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9/07/27

출발점, 과정은 다르더라도 연구자들이 최종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곳은 바로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일 것이다. 지역학으로서 '중국학' 또는 '중국연구'에 대한 비판은 溝口 선생의 작업에서 이미 정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남한의 '중국학'은 여전히 '중국'을 방법으로 삼지 못하고 있는데, 외형상 유사한 시도로 보이는 경우에도 결국 최종적 결론은 '중국'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보편성의 조망 하의 '남한'이 '방법'이 되어 중국에 대해 답을 내리는 방식이다. 이는 남한에는 있고, 중국에는 없는 무엇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확실히 삼민주의를 위시한 중국 근현대사상사에 '민중론'은 부재하다. 그러나 중국을 방법으로 삼는다는 것은 '민중론'을 보편화하여 '민생주의'를 외재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민생주의'가 권역적 차원에서 가진 어떤 것에 주목하여 남한 '민중론'에 권역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지성사적 성찰이 가능해져야 한다. 

물론 기존의 중국연구에 큰 기대를 걸 수는 없다. 사실 중국연구의 문제라기 보다는 권역적 국제주의 사상계 및 남한의 민간 사상계 자체의 생태계가 붕괴된데 근본적 원인이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