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운 기록"

왠만한 집회판마다 보이는 분이 있다. 로맨스 그레이, 별로 티나지 않는 캐주얼한 옷차림, 매우 편안한 얼굴의 아담한 체격, 어깨에 카메라 가방과 큰 카메라 두대, 그리고 손에 또 하나의 카메라...

 

항상 혼자 오는 것 같다. 누구와 함께 움직이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이곳 저곳 기웃거리는 것 같기도 하고 뭔가 발견하면 조심스럽게 카메라를 들고 뷰파인더에 눈을 갖다 댄다. 그리고는 또 조용한 얼굴로, 작은 눈에는 하나가득 연민을 담고 사방을 둘러본다.

 

집회판의 사진사로 기억되는 분은 다름 아니라 조세희님이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라는 책, 솔직히 이 책 단 한 번 읽고 다시는 꺼내보지 않았다. 한 번 읽으면서도 너무 힘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 책 쓰신 분이었다. 언젠가 카메라 들고 다니는 반백의 노인네가 조세희님이라고 누군가가 알려주었을 때, 저렇게 조용하게 생긴 분이 어떻게 그렇게 아픈 글을 썼을지 궁금했다.

 

"난쏘공"에 나오는 이야기는 사실 어렸을 때 바로 우리집, 옆집에서 일어났던 일들이었다. "난쏘공"을 읽으면서 아팠던 이유는 다른 게 아니다. 슬프고 아팠던 기억들을 온 것 그대로 꺼내놓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물경 10년도 훨씬 전에 그 책을 읽었는데, 그 힘든 기분이 전혀 가시지를 않는다.

 

희안한 것은 그 책의 내용도 그닥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거다. 읽기 힘들었기 때문에, 그래서 기억하기 싫었는지도 모른다. 아니, 내 어릴적의 기억을, 그것도 다시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기억들을 도로 꺼내놓기 싫었는지도 모른다.

 

"난쏘공"이 200쇄를 돌파했다는 기사가 떴다. 이 소설이 아직도 읽힐 수밖에 없는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기록이라서일까, 조세희님은 "부끄러운 기록"이라고 이야기했다. 하긴, 뭐가 바뀌었는가?

 

전태일선배가 그토록 안타까워했던 봉제공장의 열악한 환경은 아직도 현실이다. 철거로 쫓겨나는 사람, 밑바닥을 전전하다 결국은 목숨을 끊는 사람들처럼 "난쏘공"이 아프게 그렸던 그 사람들이 오늘도 무수하게 존재한다. 그래서 너무 슬프고 아프다. 다시 힘이 든다.

 

어쨌든, 그것이 "부끄러운 기록"으로 계속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세상은 바뀌어야 한다. 350만 농민이 죽음의 행렬을 이어가고 850만 비정규직이 그 뒤를 잇는 이 현실. "난쏘공"이 과거의 추억으로 회상되지 못하고 그 200쇄가 "부끄러운 기록"으로 전락하는 이 암담한 현실은 뒤집어져야 한다.

 

조세희님을 계속해서 집회판에서 뵐 수 있기를 바라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12/02 18:02 2005/12/02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