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작가도 기자도 아닌 사람이 한 주제로 책 세 권을 썼습니다. 그것도 30여 년에 걸쳐서 말입니다. <고해정토(苦海淨土)>(1969~2004) 3부작>. 미나마타병으로 죽어갔던, 고통 받았던 이들에 대한 비가(悲歌). 근대화를 상징하는 자본과 과학기술, 그리고 국가가 결합해 만들어낸 가혹한 폭력에 대한 고발. ‘미나마타’의 인류사 혹은 문명사적 의미에 대한 끈질긴 인문학적 질문을 끈질기게 던졌습니다.
 
2.
구마모토현 미나마타 시(市)에 들어선 질소 공장은 일본의 산업화, 제국주의와 궤를 같이 합니다. 승승장구하던 때엔 조선과 만주에도 공장을 지었고, 압록강에는 발전소까지 만들었습니다. 패전 후에는 공중분해가 되기도 했지만 곧 공장은 다시 가동됐습니다. 폭주하던 제국주의 기차는 멈췄지만 산업화까지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3.
14호, 나카츠 요시오, 일반인과 다를 것이 없다. 어획량도 전업자와 비슷. 야간작업도 하고 있다.
20호, 다가미 카츠요시, 자택에서 빈둥빈둥. 보행이 약간 곤란.
29호, 다나카 미노루코, 자택에서 걷게 되었다.
34호, 에고시타 마스, 가사일 전반을 돌봄. 외견상 아무렇지도 않다.
36호, 이노우에 아사노, 건강. 정상인과 다름없다. 산밭 일을 하고 있다.
43호, 다가미 요시하루, 모리오카쿠미 삼륜차 운전수, 건강체.
51호, 하마모토 츠기노리, 건강, 센쿄운수 근무, 현재 남규슈자동차학교 재학 중.
71호, 시마모토 리키조, 건강체, 2월 26일 사망.
73호, 스기모토 도시, 약간 나쁘다.
88호 스기모토 신, 완쾌라 여겨진다.
74호, 이토 세이하치, 완쾌라 여겨진다.
80호, 이와사카 키쿠에, 자택에서 빈둥빈둥.
87호, 우시지마 나오, 건강체.
(pp.224-5)
 
1964년 짓소공장에서 작성한 <미나마타병 환자 일람표>에는 환자에 대한 세심한 기록이기는커녕 ‘발병으로 비롯된 집안의 고난에 대해, 잃어버린 세월에 대해, 한마디도 말하지 않’(p.227)고 있습니다. 그저 이 기록은 행정당국이 추진했던 ‘위로금’ 개정의 근거였으며, 희생자 말소 수법이었으며, 지역감정을 악용하는 데 사용됐습니다.
 
4.
1956년부터라고 합니다. 혀와 입술이 떨리더니 말하는 게 쉽지 않아졌습니다. 근육은 맘대로 움직이다 마디마디가 꺾여 들어갔습니다. 뇌가 마비되기도 했으며 똑바로 걸을 수조차 없게 됐습니다. 사람뿐이 아니었습니다. 영물(靈物)로 여기던 고양이들은 미친 듯 춤추다 고꾸라져 죽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바다에는 물고기들이 사라졌습니다.
 
5.
“도시라는 곳에 갔던 이들이 이야깃거리도 만들 겸, 다진 가다랭이라는 걸 먹어보자 싶어 다들 주문해서 먹어봤다는구먼. 별로 맛이 없더라는 거여. 비교를 할 수가 없더라는 거지. 몇십 종류나 있잖여, 이쪽 바다엔, 맛이 있는 물고기가. 혀에 착착 감기게 맛있는. 수은이 들어서 그랬다니까, 틀림없이.” 그리고 와아, 하고 웃음을 터뜨린다.(pp.183-4)
 
6.
언니는 사세보에서 콩 파는 장사.
일확천금.
차녀는 후쿠오카 탄광.
여동생, 나가사키 탄광.
어머니는, 돈은, 조금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또한 아버지, 3년 전 괴질로 죽었습니다.
돈은 거슬러 올라가 33만 받았습니다. 부자입니다.
(p.78)
 
어촌 마을이었던 미나마타에 들어선 공장은 바다만 망가뜨린 게 아니었습니다. 돈 벌이에 가족들을 이용한다거나 공장이 문을 닫으면 시(市)가 망한다거나 혁명을 노리는 좌익들이 설친다는 말이 흘러나왔습니다. 마을은 ‘질투와 험담과 밀고가 횡행하는’(p.328) 곳으로 변했습니다.
 
7.
29세대가 싸우기로 했습니다. ‘확약서’니 ‘청원서’니 하는 것들을 들이미는 ‘짓소’를 상대로 소송에 나선 겁니다. 이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주주총회가 열리는 곳으로 순례를 떠납니다. 순례복을 준비합니다. 노랫말을 외우기도 힘들고, 발음이 엇나가 다른 말로 들려지만 영가(靈歌) 연습도 합니다. 이들과 함께 사우겠다고 나서는 이들도 오사카역이 미어질 듯 모여들었습니다.
 
8.
이시무레 미치코는 짓소와 정부를 상대로 한 싸움을 꼼꼼히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르포르타주(사회고발 문학)로서의 글이 아닙니다. 과학기술과 자본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근대문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입니다. 인신공양(人身供養), ‘신(神)들의 마을’이야말로 상처를 보듬고 치유할 수 있다는 성찰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7/06/27 09:03 2017/06/27 09:03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