓴 현실을 봤다.

풍경 둘. 지난 11월8일 민족문제연구소는 일본에 ‘충성혈서’를 썼던 박정희 전 대통령, 동아일보 창업주와 조선일보 사장의 친일 행적 등 일제강점기 시절 4389명의 친일 행적을 담은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했다. 2001년 12월부터 시작해 8년 만에 이룬 쾌거다. 광복 이후 일제에 적극 공모했던 이들에 대한 역사적 심판이 부재했던 우리가, 이제라도 친일 행적에 대한 기록을 남겨 역사의 반면교사로 삼는다는 점에서 뜻깊은 일임에 분명하다.

유신 시절로 돌아간 듯한 보수 언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친일인명사전>(위)을 ‘좌파의 사전’으로 깎아내렸다.

한나라당의 친박계 한선교 의원이 한 라디오 방송에 출현해 박 전 대통령의 친일 논란을 일축하며 민족문제연구소를 ‘좌파연구소’라고 맹비난했다. 연구소 설립의 기원이 됐고, 지금은 작고하신 친일연구가 임종국 선생이 들으셨다면 기가 찰 소리다. 생전에 효창동 백범 김구 기념관에서 연설하던 모습이 아직도 내겐 또렷하다. 그는 영락없는 민족주의자였다. 대체로 그의 청중은 나이 지긋한 독립운동가 집안의 후손쯤 되는 그런 분들이었다. 그런 그의 평생 유지를 받들어 어렵게 이룬 연구소와 사전 제작을 싸잡아 ‘좌파’라 하니, 이에 무슨 대꾸를 하겠는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스스로의 ‘부끄러운 친일’에 사죄라도 하는 것이 기본이거늘, 오히려 “대한민국 정통성 훼손을 노린 좌파사관(의) 친일사전”(동아일보 11월9일자)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써댔다. 게다가 임헌영 연구소 소장의 과거 ‘남민전 사건’ 투옥 전력을 ‘좌빨’로 몰아가기까지 했다. 유신시대에 조작된 공안사건으로 이미 판결된 내용을, 이들은 마치 유신 시절로 돌아간 것처럼 똑같이 읊조린다.

풍경 셋. 서울남부지방법원의 마은혁 판사가 요새 곤혹스럽다. 언론 관련법 처리에 반대하며 국회에서 점거농성을 한 혐의로 약식기소된 민주노동당 당직자들에 대한 정식재판에서 모두 공소기각 판결을 한 것이 문제가 됐다. 당시 농성 중이던 민주당 쪽은 입건조차 않고 민노당 쪽만 약식기소한 것은 “검사의 공소권 남용에다, 형사소송법 위반”이라며 기각했다. 누가 들어도 타당하다. 그러나 조·중·동은 “편향적인 돌출 판결”이자 “판사의 이념이 개입”됐다고 난리다.

 조·중·동은 마 판사가 ‘우리법 연구회’ 소속에다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에게 후원금 10만원을 낸 것을 “좌파 편향 판사의 좌파 정치인 후원회 참석”이라며 ‘시뻘건’ 이념 딱지를 붙인다. 끝내 동아일보는 마 판사가 “사회주의 혁명조직 핵심 멤버”(동아일보 11월12일자)였다고 주장한다.

누구를 만나고 누구와 친하게 지내고 어디 선언에 어떻게 연명을 하고 무슨 글을 썼고 언제 무엇을 했고 어떤 자리에 참석했는지, 이 모든 것이 정치 이념으로 재단되는 사회가 또다시 반복된다. 이념의 굴레에 갇힌 이들은, 세 가지 풍경 속 주인공 각각에서 보이는 소박한 웃음·정의·형평이란 희망의 메시지를 읽으려는 시늉조차 없다. 색 바랜 ‘이념’으로 단죄하는 이들의 목소리만 드높다. 세상이 정말 거꾸로 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사IN] 대한민국 움츠리게 하는 공익광고

[시사IN 112호] 2009년 11월 05일 (목) 13:38:27

 

대한민국 움츠리게 하는 공익광고


‘삼진아웃제’로 누리꾼을 윽박지르고 패킷 감청으로 모든 것을 뒤지면서 누리꾼의 안티 행위와 댓글 쓰기를 나라 망가뜨리는 테러 행위로 몰고 가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이광석

 

요새 라디오를 틀면 귀에 거슬리는 공익광고를 종일 듣는다. “악성 댓글, 당신의 영혼과 대한민국을 갉아먹는 흉기입니다.” “악성 댓글은 영혼까지 파괴하는 범죄입니다.” 공익광고 듣는 일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무슨 댓글 문화에 이리도 험하고 요란스럽게 낙인을 찍는지 그저 듣기에 소름이 돋는다.
 
지난 4월 미네르바가 무혐의로 나온 후에도, 여기저기 사찰과 감청의 부활로 대한민국이 정신없이 어지럽다. 국정감사 현장에서 속속 드러나는 정보기관들의 ‘패킷 감청’은 말할 것도 없고, 군사정권 시절에나 봄직한 기무사의 민간인 사찰까지 등장했다. 일선 경찰에서는 인터넷 사이트의 댓글과 첨부 파일을 감시하는 ‘보안 사이버 검색·수집 시스템’까지 가동한다고 한다. 

패킷 감청이란 쉽게 말하면 인터넷 회선을 오가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간에서 탈취해 들여다보는 방식이다. 패킷 감청 앞에서는, 최근 유행처럼 불었던 ‘사이버 망명’이 사실상 유명무실하다. 이용자의 메일 서버가 해외에 있더라도 누군가 가는 길목에 진을 치고 속속 열람하는 꼴이다.

   
댓글 문화를 흉기·범죄로 낙인 찍은 공익 광고.

법적으로도 전기통신사업법 54조의 통신자료 의무제출 규정으로 말미암아 검찰이 누리꾼의 정보를 국내 포털이나 통신 회사에 요구하면 의당 공개하는 것이 관행이다. 한때 9·11 테러 국면에서 미국 정보기관들이 통신기업에 ‘카니보어’라는 패킷 감청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개인 이용자의 정보 열람을 요청하곤 했다. 그런데 버라이즌 같은 초대형 통신 기업은 여러 차례 정보기관의 정보 요청을 거부했다. 이유인즉슨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가 우선이었다. 시민의 인권을 지킨다는 명목도 아니요, 그저 버라이즌에게는 소비자를 위한 기업 서비스 원칙이 더 중요했던 셈이다. 역시나 소비대국의 프로 기업다운 처신이다. 우리네 통신기업과 포털은 어떠한가. 원하면 재깍이다.



이른바 ‘삼진아웃제’라는 것도 저작권법을  이용해 누리꾼의 표현에 재갈을 물리는 방식 중 하나가 됐다. 지난해 아프리카TV 대표가 저작권 위반 방조죄로 구속됐다. 당시 촛불 시위를 24시간 방송한 데 대한 정치적 괘씸죄였다는 판단이 중론이었다. 이는 저작권 위반 혐의로 내린 경고 세 번으로 충분히 게시판을 폐쇄하고 아웃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인권 독소조항이라 볼 수 있다.



그러고 보니 누리꾼의 말길을 막아서서 윽박지르고 그나마 간신히 소통하는 내용조차 감청과 사찰로 속곳 하나하나 다 뒤지는 형국이다. 이도 부족해 방송에서는 댓글을 사회에 대한 테러로 치환한다. 안티 혹은 댓글의 역기능이 극히 일부임을 부정하고, 그것이 지닌 사회 내 권력 감시의 긍정적 파워를 부정하려 든다.



누리꾼 스스로 정화하도록 하라


생각해보라. 일부 기업가·공직자·정치인 등 권력자들의 파렴치하고 부도덕한 행위를 폭로하는 데 인터넷의 안티와 댓글보다 더 유효한 수단이 있는가. 내부 고발 행위를 보호해주기는커녕 이에 보복을 가하는 것이 우리 현실이라면 이는 더욱 유효하다. 또한 정당한 소비자 주권을 지키는 데 폭로와 안티의 효과는 이미 도처에서 입증된 바다.



명예 훼손, 사생활 침해와 의도된 비방 등 악플과 안티의 부작용을 모르는 바 아니다. 그렇지만 누리꾼의 안티 행위를 악플로 몰고 ‘대한민국을 갉아먹는’ 테러분자로 모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다. 더군다나 그런 식의 공익광고는 가뜩이나 바짝 움츠러든 누리꾼의 ‘표현의 자유’를 더욱 얼어붙게 만드는 협박성 멘트로 다가올 수 있다. 지금처럼 댓글 문화를 상징 권력의 살벌한 광고 카피로 겁주기보다는 누리꾼들 스스로의 규칙 안에서 정화되도록 그냥 놔두는 편이 현명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사IN] KBS, 시사 프로그램의 무덤?

KBS, 시사 프로그램의 무덤?

 

이광석

[시사IN - 메스 미디어] [109호] 2009년 10월 12일 (월) 14:39:47

 

KBS가 지난해 가을 개편에서 그 수많은 시사 보도 프로그램을 잘라내는 것도 부족했던 듯싶다. 이병순 KBS 사장은 얼마 전 이사회에서 생방송 <시사360>까지 폐지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개편 때 <시사360>도 KBS 간판 시사 프로그램이던 <시사투나잇>을 잘라낸 뒤 만든 후속 편성이라 말이 많았다. 비판적 정론보다는 정치적 뉴스 사안을 연성화하려는 의도가 개입됐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제는 <시사360>조차 부담스러운 시점에 이르렀다.

취 임 후 지난해 가을 개편부터 이병순 사장이 보여줬던 프로그램 개편의 험한 칼춤을 맞아 쓰러진 시사보도 프로의 참상이 바로 어제일 같다. 그런데도 또 칼춤 시늉이다. KBS <시사투나잇>과 <미디어 포커스>가 그렇게 사라졌고, <시사기획 쌈> <추적 60분> 등은 뉴스 아이템 연성화와 사실 관계 왜곡 등으로 시청자들의 원성을 산 지 오래다. 이미 지난해 가을 개편으로 KBS 내부에서 “탐사보도팀 사실상 해체”라는 얘기가 돌았던 정황을 고려하면, 이번 <시사360> 폐지 수순이 그리 놀랄 만한 일도 아니라는 자조 섞인 말도 나올 법하다.

수신료 현실화 논의는 어불성설

 

문제는 KBS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국면에서, 그리고 각종 집회 현장에서 시민에게 취재조차 거부당하는 굴욕을 당하고도 공정성과 탐사보도로의 회복 의지와는 반대 길을 걷는 데 있다. 군부독재 시절에 KBS는 국영방송으로 태동했다. 저개발 독재국가가 방송 등 미디어를 국민 계몽과 정치 선전 도구로 순화하려던 무렵이었다. ‘한국방송공사’의 설립은 적어도 KBS 조직상 정치 입김을 최소화하고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과 방송 공영성을 세우려는 첫걸음은 됐다. 군부독재 시절에 정치적 부침과 위기가 있었으나, KBS는 ‘국민의 방송’이기에 이름값을 위해 공영방송의 요건을 착실히 쌓아갔다.

 

예컨대, 정연주 사장 임명과 함께 2003년부터 그가 해임당할 때까지 KBS의 영향력과 신뢰도는 줄곧 1위였다. 또한 MBC의 공영성 사수에도 KBS가 나름대로 든든한 맏형 노릇까지 했던 시절이 있었다. 적어도 지난해 이병순 사장 체제 전까지 KBS의 질적 성장과 약진은, 내부적으로 여러 잡음에도 불구하고 보도와 시사 부분에 힘쓰고 정부 감시 기능과 사회 약자 편에 선 방송에 힘입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KBS 신뢰도 추락을 이제 ‘수신료 현실화’라는 논쟁적 의제로 바꿀 때가 아니다.  지난 십수년간 KBS 수신 요금이 전혀 현실 반영을 못한 채 제자리였다는 점을 인정한다. 영국이나 일본의 공영방송에 비해 수신료 비율이 턱없이 낮다는 것도 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아래에서 KBS의 ‘대한 뉘우스’로의 전락이 문제시되는 현실에서 수신료 현실화 논의는 어불성설이다. 회사 광고 수입의 주요 원천이던 KBS2를 대기업과 족벌언론에 민영화해 던져주고 나머지 자급도를 높이기 위한 심산으로 수신료를 올리려 한다는 소문도 무성하다. 수신료 인상 이전에, 이제까지 국민의 지지를 누렸던 공영방송의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관제와 국영 방송이란 오명을 짊어질 수밖에 없다.

 

KBS 위기와 관련해 필자는 온라인 뉴스 ‘미디어스’에 다시 실린, 전영일 전 KBS 수신료 팀장이 지난 1년간 KBS의 망가진 모습을 정리한 글을 최근 읽었다. KBS 사내 통신망에 올랐던 글로, 이병순 사장 1년 동안 KBS 신뢰도 위기 문제의 본질을 누구보다 정확히 잘 짚고 있었다. 사내 게시판에 그와 같은 글이 KBS 직원의 회사에 대한 충심에 의해 올라왔다는 점에서 아직도 희망이 보이는 듯하다. 하지만 현재 KBS 위기에 반응해 일어나야 할 변혁의 공감이 여전히 내부적으로 기민하지 못하다. 이에 이르면 아쉽고 한숨이 절로 나온다. 정세 탓만 하고 굴종의 세월이려니 하여 그저 지나치려 마음먹기엔 앞으로 험한 날이 너무나 많지 않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