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8/08/26

요즘 문득 자주 '과학'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철학'이라고 해도 다르지 않을 것 같다. 우리의 이론은 과학을 추구하면서 실천성을 잃었다. 과학은 보편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엘리트의 언어라고 할 수도 있다. 아마 실천성을 잃고 나서 과학으로 나아갔다고 할 수도 있겠다. '문화/과학'은 그런 의미에서 1990년대의 시대적 전환을 표지한다. 과학에 의해 규정된 문화는 현실이 실천성이 제거된 이론에 환원된 담론구성물일 뿐이다. 문화연구가 본래 가졌던 실천성은 제거된 채 추상적 이론만 수입되어 현실에 적용된 것이었다. 물론 여기에서 현실은 '이론적 현실' 안에 포섭될 수 있는 것만을 의미한다. 자본주의/세계화/신자유주의적 현실이 대표적 예 가운데 하나다. 탈식민주의가 식민주의적으로 소비된 것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문화연구와 탈식민주의 모두 20세기 내내 동아시아와 우리 역사 안에 지속되어 왔다. 분단/신식민으로 역사를 잃어버린 우리들에게는 그것이 낯선 것이자 새로운 것으로 보였지만... 그렇게 해서 분석된 문화가 강변한 것은 이론의 올바름일 뿐이었다. (5.4운동에서 제시된 '과학'과 '민주'라는 낯선 과제가 다시 문제화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론의 올바름'과 '정치의 올바름'은 평행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실천적인 문화연구는 삶의 양식을 바꾸는 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살지 말고, 다르게 살자는 제안이어야 한다. 역사를 가진 이 땅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수입된 이론의 보편/특수적 반복에 불과한 문화연구담론이 이러한 제안을 할 능력을 가질 수 없었다. 자본주의 비판, 신자유주의 비판, 생태주의, 페미니즘, 성소수 등등 그 어떤 비판이론도 공동체가 영위해 온 삶의 양식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답을 주지 못했고 지금도 그렇다. 그러한 이론은 과학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실천성이 아주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것은 대체적으로 땅 그리고 역사와 분리된 특정 계급/계층/엘리트 내부에서만 고립된 자기만족적 공동체로 확장성 없이 생성/소멸을 반복해 왔다. 물론 그것이 완전히 소멸하지 않음은 그 자체로 체제 재생산의 중요한 구성요인임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엘리트주의/이론주의가 포퓰리즘 없이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더욱 그렇다.

 

어쩌면 이런 맥락에서 "문화연구"가 실천성을 회복하기 위해 '역사' 및 '사상'과 만나야하는 이유가 밝혀지는 듯 하다. 구조 비판 자체가 주체적으로 재구성되기 위해서 기존의 '국민/현대/식민'적 틀에서 해방된 역사적/권역적 접근이 필요하고, 구조 변혁과 늘 맞물려 있는 삶, 의식, 가치, 즉 문화가 변화하기 위해서는 사상에 기반한 실천을 통한 사람/공동체의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과거의 문제는 이와 같은 문화를 또 하나의 구조로 보고, 여기에 다시 '과학'의 칼을 댔던데 있다. 필요한 것은 노신이 말한 입인立人이라는 문제설정이다. 사상에 기반한 실천은 동아시아적 전통에서 '문예'로 불렸다. 사상의 회복과 동시에 문예와 결합하고 양자의 상호삼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이론이 사상을 대체할 수 없고, 구조분석이 실천을 보증하지 못한다. 문예 없이 사상은 공허할 수 밖에 없다는 박현채 선생의 인식을 다시 전유해야 하지 않을까.

 

이제 경제의 파탄은 갈수록 표면화/가속화될 것이다. 2018년 여름을 거치며 자유주의적 반공주의가 가진 능력(의 한계)이 표면화되고 있는 듯 하다. 나는 '촛불'의 진정한 함의가 무엇이었는지 드러난다고 보고 있다. 이미 여러차례 왜곡을 거쳐 성립된 진보/보수라는 구도에서 진보는 기본적으로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였다. 물론 내가 이야기하는 반공주의는 단순히 공산주의라는 추상적 이념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우리 나름의 주체적인 대안 사회를 기획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구체적인 역사에 대한 왜곡, 그로부터의 단절을 의미한다. 남의 잔치에 숟가락을 얹으며 '진보'에 편승했던 다기한 좌파와 이론주의적 급진주의는 또다시 무너지는 현실 앞에서 다시 새로운 이론을 찾게 될까. 다케우치 요시미가 이야기했듯이 기존의 이론에 현실(또다른 관념)이 맞지 않으니 다시 새로운 이론을 가져오면 된다고 생각할까. 진정으로 현실을 바꾸려는 실천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작금의 반공주의가 개별 주체에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는 상대하기 매우 어려운 두텁고 강고한 반공주의다.

 

사상의 재건과 실천양식의 회복이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이다. 구조 비판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분석이 역사적 종축(주요모순)을 기반으로 다시 결합되어야 함은 사상의 기본적 과제인데, 그와 동시에 실천양식의 단절을 문제화함을 통해 그 회복의 경로 또한 함께 고민되어야 할 것 같다. 우선 문학을 먼저 고민해보는 수 밖에 없다. 사상적 각성은 어떻게 문예로 승화될 수 있을까. 당분간은 사상적 각성의 내용을 조금더 풍부히 하면서, 조금씩 실험적으로 문예적 실천을 시도해야 할 것 같다. 주어진 답은 없을 것 같다. 한 걸음씩 발걸음 내딛다 보면 길이 보이지 않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