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투티를 보면 새 깃털로 머리를 장식한 인디언 추장이 떠오른다. 후투티는 황갈색의 머리 장식 깃이 크고 길지만 자유롭게 눕혔다 세웠다 하는데, 주위를 경계할 때나 놀랐을 때 부채처럼 펼친다.
» 먹이를 사냥한 후투티.
» 거미를 사냥했다.
후투티는 인가가 있는 농촌 지역의 농경지나 과수원처럼 개방된 환경을 좋아한다. 몸집보다 큰 날개로 파도처럼 나는 데는 숲 속보다 열린 공간이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지난 4월 경기도 남양주시 외곽 마을의 어느 집 처마에서 둥지를 튼 후투티를 관찰했다. 이곳은 사람들이 자주 왕래하는 길목이다. 사람들이 오가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 먹이를 물고 둥지 근처 나무에 앉아 주변을 살핀다.
후투티는 동네의 모든 일상을 꿰고 있다. 이곳에 둥지를 튼 것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네 사람들도 후투티를 낯설지 않게 받아들인 지 오래됐다고 했다. 후투티는 적대감을 표시하지 않으면 사람들과 친숙하게 지낼 수 있는 새다. 후투티를 인가 근처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천적인 맹금류가 인가 근처에 잘 나타나지 않고, 근처 텃밭에 먹이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후투티는 전략적인 선택을 했다.
» 사냥을 위해 복숭아 과수원으로 들어가는 후투티.
그뿐만 아니다. 후투티가 낳은 흰색 알은 며칠 지나면 누렇게 색이 변하고 심한 악취를 낸다. 포식자를 물리치기 위해서라고 막연하게 생각돼 왔지만, 실은 여기엔 오랜 진화적 적응이 숨겨져 있다. 후투티 암컷은 알 표면에 꽁지 샘에서 나온 분비물을 바른다. 여기에는 항균 능력이 있는 세균이 고농도로 들어있고, 그 덕분에 알껍데기를 통해 병원균 감염을 막아준다는 가설이 최근 나왔다(▶관련 기사: 후투티, 알에 항균 세균 발라 병균 막아).
■ 후투티의 먹이 나르기 연속 동작
» 땅강아지를 물고 횃대에 앉아 둥지를 살피는 후투티.
» 쏜살같이 둥지로 향한다.
» 몸을 비틀어 추진력을 이용한다.
» 몸보다 큰 날개가 다른 새와 확연하게 다르다.
» 시선이 둥지에 고정돼 있다.
후투티의 황갈색 몸과 검은색, 흰색의 줄무늬가 있는 날개는 넓고 둥글어 다른 종과 혼동되지 않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황갈색 머리 장식 깃 끝은 검은색이고 몸 길이는 약 28~31㎝이다. 가늘고 긴 부리는 아래로 휜 형태여서 부드러운 곡선을 이룬다. 검은색 꼬리 중간에 흰색 띠가 있다. 늘 바쁘게 걸어 다니면서 부리로 흙을 찍어 애벌레, 거미, 지렁이를 찾아내고 벌과 나비도 사냥한다. 특히 땅강아지를 즐겨 먹는다.
» 둥지를 향해 방향을 바로 잡는 후투티.
» 둥지를 향해 일직선으로 날아간다.
» 둥지로 다가왔다.
둥지는 오래된 나무 구멍이나 기와집의 용마루, 인가 지붕, 처마 밑을 즐겨 이용하지만, 둥지를 틀 수 있는 구멍이라면 가리지 않아 때로는 돌담 사이와 건축물의 틈을 둥지로 이용하기도 한다. 한 번 사용한 둥지는 해마다 수리해 사용하는 습성이 있어 주위환경이 변하지 않는 한평생 사용한다.
» 처마 둥지에 앉은 후투티.
3월 초순에 도래하여 4~6월에 4~6개의 알을 낳아 암컷이 홀로 약 18일 동안 품는다. 새끼는 22~25일이면 둥지를 떠난다. 9월 하순까지 전국에서 관찰되지만, 중부지역에 서식 밀도가 높다.
» 애벌레를 물고 둥지로 향하는 후투티.
북위 약 58° 이남의 유라시아대륙과 아프리카대륙 전역에 분포하며, 북부의 번식 집단은 열대지방까지 내려가 겨울을 나고 한국에는 아시아 동부의 번식 집단이 찾아온다. 아시아의 남쪽 번식 집단은 텃새이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후투티가 자주 관찰되고 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