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현대차지부신문 칼럼 원고
불볕더위로 숨이 턱턱 막히는 11일 한낮. 한 노동자가 주저앉아 운다. 오른 팔에 보정대를 하고 “너무 억울하고 서럽다”며 펑펑 울다 그 자리에 쓰러진다. 50대 여성 해고 노동자 서지원, 울산지역연대노조 효정재활병원지부장이다.
언양에서 경주 가는 길 천전리 각석 입구에 있는 사회복지법인 동향원. 거기 지적장애인과 치매 노인들을 돌보는 효정재활병원이 있다. 서지원, 강을출, 윤향순 3명의 해고 간병사들이 두달째 병원 앞에 천막을 치고 농성 중이다. 복직명령을 받았지만 해고기간 임금을 받지 못한 김정순 조합원도 투쟁에 함께 하고 있다.
“24시간 맞교대로 일하면서 받지 못한 야간연장수당을 돌려달라.”
“부당해고와 계약해지를 철회하고 원직복직시켜라.”
지난 9일 3명의 해고 노동자들은 병원 쪽 ‘실세’로 알려진 동향원 김 아무개 사무국장실로 밀고 들어갔다. “대화를 하자”는 해고자들의 요구는 쉽사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동향원 직원들과 몸싸움이 거세졌다.
‘실세’ 김 아무개 사무국장은 해고자들과 함께 들어간 울산연대노조 김덕상 위원장과 기자에게 “찌꺼기들은 나가.” “이 거지 XX들, 빨리 끌어내.” “우리도 민주노총으로 쳐들어가자.”며 막말을 퍼부었다.
여성 해고자들은 이날부터 사무국장실을 점거, 밤샘농성에 들어갔다. 다음날 오후 동향원 직원들이 사무국장실 에어컨과 전기를 끊었다. ‘죽을 수는 있어도 물러설 수 없다’ ‘문제해결을 위한 성실교섭에 임하라’는 현수막도 찢어버렸다.
농성 조합원들이 항의하자 직원들은 서지원 지부장의 팔목을 비틀며 밀어붙였다. 서 지부장은 오른쪽 팔목을 크게 다쳤다. 연대하러 달려온 공무원노조 남구지부 윤선문 사무국장도 당했다. 동향원 직원들은 윤 사무국장의 옆구리를 발로 차 넘어뜨리고 쓰러진 윤 사무국장의 가슴팍을 발로 짓눌렀다. 윤선문 사무국장은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이다.
서지원 지부장이 외친다. “너희가 장애인을 돌볼 수 있는 소양과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냐?”
이달 말 중앙노동위원회는 효정재활병원 해고 노동자 3명의 부당해고 여부에 대해 심판한다. 해고자들은 말한다. “똑같은 건으로 김정순 조합원이 중노위에서 복직판결을 받은 만큼 중노위 판정을 기다릴 것 없이 빨리 복직시켜라.”
효정재활병원 해고 간병사들이 투쟁에 나선 지 벌써 1년이 다 돼간다. 서혜숙 지부장은 이름도 ‘연대와 지원’ 할 때 그 ‘지원’으로 바꿨다. 나약했던 간병사들이 투쟁을 통해 노동자로 거듭났다. 노동조합을 통해 연대의 소중함을 깨달았고 이름까지 바꿨다.
서지원 지부장이 땀범벅 눈물범벅으로 “너무 억울하고 서럽다”며 토해낸 울음을 외면하지 말자. 서지원 지부장이 눈물로 우리들의 ‘연대와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이 투쟁에 열일 제쳐두고 무조건 함께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