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종말론적 권리담론

일전에 대만의 오랜 친구 가운데 하나인 대만 아방가르드 소극장의 관장에게 "신식민/분단체제와 '민주수업'의 불가능성"이라는 글을 보내준 바 있었다. 한국 쪽과의 합작 공연 기획과 관련해서 최근 상황에 대한 내 의견을 구해 왔던 것이다. 그 친구가 작품에 넣고자 한 단락의 한국어 번역을 요청해 왔다. 종말론적 권리담론을 비판하는 대목이다. 이 글을 읽어본 사람들 가운데 이 대목에 특별히 주목한 친구는 처음인 듯 싶다.

 

역사와 지리의 다원성을 소거해서 보편성을 얻은 주체는 인류와 사회로부터 추상된 권리의 담당자로 표상된다. 현대적인 보편주의의 틀에서 이러한 주체가 구성한 사회, 나아가 이러한 사회가 구성한 세계는 규범적으로 개체 사이의 차이와 사회/민족 사이의 차이를 소거한다. 이와 같은 인식론/존재론적 구도에서 세계사를 구성하는 운동적 에너지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결국 보편의 상 아래에서 제출된 진보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무차별화의 완성이었다. 그리고 무차별화의 완성은 곧 횡적 시간성의 우위 하에서 역사지리적 차이가 소거된 세계의 종말이다. 물론 이와 같은 세계 종말은 담론적 구성물에 불과하다. 보다 장구한 맥락에서 보면 현실 역사의 전개는 여전히 다원성에 근거하여 자신의 논리를 관철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