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저소득 각계각층을 위한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필요성

[광주CBS 기획보도⑫]남녀노소, 장애인, 새터민 등 각 계층 따라 필요서비스 달라]

영구 임대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이 노인과 어린이, 장애인과 여성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돼 있어 계층과 세대에 따른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광주 경실련과 CBS 광주방송의 공동 기획보도 <슬럼화 되는 영구 임대 아파트, 대책 마련 시급>, 오늘은 열두 번째 순서로 영구 임대 아파트 주민들을 위한 맞춤형 복지 서비스 제공 필요성에 대해 보도한다.


광주 광역시 북구 두암동 두암 2단지 영구 임대 아파트에 사는 기초생활수급자인 이 모(75) 씨는 지난 1999년 뇌경색 판정을 받은 뒤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 씨는 부인과 이혼한데다 자녀들과도 연락이 안 돼 혼자 살면서 겪었던 불편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다.

그런데 3년 전부터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이 씨의 생활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가사와 간병 도우미가 일주일에 두 번씩 방문해 빨래와 설거지, 식사 준비는 물론 병원까지 동행해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씨는 "예전에는 사는 것이 정말 힘들었는데 가사 간병 도우미 제도 덕택에 이제는 외롭지도 힘들지도 않다"며 "나와 같은 처지에 처한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영구 임대 아파트에 사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운데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를 앓고 있는 장애인들을 위해 가사와 간병도우미 제도가 시행된 것은 불과 3년 전이다.

영구 임대 아파트에는 이 씨와 같은 기초생활수급자는 물론 장애인과 독거노인, 소년소녀 가장,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등 다양한 계층과 세대가 함께 살고 있다.
또 북한 이탈 주민인 새터민과 국가유공자, 종군 위안부 등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계층까지 영구 임대 아파트로 몰려들고 있다.

이에 따라 영구 임대 아파트 주민들에게 통합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도 중요하지만 계층에 따른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지만 영구 임대 아파트 주민들을 위한 통합형 사회복지서비스가 양적으로 확대된 것과 달리 맞춤형 서비스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많다.

실제로 교육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과 여가 프로그램이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또 영구 임대 아파트 주민의 노령화에 따라 갈수록 늘고 있는 노인에 대한 프로그램도 절대 부족하다.

두암 종합사회복지관 김동수 부장은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원활한공급을 위해서는 자치단체와 사회복지관, 노인과 청소년, 장애인 복지관 등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수준 높은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영구 임대 아파트 주민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온 사회복지관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광주CBS 이승훈 기자
출처 : 광주CBS 2007.10.2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