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생각_펌 - 2004/12/17 18:37

* 이 글은 야옹이님의 [덧붙여] 에 관련된 글입니다.

1.

 

   있잖아. 잊고 싶으면 잊어.
   근데 만약에, 혹시라도, 잊혀지지 않으면,
   두려움만 남기지 말고 분노도 함께 남겨주길 바래.

 

이 말은 얼마전 dalgun 이 택시기사랑 싸웠다길래 그 글 읽다가 남긴 덧글이다.
아직까지는 이게 제일 그럴 듯해 보이는데, 피곤하다.
분노를 품으면 피곤하다.
하지만 품지 않으면 내 자신이 사라진다.
그래서 별 수 없이 이렇게 산다.



2.

 

내가 당한 가장 오랜 기간동안의 성폭행은 고등학교 3년간 타고 다닌 2호선 지하철안이었던 것 같다. 그때를 생각하면 당하지 않은 날을 꼽는게 쉬울 정도다.

 

근데 사실 그 당시에는 굉장히 둔감하게 살았다.
누구한테 말한 적도 없었던 거 같고, 상대방을 노려보는 것조차 못했던 거 같고...
왜?
일일이 따지고 대응하면 인생이 더 피폐해질만큼 일상적인 현상이었으니까...

 

마치 엄청난 악몽을 꾸고 나면 꿀 때보다 잠 깨서 되뇌일때 더 공포스럽듯이,
지금 되새기면 스스로 자살행위라도 도모한 기분이 들어
자신에게 미안해져서 되도록 구체적으로는 생각 안하고 산다.

 

가끔 여자들끼리 대화할때 분노가 고양되어 자신의 피해 사실을 엄청난 속사포로 말해버릴때가 있다.
그저 '이렇게 잘 버티며 살아왔어요!', '자신을 많이 죽이고도 살아남았어요' 라고 자랑거리 늘어놓듯 얘기할때에도
열심히 말해버리고 난 후, 내가 한 말에 놀라 상처받기는 매한가지, 거의 매번 후회한다.

 

가끔 남자들한테 들으라고 이야기해놓고도 또 후회한다.
듣고나서 혹시 '세상살기 힘들다'고 말할까봐...
(남의 감정까지 책임지려 하다니, 이런 쓸데없는 짓을...-_-;;;)

 


3.

 

태생적으로 둔한데다가 감상적인 성격도 아닌데, '난 정말 예민한가?'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었다.
바로 azrael 님이 겪은 '지나친 피해의식 아냐?'라는 말을 받았을때...

 

근데 뭘 고민한걸까?
피해받았기 때문에 의식이 생긴 건 정말 확실한 사실인데...

 

문제는 그놈의 '지나친' 때문인가?

이래뵈도 '사회생활 열심히 하자 주의'라서
'무엇에 분노할 것인가?', '얼마나 분노할 것인가?'부터 열심히 고민은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와중에도 가감없이 분노스러운 건 하나 있다.
잘못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나도 참 많은 사람에게 피해주며 산다. 인정한다.
그런데 그걸 상대방의 피해의식으로 치환해주면 곤란하지 않은감?

 

그렇지 않아도 쌓여온 분노를 자르고 조절하느라 쉽지 않다.
남자들은 간혹 '적으로 돌리지 마라'라고 말하는데, 경계찾기 무쟈게 어렵다. (이것도 인정한다)
잘 조절이 안된다.

 

어렵다.

자기 권리의식도 찾아야 하고,

적절히 예민한 얼굴로 문제의 지점도 찾아야 하고,

찾으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도 해봐야 하고,

그 수위도 고민해봐야 하고,

분노를 조절하면서 두려움도 조절해야 하는데 쉽지 않고,

가끔 둔감하게 살던 잿빛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도 이젠 생존의 문제로 목에 걸려와 그럴수도 없고...

 

나도 없는 그 따위 세상, 더이상 살 수 없기 때문에...


어렵다. 어렵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4/12/17 18:37 2004/12/17 18:37
TAG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jineeya/trackback/163
  1. jineeya 2004/12/17 20:4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에잇, 써놓고 답답한 글이라니... 쓰기 싫다, 이런 글...

  2. 사슴벌레 2004/12/17 21:5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피해의식 너무 심한것 아니냐"는 말로 가해(자)를 두둔할 때, 제가 돌려 준 가장 속 시원한 대답은, "차라리 나에게 예수가 되라고 해라." 였는데, 지금 생각하니 이것도 별로 성에 안차네요. 에휴.--;;

  3. azrael 2004/12/18 01:2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질러 놓고도 수습 안되는 상태를 요즘 제가 겪고 있어요^^; 그 일로 저 혼자 화나서 여전히 씩씩거리고 있답니다. 정말 출근하기 싫어요..ㅠ.ㅠ

  4. 미류 2004/12/18 10:3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피해의식이라는 단어 나오면 정말 화나죠. 익숙해져서 무시할 만도 한데 아직도 짜증이 나요. 정말 말이 통할 것 같은 사람이 아니면 무시하는 게 낫다구 생각하는데... 쉽지 않더라구요. ㅡ.ㅡ
    가끔 저는 이렇게 말해요. "그러냐? 나한테 디게 많은데 너 좀 나눠줄까?" ^^;;

  5. rivermi 2004/12/18 21:4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좀체 자신을 드러내는 글쓰기 꺼려했던 네가 이런글을 올리니 왠지 쬐금은 걱정이 되는게..jineeya의 심경에 변화를 느끼게 되어서인가보다..쩝..
    뭐 비슷하게 살며 느끼는 자로 딱히 할말은 그렇고..한가지 중요한건 "분노"가 잘알테지만...때로는 자아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것도 잊지않고 살자꾸나..

  6. jineeya 2004/12/19 14:4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피해의식, 들을때마다 '자기성찰'의 세계로 빠지게 만들죠. 정말 여자를 모두 예수로 만들고 싶은 걸까요?^^
    열나 생각해도 기본상식선인데 나의 문제로 되돌아오면 더 속상하고, 분노를 내비치면 부메랑처럼 내 마음을 향하고..
    구도의 길인가봅니다. 아미타불~

  7. jineeya 2004/12/19 15:0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사슴벌레,azrael,미류님, 역시 모두 '멋져요'(^^)b
    rivermi, 걱정마요. 오히려 전엔 분노 표출/수용 수위 조절의 용기가 없었던 거겠지. 게다가 요즘 돌봄 철학 보면서 평정심 상태인걸?^^ 근데 역시 여성으로서의 분노 표출은 자아발전보다 자아형성의 느낌이 강한듯.

  8. rivermi 2004/12/19 15:5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자아형성도 자아발전의 과정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