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인터뷰가 살생부가 되는 현실

국가 예산을 집행한다는 것은 참 짜증스러운 일이다. 작년에 갑자기 추경예산이 편성되면서 불리기 시작했던 조직의 규모를 올해 예산이 제자리로 복귀되면서 인원을 대폭 잘라내야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스텝들이 고민 끝에 몇가지 원칙을 정하고 개별 인터뷰를 통해 평점을 매겨서 잘라낼 인원을 골라내는 작업을 진행하기로 결의했다.


정말 고역이다. 어떻게 한사람 당 20분 남짓의 인터뷰로 그 사람의 생계가 될지도 모르는 일자리를 잘라낼 수 있단 말인가?

120여명과 인터뷰를 하고 그중 20여명은 탈락시켜야 한다. 그리고 그 중 대부분은 우리 조직이 아니면 어디가서 일자리를 구하기 힘든 처지이다. 이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진단 말인가? 빈민운동 영역에서조차 실업을 양산하는 꼴이 되어버렸으니..

 

아주 여러번의 회의를 통해 스텝들이 6가지 원칙을 정했다.

1. 나이 - 법으로 정해놓은 것이니 우리가 어쩔 수 없다.

2. 건강상태 - 일할 수 없는 정도의 건강상태를 지닌 분은 몇 없다.

3. 소득수준 - 대부분 찢어지게 가난하고 벌지 못하면 막막하다.

4. 사업기여도 - 스텝들의 잘못으로 기여도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5. 성실성 및 근무태도 - 이걸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정말 힘들다.

6. 담당팀장의 평가 - 제일 맘에 안드는 항목이다. 나부터 제대로 하고 남을 평가하자.

 

눈치를 보니 다른 스텝들도 힘겨워하고 있다. 자기 식구를 잘라내는 것이 회의에서 정한 원칙으로 집행하기에는 눈물겨운 사연이 너무 많기 때문일 것이다.

 

그나마 우리마저 이들을 잘라낸다면 근로능력도 없고 기술력도 없으면서 하루라도 벌지 않으면 굶어야 되는 저 사람들을 도대체 누가 감싸안을 것인가?

 

이건 아마 "복지"와 "생산"에서 줄타기하고 있는 대부분의 자활후견기관의 고민일 것이다.

아~~ 사람을 너무 슬프고도 힘빠지게 하는 너무나도 가벼운 복지제도와 지침이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