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LuisBunuel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7/08/31
    <자유의 환영>, 1974, 루이스 부뉴엘
    inforata

<자유의 환영>, 1974, 루이스 부뉴엘

<자유의 환영>에서 루이스 부뉴엘은 상식의 뒤집기를 시도한다. 근친상간으로 성적 통념을, 수도승의 방탕한 생활로 종교적 통념을, 식당과 화장실이라는 공간의 전도를 통해 일상적 통념을 깨뜨린다. 이 외에도 영화 내내 이러한 상식적 관념들은 끊임없이 뒤집히고 깨진다. 또한 영화의 형식적 차워에서도 고전적 서사 규칙을 어김으로써 같은 맥락의 위반을 달성한다. 위반/뒤집기/깨뜨리기라 말할 수 있는 수많은 요소들이 영화를 말 그대로 가득 채우고 있어 무엇을 깨뜨리려 하는가라는 질문조차 무색해 진다. 다만 말할 수 있는 것은 모든 것에 대한 어김을 드러내고 있다 정도. 개인적으로 주목할만한 몇몇 장면들을 상기하는 것으로 이 어김들이 던져주는 것들을 다시 한번 환기하고 싶다. 
1. 한 아이가 학교에서 실종된다. 하지만 여기서 실종이라는 사건만이 존재할 뿐 실제로 아이가 실종된 것은 아니다. 멀쩡한 아이를 옆에 두고 부모는 아이를 걱정하고 경찰은 조서를 꾸민다. 이 상황에서 특히 재밌는 장면은 실종된 아이를 보면서 몽타주를 작성하는 숏이다. 실종된 그 아이를 직접 보는 것보다 몽타주를 사실적으로 작성할 방법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앞에 있는 아이가 실체 없는 귀신인 것처럼 완벽한 몽타주에도 불구하고 실종이라는 사건은 계속 된다. 즉 존재하지 않는 사건은 존재하고 존재하는 아이는 부재한다. 이렇게도 말할 수 있다. 실종된 아이가 사건을 만들지 않고 사건이 실종된 아이를 만들었다. 이는 원인과 결과의 전도를 보여준다. 실종이라는 사건이 실종되지 않은 아이를 실종된 것으로 규정짓는 것이다. 이러한 말도 안되는 것처럼 보이는 아이에 대한 사후적인 규정 - 앞에 있는 이 아이는 실종되었다 - 은 정말 말도 안되는 것일까? 조금만 살펴보면 이러한 '사후 규정'이 일상 속에서 얼마나 흔한 일임을 인식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당신은 누구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뭐라고 대답할 수 있겠는가. 그 대답 속에는 분명 사후 규정적 성격을 지닌 대답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일까? 나는 내가 지금 실종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미에서 실종에 관한 이 말도 안되는 상황은 말되는 상황이기도 하다.

2. 내가 본 <자유의 환영>은 EBS에서 방영한 것의 녹화였는데, 녹화된 테잎에는 영화가 시작되기 전 한 평론가의 영화 소개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 평론가는 <자유의 환영>을 두고 루이스 부뉴엘의 가장 자유로운 영화라고 평가하고 있었다. 아마도 그가 자유롭다고 평가한 것은 이 영화가 보여주는 그 수많은 어김들 때문임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자유의 환영>이라는 제목은 그가 말한 자유로움에 대해 회의하게 만든다. 일견 자유로워 보이는 그 형식과 상황들의 어김은 제목처럼 자유의 '환영'으로 읽어야 하지 않을까? 특히 대구를 이루는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은 루이스 부뉴엘이 이 영화를 통해 재현하는 것이 '자유로움'에 대한 무엇이 아니라는 생각을 확고히 해주고 있다. 말 따옴표가 문장을 강조하듯이 "자유를 타도하라"라는 구호가 처음과 끝에서 영화를 열고 닫고 있는 것이다. 결국 영화 전체가 "자유를 타도하라"라는 외침 아래에, 안에 들어가 있는 셈이 된다. 실종에 대한 에피소드에서처럼 우리는 권리와 의지로 자유롭게 살아가기 보다는 규정된 채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사후적이고 자의적인 규정들에서 벗어나길 욕망한다. 규정들을 모두 내팽겨 쳐버리고 자유롭게 살아가길 꿈꾸지만 사실 이것은 불가능하다. 규정들을 무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규정이 없으면 규정을 어기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위반은 '무엇을' 위반하는 것으로 항상 대상을 필요로 한다. 자유도 이와 같이 속박이 없다면 얻어질 수 없는 것이다. 루이스 부뉴엘은 이 규정들을 뒤집음으로서 그것들이 자의적이고 임의적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것들을 위반하길 욕망하는 우리의 모습을 드러낸다. 자유에 대한 욕망은 속박이 전제되기 전에는 존재할 수 없기에 자유는 타도되는 것이다. '자유'라는 이름 아래 이루어진 프랑스 혁명이 가져다 준 것은 자유가 아닌 허식이 제공하는 욕망으로 가득찬 자본의 시대가 아닌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