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평범하기 그지없는. 내 누이, 우리 엄마들이 가졌던 ‘소박한 꿈’들이 있었습니다. 
 
“나뿐이 아니라 내가 지금 이런 식으로 물러나면 나 같은 사람이 계속 생길 거 아니냐? 내가 다른 데 가서 또 이런 일이 생기면 또 피할거냐? ......(중략)...... 내가 마지못해 끌려갔다면 모르겠지만 나름 열심히 했는데 중간에 포기해 버리면 그게 계속 남아 있을 거야. 그래서 결론을 빨리 봤으면 좋겠고.” (pp.71-72 월드컵분회 조합원 서은주) 
 
“2008년부터 100-299인 사업장도 비정규직법이 적용될 텐데. 그러면 언제든 다른 데서도 우리처럼 할 것이고, 대량 해고하겠죠. 그런 사태를 접하지 못한 사람들이 현실에 눈을 떴으면 좋겠어요.” (p.95 월드컵분회 조합원 장은미) 
 
“없어야죠, 그런 건 무조건 없어야 돼요. 원래 비정규직이 없었던 것처럼, 파업이 없어도 되는, 이런 갈등 자체가 없어야 해요. 그랬으면 좋겠어요. 비정규직이네 뭐네, 이런 거 알고서 했나요. 아니잖아요. 아무도 몰랐잖아요. 그런데 어느 순간 그 말이 생겨난 거잖아요. 이런 식으로 절망적인 단어가 새로 나타나지 않았으면 해요. 갈등을 부르는 단어가 안 나오길 바랄 뿐이죠, 그냥.” (p.141 월드컵분회 조합원 김남희)
 
“같이 하라는 얘기는 감히 안 해요. 저도 옛날에 그랬어요. 차도를 막고 여러 사람한테 불편을 끼치고 투쟁을 하는 게 불편하고 짜증도 나겠지만. 저 사람들이 왜 저럴까. 저럴 만한 이유가 있지 않을까, 오죽하면 저럴까 한 번쯤은 생각해 주면 좋겠어요. 그 정도, 우리 입장이 되어 달라고는 절대 안 해요.” (p.215 월드컵분회 조합원 이경옥)
 
2.
‘소박한 꿈’이라고는 했는데, 참 많이 부끄럽네요. 그이들이 가졌던 이 ‘소박한 꿈’을 그이들 말마따나 제대로 ‘응원’ 한번 해봤는지. 지침으로 내려오는 집회 일정에 빠지지 않고 참석했다고. ‘불매운동’에 동참한다고 한동안은 ‘2001 아울렛’에 드나들지 않았다고. 그게 ‘응원’이나 됐을까요.
 
“여기 김경옥 부위원장님이 자주 오셨는데, 우리가 30분 더 쉬게 된 것도 거기서 투쟁해서 얻어 낸 거라고 얘기하셨죠. 추석이랑 설 때 회사에서 상품권을 줬는데 정규직은 7만원, 우리는 5만원 이었어요. 매출이 좀 올랐을 때도 직원과 파트를 구별해서 줬어요. 그런 데서 상당히 기분 나빠요. 똑같이 일하는데 차별대우 하니까요. 상품권도 나중에는 똑같이 10만 원씩 줬는데, 그것도 투쟁해서 따 냈다고 하시더라고요.” (pp.109-110 00분회 조합원, 가명 이선화)
 
“솔직히 처음에는 조합에 관심도 없었어요. 내가 일하는 직장에서 내 위치가 흔들리니까 ……. 곧 사람이 잘린다더라, 구조조정이 된다더라, 뭐 이래저래 말이 많았어요.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었어요. 그래도 노동조합에 가입하면 그나마 회사가 함부로 하지는 않겠구나 생각한 거예요.” (p.133 월드컵분회 조합원 김남희)
 
“같이 일하던 직원 중에 5년 된 파트타임들이 진급이 안 되는 거예요. 같이 들어온 다른 비슷한 사람들은 진급이 되는데. 인사과장도 진급시켜 준다는 얘기는 했는데 계속 뺀질뺀질대면서 안 해주는 거야. 부장이 입장을 고수하면 안 될 것 같아서 노동조합을 만나본 거지. 같이 있던 과장이 한 명 있었는데, ‘단순히 부장이나 과장이 건의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노동조합을 통해서 하자’고 했어요.” (p.144 이랜드노조 총무부장 손명섭)
 
“고객센터 직원들은 집에서 쉬고 있을 때도 회사에서 나오라고 하면 나와야 해요. 손님이 그 아가씨 나오라고 그래! 그러면 회사에서 전화 하는 거예요. 전화를 안 받고 싶은데 다음날 가면 더 힘들어지니까 할 수 없이 받는대요.” (p.33 월드컵분회 조합원 조희숙)
 
“저는 11년 동안 근무했는데 어려움이 항상 있었죠. 장시간 근로도 그 중 하나고요. 7시에 출근해서 저녁 7시 이전에는 퇴근해 본 적이 없어요. 거의 10년 가까이 그렇게 일했어요. 초과근무 수당이 없는 건 당연한 거고요. 그것도 그나마 이랜드로 넘어오기 전 이야기고, 이랜드로 넘어오고 나서는 7시에도 퇴근을 못했어요. 보통 10시, 늦게 가는 사람은 12시까지 있어요.” (pp.110-111 병점분회 조합원 서형태)
 
“근데 정말 재미있는 일은 노조에 가입하고 한 달 인가부터는 두 시간 일하고 15분 쉬고 한 시간 밥 먹고 두 시간 일하고 15분 쉬고 이게 된 거예요. 야, 노조 가입하니까 이렇게 되는구나, 그걸 몰랐던 거예요. 미련하게 일만 했어요.” (p.23 월드컵분회 조합원 조희숙) 
 
3.
얼굴을 들고 있기가 민망합니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이런 말들을 했다지요. 그이들은 너무도 큰 꿈을 꾸었기에, 아직은 이룰 수 없는 꿈을 가졌기에, ‘사탄’이었다고. 정말 그럴까요. 
 
“지금은 우리가 너무나 힘들고 괴롭지만 참고 이겨 낸다면 너희들은 노동자가 되어도 비정규직이 없는 세상에서 살 수 있지 않겠니? 엄마가 너희들을 너무나 사랑하기에 자본가와 어깨를 나란히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 주고 싶구나.”(p.295)
 
“그러니까 위원장님이 그러시더라고요. 저희 아내 모르게 비자금 숨겨 놓은 거 있는 데 1,000만 원입니다. 그거까지 털겠습니다. 그러면 열 명은 살릴 수 있을 거 아닙니까. 저도 어렵거든요. 근데 그 얘기를 들으니까, 나는 한 명은 살릴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파업하고 있으니까 내가 어떻게 할 방법은 안 되고. 내 주위에서 끌어 모아서 어떻게 100만 원은 될 수 있을 거 같은 거예요. 한 사람은 구할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고요. 그럼 열 달 동안 갚으라고. 결의가 생기더라니까요.” (pp.87-88 월드컵분회 조합원 윤수미)
 
“우리는 우리의 미래뿐만 아니라 노동자 모두의 미래에 대한 조그만 희망을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사람이 기계 부품으로 전락하지 않는 세상을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청컨대, 당신이 다루는 모든 서류 안에는 이러한 사람들과 세상과 신념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신이 잊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싸웁니다. 당신이 잊고 있기 때문에.”(p.303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내는 조합원 편지글>)
 
4.
그새 3년이란 시간이 훌쩍 지났습니다. 그동안 또 다른 싸움을 ‘응원’하느라 그랬을까요. 아님 또 다른 ‘소박한 꿈’들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싸우느라 그랬을까요. 한 달에 80만원, 일 년 960만원 받는 일자리, 그것을 위해 싸웠던 그이들의 속내를 이제와 헤아려보려니. 참 무심하게도 살았구나, 또 살고 있구나, 아니 애써 외면하고 있었구나, 그런 생각만 자꾸 듭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0/15 12:44 2010/10/15 12:44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174

  1. Subject: 여성 노동자가 더욱 고단한 이유... 『노동의 배신』

    Tracked from 도서출판 부키 2012/06/11 17:10

    1908년 전 3월 8일, 미국 여성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과 노동조합 결성권, 투표권을 요구하며 시위와 파업을 벌였습니다. 이를 계기로 3월 8일은 여성의 날, 투쟁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날이 되었지요. 그로부터 1백여 년이나 지났건만 대한민국에는 ‘빵과 장미’가 필요한여성들이 많습니다. 2007년 ‘이랜드 사태’는 비단 비정규직 문제만이 아니라 비정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