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술, 약물 중독장애인, 빈곤층이 고소득층의 20배"

"술.약물 중독장애인, 빈곤층이 고소득층의 20배"

보사연 조사 결과..술.약물 중독 장애인 1만2천840명
치매는 학력이 결정적 요인, 無배우자.저소득층 치매 장애율 높아

만성 알코올과 약물 중독으로 인한 장애인이 1만명을 훨씬 넘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이 같은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장애범주 확대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만성 알코올과 약물 중독으로 인한 장애 출현율이 인구 1만명당 2.7명으로 총 1만2천840명이나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가구 소득별로는 월평균 500만원 이상이 1만명당 1명, 300만원-499만원 소득층이 0.7명, 200만-299만원이 1.3명, 150만-199만원이 2.4명, 100만-149만원이 4명, 50만원-99만원이 9명이며 월소득이 49만원이하 극빈층의 경우 14명이나 됐다. 극빈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최고 20배나 술.약물 장애가 많은 셈이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이 0.8명, 고졸이 1.8명인 반면 중졸은 5.7명, 초등학교 졸은 6.1명으로 학력이 낮을수록 장애율이 높았다.

특히 여성(0.6명)에 비해 남성(5명)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는 3.5명이나 이혼이나 별거, 사별 등으로 배우자가 없으면 2배 이상인 7.6명이나 됐다.

치매로 인한 장애발생율에서는 학력이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치매로 인한 장애인은 인구 1만명당 13.8명으로 총 6만4천504명에 달했으며, 대졸 이상이 1만명당 1.8명, 고졸이 3.6명, 중졸이 6.8명인 데 비해 초등학교졸은 19.1명, 무학은 181명으로 급증하는 등 학력이 낮을수록 치매 장애율이 높았다.

이와 함께 배우자가 있으면 9.4명인 치매 장애율이 이혼이나 별거, 사별 등으로 배우자가 없으면 97.6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2.1명)에 비해 주부.무직자(35.4명), 농.어업 종사자(10.6명)이 월등 많았다.

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이 11.5명인 데 비해 300만-499만원 소득층이 6.9명으로 오히려 낮았다. 하지만 200만-299만원이 7.7명, 150만-199만원이 13.8명, 100만-149만원이 16.7명, 50만-99만원이 28.8명, 49만원 이하가 57.4명으로 소득이 낮아질수록 치매로 인한 장애 발생율이 높았다.

출처: 연합뉴스, 2007. 4. 1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