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0/12/06

 

낮에 쩔은 목소리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GM대우 정문 아치 위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농성을 하고 있는 사람이었는데,

이 사건이 잘 알려지지 않고 있어서 고민이 많다고 했다.

누군가는 매일 촬영을 하고, 편집을 해서 올리고 있느라 피곤에 쩔어있고,

턱이 덜덜 떨리는 날씨에 농성장과 아치위를 지키고 있는 사람들도 좀 되는 모양이다.

 

어떻게 해야할까.

나는 그저 몸 잘 챙기라는 말 밖에는 해주지 못했다.

 

멍하니 앉아있는 동안 이런저런 생각들이 머릿속을 굴러다녔다.

자세한 건 모르지만 87년 노동자대투쟁과 민주노조운동의 상승 등등.

그런데 (이렇게 말하면 노동운동 하시는 분들 섭섭하실지 모르지만) 이제 노동운동은 사그러들고 있고,

나 같은 젊은 애들은 스스로에게 당면한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서 도망가고 싶어한다.

운동한답시고 깝치는 나도, 노동운동에는 별 관심이 없다.

그리고, 소위 말하는 그 '운동문화'에 거부감을 갖고 있다.

노동운동과 지나간 운동문화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데는 무리가 있을지 모르지만,

아무래도 운동, 운동문화의 상징은 아직까직는 노동운동이지 않을까.

무튼. 노동운동은 해야한다. 뭘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잘 모르지만.

심지어 어디에 속해있는 노동자라고 말하기도 민망한 상태이지만,

어쨌든 노동자로서의 의식은 있어야 한다.

스스로에게 가장 부족한 것이 그거 아닐까. 사실 활동가들은 잘 쉬지도 못하잖아-_-;;;;(이건 쫌 딴얘기;)

암튼 그러면 노동운동을 해야한다면, 연대해야한다고 생각한다면,

내 방식대로 어떤 것을 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나?

내가 무언가를 한다고 해서 도움이 되는지는 차치하고서라도,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상황이나 되나? 그런 고민을 하는건 그저 용기 없는 것 뿐인걸까?

정신을 차리고 보니 나는 밥을 먹으며 빅뱅이론을 보고 킬킬거리고 있었다.

 

사무실로 나오는 버스 안에서는 울컥거림이 짜증으로 바뀌었다.

 

생각해보면 인간이라는 존재로 살아가고 있는 것 자체가 죄악인 세상이다.

구매자로서 소비하고 있는 생산품들에는 어느 것 하나 착취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은 것이 없다.

다큐멘터리 <꿈의 공장>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아마도 그것이었을 것이다.

모든 소비에는 착취가 들어있다.

당신이 메고 있는 콜트콜텍 기타,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이 컴퓨터 하드웨어의 어떤 것은

삼성전자에서 누군가가 백혈병으로 죽어가며 만든 칩이 있을 것이고,

지금 마시고 있는 커피는 남미의 어느 농장 노동자를 착취한 초국적기업이 내 놓은 상품이다.

농장 노동자 뿐만 아니라 가공에서, 유통에서, 어떤 단계에서든, 무엇이든 이루어졌겠지.

그런 세상 아닌가.

 

딜레마는 여기에 있다.

내가 아는 어떤 사람은 이런 저런 이유로 롯데 상품을 불매하고 있는데,

그것을 남에게까지 강요하지는 못한다.

당신들 전부 롯데 제품 쓰지 마시오! 왜냐면 롯데는......!!

이라며 줄줄줄 설명할 수는 있지만 모든 소비자에게 그걸 강요할 수는 없다.

하지만 만약, 롯데가 정말로 어떤걸 시정하길 바란다면,

그 상품을 소비자가 구매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러나 계속 말했지만, 강요할 수 없다. 물론 설득도 잘 안된다.

정부에게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면 기업은 무엇으로 변화시키나?

하물며 정부도 왠만하면 끄떡도 안하는데. 뭐, 비슷한 이치긴 하지만.

GM대우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지금 아치위에서 사측과 용역이 휘두르는 낫의 위협을 받으며

농성을 하고 있소. 그러니 이들이 정규직화 될 때까지 GM의 제품을 쓰지 마시오!

라고 했다 치자.

그런데 나는 오늘 정말 GM의 물건을 하나도 안 썼나?

혹은 GM대우 노동자들이 농성을 한 근 3년 이상의 시간동안 단 한번도 GM의 물건을 안쓸 수 있었나?

ktx 여승무원들이 파업할 때도 ktx를 타야 했었다. 물론 빨리 가니까 타고 싶기도 했었다.

 

어쩔 수 없이 해야할 뿐만 아니라 하고 싶은 마음도 있는 것이다.

 

특정 기업의 매출을 보장해주면서도, 그 기업이 변화하길 기대할 수 있을까?

다른 방법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 방법이 있다면 알고 싶다.

 

주기적으로 위기가 닥쳐오고 있다고 해도,

어쨌든 자본주의가 이룩해 놓은 것은 이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은 이미 너무나 많은 상호작용 속에서 살아가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이 일정정도 편리를 가져왔다.

도시에서 사는 내 입 속에 들어오는 쌀 알갱이, 옥수수 알갱이 하나라도,

일반적으로 '시장'을 통하지 않으면 사용조차 할 수 없고

미세한 단위까지 시장이라는 것을 통해서 인간은 얽히고, 얽혀있다.

그리고 중간과정에는 거의 언제나 모든 것에 (경제학적으로가 아니라)인간적으로 참을 수 없는 착취가

도사리고 있다.

그건 단순히 이익을 올리고 싶은 자본가의 검은손 따위뿐 아니라,

당연하게도 그 상품을 싸게 구입하길 원하고 있는 구매자가 있기 때문이다.

마치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하에서 2008년 이명박 정부를 찍었기 때문에

지금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사람들이 이명박 정부의 통치를 받아야 하는 것 처럼.

(심지어 내 손가락이 그를 찍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억울할지도 모르지만 그건 너무 유치한 변명이다.)

돌고 돌고 돈다. 뫼비우스의 띠 같다. 그리고 책임은 결코 남에게만 있지 않다.

 

그럼 직접 벼 농사를 지으면 되지! 직접 스웨터를 짜서 입으면 되지!

라고 누군가 반짝이는 눈망울로 말한다면 목을 조르고 싶을 수도 있겠다.

 

혼자 산 속에 원두막을 짓고 산다고 치더라도 이런 죄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건 아니다.

점프를 많이 하자면,

불만이 있다면 말하고 변화시키라는 자유민주주의가 수많은 트릭을 가지고 그런 '자유'를 줬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인의 자유와 공동의 책임이라는 것이 동시에 공존하기 때문에.

하지만 어쨌든, 현재의 모든 불공정한 상황에 대해 어느 누구도 '나는 아무짓도 않했어요. '라고

이노센트한 표정을 지을 수는 없다. 당연히 나를 포함해서. 갓 태어난 아기 조차도.

 

 

 

너무 머리를 많이 굴렸더니 내가 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머리가 아프기도 하다.

죄의식에서 벗어나려는 발버둥이었을까.

아직 아무것도 안했는데 벌써 지친다.

게다가 죄의식은 사라지지 않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