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국가폭력 담론의 탈역사성

미류님의 [4.3, 문재인 추념사, 그리고 -] 에 관련된 글.

이제 4.3도 좌/우, 진보/보수를 넘어선 '정의', '민주', '인권' 등의 보편주의적 담론을 통해 적극적 탈역사화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 4.3도 신식민/자유주의적 정권과 운동체제에 의해 포섭되는 것 같다. 1987년, 1980년에 적용되었던 보편주의적 탈역사화 민주/자유 담론이 1948년의 4.3까지 먹어치우려는 형국이다. 영화 '1987'은 반공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의 단죄를 통해 더욱 내재화된 자유주의적 반공주의라는 시대적 지배이데올로기를 잘 보여준 바 있었다.

 

희생당한 이들은 아무런 이념적 지향이 없는 '양민'이었다는 탈민중적 접근, 그리고 책임은 당시 있지도 않았던 '국가'에 있다는 탈민족적 접근이 결합되고 있다. '양민'이 없었겠느냐마는 역사 속의 민중이 어찌 양민이기만 했겠는가. 민중을 학살한 우익이 있었지만, 어찌 그들이 추상적 국가의 대리인이었겠는가. 반공주의적 자유주의에게 해방정국이 탈식민을 둘러싼 신식민-제국/자유주의와 민족해방-사회주의 사이의 각축장이었음은 어떻게든 지워야 할 역사였던 것이다.

 

국가폭력이라는 가상, 그리고 구조적 폭력이라는 가상은 '국가'와 '구조' 자체가 가진 추상성/보편성으로부터 폭력의 원인을 찾는다는 점에서 현실을 이론에 환원한 결과물이다. 국가이론 또는 자본주의 구조비판이론, 나아가 페미니즘 이론 등등에서 자동적으로 폭력의 원인이 제시된다. 물론 이는 1990년을 전후로한 가상적 국가화에 의해 완성된 인식론적 전환이 학술이론에  반영된 구체적 표현이다. 그렇게 '폭력'은 탈역사화되고, 동시에 '탈주체화'된다. 그러면 '폭력'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무엇인지, 누구의 것인지 모호해진다. 심지어 지식담론에서 폭력은 이론을 증명하는 사례로 동원 및 이용된다. 때로는 날조될 수도 있다. 있지도 않은 폭력이라도 만들어서 이론을 증명하고자 하는 이론주의는 엘리트주의/포퓰리즘의 동일성에 기대어 어떤 폭력을 과장할 수도 있고, 어떤 폭력을 지울 수도 있다. 특히 우리 상황에서 이론주의는 운동체제와 결합되어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진정한 문제는 이론의 규제하에 파악된 폭력과 실제 폭력 사이의 거리가 작지 않다는 것이다. 이론에 의해 파악된 폭력과 그 주체가 '비정상적 개인/집단'이자 사법적 단죄의 대상에 머물게 되고, 그러한 비난과 처벌이 이론적 관점에서조차 구조적 전환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이 거리에 있을 것이다. 이는 현실에 대한 이론의 패배라 할만 하지만, 엘리트주의적 이론은 자신의 포퓰리즘적 지지기반을 들어 반성보다는 보완하면 된다는 변명으로 일관한다. 현실에서 잡히지 않는 이론적 '구조'이지만, 이를 내려 놓는 순간 스스로 진정한 현실을 대면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최악이다.

 

그러나 대중 및 운동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최선일 수 있다. 그럴 것이다. 대중 운동의 관점에서 현실의 모순에 대한 인지, 그것의 해결을 위한 실천은 그 상황하의 지식담론을 참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역사적 지식의 역할은 그러한 운동에 대한 평가에 있지 않다. 더욱이 운동에의 편승은 비윤리의 극치다. 지식의 역할은 오히려 그 운동이 지식담론을 참조하여 나아간 부분, 나아가지 못하고 막힌 부분에 대한 역사적 성찰을 지식 장역에서 전개하고 축적하는 것에 있다.

 

폭력은 이론적 '구조'에 기인하지 않는다. 폭력은 그것이 폭력적 장치를 경유한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역사를 갖는 사람들 내부/사이의 폭력이다. 보편적 좌/우의 구도는 이론적 산물이지만, 역사적 좌/우의 구도는 역사를 반영한 현실 내부의 힘의 균형을 드러낸다. 결국 역사 안에서만 폭력은 정확하게 인지될 수 있고, 또 정확하게 처리될 수 있다. 조정로의 '민주수업'은 그런 의미였다. 역사 안에 서기 위해서는 실천을 통한 '교육'이 필요했고, 그리고 교육을 통한 윤리 주체의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했던 것이다. 중요한 것은 실천을 통한 교육이 가능하려면 교육에 동원되는 사상적 준비가 먼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문화대혁명에서는 모택동 사상의 풍부성이 결정적이었다. 

 

결국 사상의 회복이 관건이라 할 수 밖에 없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사상운동이 전개되어야 한다. 대대적으로... 그럴 때, 폭력은 이론의 도구로 전락하지 않고, '민주수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람들 사이의 진정한 화해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