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철밥통

철밥통을 욕하면서도 철밥통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
http://blog.jinbo.net/gimche/?pid=176
 

블로그 대문에 글을 올리는 사람들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 자신의 생각이 뚜렷하고 고민지점도 명확하다. 나는 그런 면에서 둔하고 느리다. 그러면서도 모순되게 즉흥적인 부분이 많아 글쓰기는 평생에 나를 성찰하는 훈련의 과정 이상으로 의미는 없을 듯 하다. (띄어쓰기도 많이 틀리고, 적합한 용어나 논리의 흐름도 술을 먹으나 안먹으나 같다.)
 

윗글, 출처는 밝혔다. 재미있게 읽었다.  
 

1. 재미있는 성찰(경험)과 분석은 "나 또한 과거 공무원이 되고자 했지만, 공무원직이 가진 안정적인 면만이 강조되는 현실은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안정성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정방향이 아님은 분명하다."라고 하는 부분.
 

(말장난을 좋아하는 선생들은 주로 "과거"에 방점을 찍기도 한다. 무슨 과거에는 안정적이지 않고 다른 이유로 공무원을 하려고 한 것이냐는 졸렬한 비판. 나는 그들의 비판방식과 수사법이 씨발 누구를 위해 적대적인지 묻고싶다. 공무원들이 공직사회의 개혁을 위해 노동조합을 통해서 그걸 촉구하러 동, 구, 시청에 다니는 사람은 아닌 것으로 안다.)

 

2. 그러면서 "철밥통을 욕하면서도 철밥통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 재벌을 욕하면서도 자신도 기회가 되면 무슨 수단을 써서든지 돈을 왕창 벌고자 하는 사람들! 무슨 차이가 있을까." 라고 하면서 진보적인, 그것이 매혹적인지는 몰라도 해법을 못찾고 있다고 한다. 
 

생각의 흐름이 진실하지 않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가 어떤 노동을 하는지를 이야기할 필요도 없다. 그것은 그의 일일 뿐이고 내가 평가할 생각은 없다. 더욱더 솔직하면 정답이 나올 듯하다.
 

인용에 대한 생각. 1번은 두 문장 간에 "모순"이다. 인식의 모순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본질은 "안정성"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첫 문장은 안정성에 대한 비판이나 뒷 문장은 안정성에 대한 긍정이다. 그이가 왜 공무원이 되려고 했을까.


2번 인용에 대한 생각. 앞의 두 문장 간에 "비약"이다. 첫 문장은 안정성에 대한 문제이고, 뒷 문장은 돈에 대한 물신주의가 팽배해 있다는 말, 자본주의적 인간에 대한 이야기다. 공무원이면 돈을 왕창 벌지는 않는다. 특히 "무슨 수단을 써서". 나는 믿는다. 공무원들도 무슨 수단을 써서 공무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안정성이 항상 '돈을 왕창 벌게'해주지는 않는다고 본다. 변칙과 편법이 주로 그렇고. 원칙으로 돈을 많이 버는 사람도 꽤 있다.

 

그래서 솔직하지 않다는 느낌. 더 이상 쓰고 싶지 않다. 왜냐하면 성찰이 잘못되어 있어 해법을 못찾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분들을 많이 본다. 갑자기 '공공성' 문제가 튀어나오는 것도 그렇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